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피부가 겹겹이 쌓인 비늘처럼 하얗게 일어나는 건선, 4년 새 진료비 2배로 증가

건선관절염 뿐만 아니라, 중풍 등 심혈관계 질환 합병증도 유발

 건선은 대표적인 만성 질환으로, 요즘처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계절이면 발생률이 높아진다. 피부가 붉어지는 홍반과 피부가 겹겹이 쌓인 비늘처럼 하얗게 일어나는 인설이 대표적인 증상으로, 피부가 두꺼워지고, 다른 피부질환과 달리 정상적인 피부와 뚜렷한 경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건선의 원인이 면역체계 이상이라는 게 밝혀짐에 따라 피부에만 병이 있는 것이 아니라 건선관절염을 동반하기도 하며, 대사증후군, 급성심근경색, 중풍 등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이 일반인보다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국회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건선’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3년 92,126명으로, 2017년에는 99,058명으로 4년 동안 환자 수는 8% 소폭 증가한 반면, 진료비 2013년 144억 6,600만원에서 2017년 262억 300만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2017년도 기준으로 남성환자가 57,198명, 여성환자가 41,860명으로 남성이 40% 정도 발병률이 높은 질환을 분석되었다. 또 40대 남성환자가 12,668명으로 가장 많고, 성장기인 10대 이하를 제외하고는 남·여를 불문하고 모든 연령대에 고르게 환자들이 분포했다.  특이한 점은 2013년에서 2017년까지 4년간 전체 환자는 8% 정도 증가한 것에 비해, 진료비는 2배 가까이 증가한 점이다. 이는 건선이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으로 새로 발병하는 환자보다는 발병한 환자들이 꾸준히 치료·관리를 받는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전혜숙의원은 “많은 병들이 그렇듯이 건선도 면역체계 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질병이다. 만병의 근원인 스트레스로 인해, 면역체계가 손상되고, 결국 건선과 같이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특히 건선은 간단한 피부병으로만 볼 수 없다. 급성심근경색, 중풍 등 심혈관계 질환과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건설관절염과 함께 나타나는 등 이차적인 합병증을 막기 위해서도 지속적인 치료·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전의원은 “건선은 당뇨, 고혈압과 같이 완치가 힘든 만성질환으로 국민 건강 보호와 지속적인 의료비 발생 질병 관리 측면에서 보건당국의 각별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건선 연도별/연령별 통계

(단위:,백만원)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연령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92,126

14,466

94,407

17,050

94,775

17,990

96,906

21,595

99,058

26,203

0~9

1,133

108

1,189

128

1,060

105

1,037

113

1,086

141

10~19

5,097

551

5,109

634

4,694

640

4,490

649

4,474

681

20~29

12,486

1,732

12,536

2,012

12,538

2,105

13,055

2,499

13,649

3,049

30~39

19,414

3,284

19,653

3,895

19,285

4,025

19,354

4,875

19,795

6,085

40~49

19,368

3,527

19,972

4,282

20,238

4,593

20,340

5,423

20,706

6,494

50~59

19,016

2,991

19,457

3,574

19,690

3,788

20,295

4,647

20,376

5,609

60~69

10,568

1,412

11,090

1,600

11,612

1,734

12,450

2,201

13,070

2,737

70~79

6,000

734

6,281

771

6,441

841

6,589

979

6,645

1,175

80세 이상

1,442

126

1,539

154

1,655

160

1,810

207

1,859

232

 

* 주의사항: 연령대별 환자수의 경우, 중복제거가 되지 않아 연도별 환자수와 일치 하지 않음

** 연도별 환자 수 총계는 중복제거 된 값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영석 의원, 의료기기법 개정안 대표발의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부천시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의료기기 민원업무의 효율화와 신속처리를 위한 「의료기기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의료기기 해당 여부 민원은 연평균 3,514건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직접 수행하는 의료기기 민원 업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의료기기 해당 여부 검토 민원은 단순한 행정절차 또는 형식 요건 등에 대한 상담과 설명을 요구하는 법적 근거가 없는 민원에 해당한다. 이에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식약처에 의료기기의 허가ㆍ인증ㆍ신고를 신청하기 전에 의료기기 해당 여부 및 등급분류 민원에 관하여 사전검토를 받을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고,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정보원)에 해당 업무를 위탁할 수 있도록 민원업무 위탁 규정을 두려는 것이다. 여기에 희소ㆍ긴급도입 필요 의료기기 공급 업무 등 현재 정보원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에 관해서도 위탁해서 법체계의 적합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권한의 위탁에 관한 업무소재를 명확히 규정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서영석 의원은 “식약처가 본연의 업무에 더 집중하고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의료기기 해당 여부의 공공기관 위탁 등을 분명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