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회

피부가 겹겹이 쌓인 비늘처럼 하얗게 일어나는 건선, 4년 새 진료비 2배로 증가

건선관절염 뿐만 아니라, 중풍 등 심혈관계 질환 합병증도 유발

 건선은 대표적인 만성 질환으로, 요즘처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계절이면 발생률이 높아진다. 피부가 붉어지는 홍반과 피부가 겹겹이 쌓인 비늘처럼 하얗게 일어나는 인설이 대표적인 증상으로, 피부가 두꺼워지고, 다른 피부질환과 달리 정상적인 피부와 뚜렷한 경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건선의 원인이 면역체계 이상이라는 게 밝혀짐에 따라 피부에만 병이 있는 것이 아니라 건선관절염을 동반하기도 하며, 대사증후군, 급성심근경색, 중풍 등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이 일반인보다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국회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건선’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3년 92,126명으로, 2017년에는 99,058명으로 4년 동안 환자 수는 8% 소폭 증가한 반면, 진료비 2013년 144억 6,600만원에서 2017년 262억 300만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2017년도 기준으로 남성환자가 57,198명, 여성환자가 41,860명으로 남성이 40% 정도 발병률이 높은 질환을 분석되었다. 또 40대 남성환자가 12,668명으로 가장 많고, 성장기인 10대 이하를 제외하고는 남·여를 불문하고 모든 연령대에 고르게 환자들이 분포했다.  특이한 점은 2013년에서 2017년까지 4년간 전체 환자는 8% 정도 증가한 것에 비해, 진료비는 2배 가까이 증가한 점이다. 이는 건선이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으로 새로 발병하는 환자보다는 발병한 환자들이 꾸준히 치료·관리를 받는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전혜숙의원은 “많은 병들이 그렇듯이 건선도 면역체계 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질병이다. 만병의 근원인 스트레스로 인해, 면역체계가 손상되고, 결국 건선과 같이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특히 건선은 간단한 피부병으로만 볼 수 없다. 급성심근경색, 중풍 등 심혈관계 질환과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건설관절염과 함께 나타나는 등 이차적인 합병증을 막기 위해서도 지속적인 치료·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전의원은 “건선은 당뇨, 고혈압과 같이 완치가 힘든 만성질환으로 국민 건강 보호와 지속적인 의료비 발생 질병 관리 측면에서 보건당국의 각별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건선 연도별/연령별 통계

(단위:,백만원)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연령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92,126

14,466

94,407

17,050

94,775

17,990

96,906

21,595

99,058

26,203

0~9

1,133

108

1,189

128

1,060

105

1,037

113

1,086

141

10~19

5,097

551

5,109

634

4,694

640

4,490

649

4,474

681

20~29

12,486

1,732

12,536

2,012

12,538

2,105

13,055

2,499

13,649

3,049

30~39

19,414

3,284

19,653

3,895

19,285

4,025

19,354

4,875

19,795

6,085

40~49

19,368

3,527

19,972

4,282

20,238

4,593

20,340

5,423

20,706

6,494

50~59

19,016

2,991

19,457

3,574

19,690

3,788

20,295

4,647

20,376

5,609

60~69

10,568

1,412

11,090

1,600

11,612

1,734

12,450

2,201

13,070

2,737

70~79

6,000

734

6,281

771

6,441

841

6,589

979

6,645

1,175

80세 이상

1,442

126

1,539

154

1,655

160

1,810

207

1,859

232

 

* 주의사항: 연령대별 환자수의 경우, 중복제거가 되지 않아 연도별 환자수와 일치 하지 않음

** 연도별 환자 수 총계는 중복제거 된 값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분당서울대병원, 고위험 산모·신생아 진료·전원 공백 해소 협력 방안 논의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10월 17일 병원 대강당에서 「2025년 분당서울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네트워크 구축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경기도 산모·신생아 안전분만 네트워크’를 주제로 열렸으며, 지역 간 의료 인프라 격차로 인한 진료·전원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권역 단위의 실무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통계로 본 경기도 내 고위험산모신생아 진료 현황(이희영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분당서울대병원 임상예방의학센터장) ▲고위험산모신생아 치료 인프라 확충과 미래(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영화 교수) ▲권역 고위험산모신생아 전원 네트워크 사업(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정다은 교수) ▲고위험산모신생아 모바일 전원 시스템 구축 사례(김용혁 에이식스티 대표이사)를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이후 토론 세션에서는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경기도 보건건강국, 분당서울대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등 관련 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권역과 지역 간 협력 체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경기도 내 고위험 산모·신생아의 안전한 진료·전원 체계 시스템을 통합하고 효율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