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지난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가 5조 4,698억원으로, ‘17년(4조 2,601억원) 대비 28.4%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은 15조 5,028억원으로 ‘17년(13조 5,155억원) 대비 14.7% 증가하여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부문에서는 중국 중심에서 벗어나 프랑스·영국 등 화장품 선진시장 뿐만 아니라 러시아·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 新남방·新북방지역으로의 수출 증가가 두드러져 수출 지역이 다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지난해 화장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생산실적 10%이상 고속 성장 ▲무역흑자 증가세 지속 ▲동남아‧유럽 등 수출시장 다변화 ▲기능성화장품의 꾸준한 성장 등이다.
■ 생산실적 10%이상 고속 성장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은 15조 5,028억원으로 ‘17년(13조 5,155억원) 대비 1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이 9조 3,704억원(60.44%)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색조 화장용(2조 3,958억원, 15.45%), 두발용(1조 5,817억원, 10.20%), 인체 세정용(1조 3,481억원, 8.70%) 등의 순이었다.
업체별로는 ‘(주)아모레퍼시픽’이 4조 5,558억원(29.39%)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 ‘(주)엘지생활건강’ 4조 5,005(29.03%), ‘애경산업(주)’ 4,817억원(3.11%), ‘(주)지피클럽’ 3,085억원(1.99%), ‘(주)코리아나’ 2,312억원(1.49%) 등의 순이었다.
■ 무역흑자 증가세 지속
화장품 무역수지는 최근 5년 연속 흑자를 달성하였으며, `16년 3조원을 돌파한데 이어 ‘17년에는 4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62억 6,019만달러(6조 8,890억원)로 `17년 49억 4,480만달러(5조 5,900억원) 대비 23.3%(원화기준) 증가하였으며, ‘14년에서 ’18년까지 평균성장률도 36.5%로 가파른 성장을 이어갔다.
또한, 수입은 지난해 12억 9,026만달러(1조 4,200억원)로 ‘17년 11억 7,623만달러(1조 3,297억원) 대비 6.8%(원화기준) 증가했다.
특히, 수출 1위 국가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37.5% 증가하는 등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동남아‧유럽 등 수출시장 다변화
국가별 수출실적은 중국이 26억 5,616만달러(2조 9,233억원)로 ‘17년에 이어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로 홍콩(13억 1,500만달러, 1조 4,473억원), 미국(5억 3,818만달러, 5,923억원), 일본(3억 260만달러, 3,330억원) 등의 순이었다.
특히, 인도네시아와 카자흐스탄은 ‘17년 대비 각각 110.9%, 91.0%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국내 화장품 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식약처가 `14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원아시아 화장품‧뷰티포럼’ 등 수출지원 정책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캄보디아, 카자흐스탄이 수출국 상위 20위 내로 처음 진입하였으며, 영국, 프랑스 등 화장품 선진국으로의 수출도 증가(27.8%)하였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프랑스(3억 6,474만달러, 4,014억원)였으며, 그 뒤로 미국(3억 1,461만달러, 3,462억), 일본(2억 1,351만달러, 2,350억원), 태국(5,523만달러, 608억원), 이탈리아(4,042만달러, 445억원) 등의 순이었다.
■ 기능성화장품 꾸준한 성장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4조 9,803억원으로 `17년(4조 8,558억원) 대비 2.5% 증가했으며, 기능성화장품의 ‘14년에서 ’18년까지 평균성장률도 13.7%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미백‧주름‧자외선차단 중 한 가지 기능을 나타내는 제품의 생산실적은 2조 2,885억원으로 ‘17년(1조 9,491억원) 대비 17.4% 증가한 반면, 두 가지 이상 기능을 가진 제품의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경 식약처장은 “화장품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은 우리나라 화장품의 우수한 기술력과 높은 품질 경쟁력이 바탕이 된 것”이라며, “우리 정부도 ‘국제화장품규제당국자협의체(ICCR)’ 정회원 가입 등 국제 신인도 향상을 통해 우리나라 화장품이 전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1. 연도별 화장품 생산 실적
구 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업체수(개)* | 1,810 | 1,895 | 2,735 | 3,840 | 4,961 | 5,829 | 6,487 |
생산품목(개) | 101,296 | 88,806 | 101,362 | 105,318 | 119,051 | 125,766 | 124,560 |
생산금액 (억원) (성장률%) | 71,227 (11.5%) | 79,720 (11.9%) | 89,704 (12.5%) | 107,328 (19.7%) | 130,514 (21.6%) | 135,155 (3.6%) | 155,028 (14.7%) |
* : 생산실적을 보고한 책임판매업체 수 |
2. 화장품 책임판매업체 현황
구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업체수(개) | 3,884 | 4,853 | 6,422 | 8,175 | 11,834 | 12,673 |
3. 화장품 유형별 생산 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 유형 | ‘17년 | ‘18년 | ||
생산금액 | 점유율 | 생산금액 | 점유율 | ||
| 총 계 | 135,155 | 100% | 155,028 | 100% |
1 | 기초화장용 제품류 | 76,178 | 56.36% | 93,704 | 60.44% |
2 | 색조화장용 제품류 | 21,417 | 15.85% | 23,958 | 15.45% |
3 | 두발용 제품류 | 15,298 | 11.32% | 15,817 | 10.20% |
4 | 인체세정용 제품류 | 12,601 | 9.32% | 13,481 | 8.70% |
5 | 눈화장용 제품류 | 2,637 | 1.95% | 2,857 | 1.84% |
6 | 면도용 제품류 | 1,199 | 0.89% | 1,213 | 0.78% |
7 | 손발톱용 제품류 | 407 | 0.30% | 341 | 0.22% |
8 | 영.유아용 제품류 | 746 | 0.55% | 568 | 0.37% |
9 | 방향용 제품류 | 355 | 0.26% | 376 | 0.24% |
10 | 두발염색용 제품류 | 4,213 | 3.12% | 2,583 | 1.67% |
11 | 목욕용 제품류 | 49 | 0.04% | 90 | 0.06% |
12 | 체취방지용 제품류 | 32 | 0.02% | 24 | 0.02% |
13 | 체모제거용 제품류 | 23 | 0.02% | 16 | 0.01% |
4. 기능성화장품 생산 실적
(단위 : 억원) | ||||||||
구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8년 점유율(%) |
총 계 | 21,483 | 25,638 | 29,744 | 38,559 | 44,439 | 48,556 | 49,803 | 32.12 |
복합기능성 | 7,804 | 12,259 | 16,438 | 20,980 | 22,326 | 23,565 | 22,873 | 14.75 |
주름개선 | 6,665 | 6,903 | 7,518 | 10,087 | 11.462 | 10,299 | 13,050 | 8.42 |
자외선차단 | 4,027 | 3,809 | 3,408 | 3,934 | 4,855 | 4,831 | 6,077 | 3,92 |
미백 | 2,987 | 2,667 | 2,379 | 3,558 | 5,796 | 4,361 | 3,758 | 2,42 |
염모 | | | | | | 3,916 | 2,192 | 1.41 |
탈모 완화 | | | | | | 1,507 | 1,763 | 1,14 |
여드름성 피부완화 | | | | | | 60 | 77 | 0.05 |
제모 | | | | | | 17 | 12 | 0.01 |
아토피성 피부보습 | | | | | | - | - | - |
튼살로 인한 붉은선 완화 | | | | | | | 1 | 0.00 |
5. 상위 10개 책임판매업체 생산 실적
(단위 : 억원)
순위 | 책임판매업자 | ‘17년 | ‘18년 | ||
생산금액 | 점유율 | 생산금액 | 점유율 | ||
총 계 | 135,155 | 100% | 155,028 | 100% | |
소계(상위 20위) | 102,856 | 76.10% | 117,099 | 75.53% | |
1 | 아모레퍼시픽 | 40,898 | 30.26% | 45,558 | 29.39% |
2 | ㈜엘지생활건강 | 39,672 | 29.35% | 45,005 | 29.03% |
3 | 애경산업㈜ | 3,998 | 2.96% | 4,817 | 3.11% |
4 | ㈜지피클럽 | - | - | 3,085 | 1.99% |
5 | (주)코리아나화장품 | 1,724 | 1.28% | 2,312 | 1.49% |
6 | (주)카버코리아 | 1,666 | 1.23% | 2,157 | 1.39% |
7 | (주)에이블씨엔씨 | 1,286 | 0.95% | 2,018 | 1.30% |
8 | 이니스프리 | 1,905 | 1.41% | 1,655 | 1.07% |
9 | 엘앤피코스메틱(주) | 999 | 0.74% | 1,122 | 0.72% |
10 | (주)더페이스샵 | 1,223 | 0.90% | 1,069 | 0.69% |
6. 상위 10개 품목 생산 실적
연번 | 책임판매업자 | 제품명 | 생산금액(천원) |
1 | (주)엘지생활건강 | 더히스토리오브후천기단화현로션 | 297,219,087 |
2 | (주)엘지생활건강 | 더히스토리오브후천기단화현밸런서 | 261,679,438 |
3 | (주)아모레퍼시픽 | 설화수윤조에센스 | 254,333,283 |
4 | (주)엘지생활건강 | 더히스토리오브후비첩자생에센스 | 189,244,821 |
5 | (주)아모레퍼시픽 | 설화수자음유액 | 180,820,596 |
6 | (주)아모레퍼시픽 | 설화수자음수 | 173,393,175 |
7 | (주)엘지생활건강 | 더히스토리오브후천기단화현크림 | 129,292,999 |
8 | (주)엘지생활건강 | 더히스토리오브후공진향인양로션 | 97,644,417 |
9 | (주)아모레퍼시픽 | 라네즈스킨베일베이스40호SPF25PA++ | 92,191,054 |
10 | 애경산업(주) | 에이지투웨니스에센스커버팩트화이트베이지21호 | 83,214,619 |
7. 우리나라의 화장품 무역수지 실적
(단위 : 백만원)
연도(년) | 수출액(A) | 수입액(B) | 무역수지(A-B) |
전년대비 18년 성장률(%) | 23.3% | 6.8% | 28.4% |
2015 | 2,928,150 | 1,230,752 | 1,697.398 |
2016 | 4,848,682 | 1,253,475 | 3,595,207 |
2017 | 5,589,815 | 1,329,706 | 4,260,109 |
2018 | 6,889,842 | 1,420,038 | 5,469,804 |
8. 우리나라의 국가별 화장품 수입 실적
(단위 : 천달러)
순위 | 국 가 | ‘17년 | 순위 | 국 가 | ‘18년 | ||
수입금액 | 점유율 | 수입금액 | 점유율 | ||||
총 계 | 1,176,233 | 100% | 총 계 | 1,290,263 | 100% | ||
소 계(상위 10위) | 1,052,587 | 89.4% | 소 계(상위 10위) | 1,150,634 | 89.2% | ||
1 | 프랑스 | 324,603 | 27.6% | 1 | 프랑스 | 364,740 | 28.3% |
2 | 미국 | 291,298 | 24.8% | 2 | 미국 | 314,615 | 24.4% |
3 | 일본 | 182,316 | 15.5% | 3 | 일본 | 213,513 | 16.5% |
4 | 영국 | 48,519 | 4.1% | 4 | 태국 | 55,231 | 4.3% |
5 | 이탈리아 | 46,360 | 3.9% | 5 | 이탈리아 | 40,428 | 3.1% |
6 | 태국 | 38,783 | 3.3% | 6 | 독일 | 38,863 | 3.0% |
7 | 독일 | 34,176 | 2.9% | 7 | 영국 | 37,864 | 2.9% |
8 | 아일랜드 | 32,004 | 2.7% | 8 | 스위스 | 28,796 | 2.2% |
9 | 캐나다 | 29,643 | 2.5% | 9 | 아일랜드 | 28,439 | 2.2% |
10 | 중국 | 24,882 | 2.1% | 10 | 중국 | 28,145 | 2.2% |
* 자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기준
9. 우리나라의 국가별 화장품 수출 실적
순위 | 2017년 | 2018년 |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전년대비 증감률(%) | |
총계 (139개국) | 5,589,843 | 100.0 | 총계 (136개국) | 6,889,842 | 100.0 | 23.3 | |
1 | 중국 | 1,932,284 | 39.1 | 중국 | 2,656,162 | 42.4 | 37.5 |
2 | 홍콩 | 1,222,447 | 24.7 | 홍콩 | 1,315,009 | 21.0 | 7.6 |
3 | 미국 | 445,471 | 9.0 | 미국 | 538,183 | 8.6 | 20.8 |
4 | 일본 | 225,390 | 4.6 | 일본 | 302,600 | 4.8 | 34.3 |
5 | 대만 | 154,457 | 3.1 | 베트남 | 168,318 | 2.7 | 19.7 |
6 | 태국 | 151,309 | 3.1 | 태국 | 165,292 | 2.6 | 9.2 |
7 | 베트남 | 140,569 | 2.8 | 러시아 연방 | 157,696 | 2.5 | 63.6 |
8 | 싱가포르 | 104,331 | 2.1 | 대만 | 157,683 | 2.5 | 2.1 |
9 | 러시아 연방 | 96,375 | 1.9 | 싱가포르 | 131,599 | 2.1 | 26.1 |
10 | 말레이시아 | 66,892 | 1.4 | 말레이시아 | 87,354 | 1.4 | 30.6 |
11 | 프랑스 | 46,257 | 0.9 | 프랑스 | 67,507 | 1.1 | 45.9 |
12 | 필리핀 | 31,063 | 0.6 | 인도네시아 | 50,887 | 0.8 | 110.9 |
13 | 캐나다 | 26,331 | 0.5 | 영국 | 40,803 | 0.7 | 70.4 |
14 | 호주 | 26,100 | 0.5 | 필리핀 | 40,035 | 0.6 | 28.9 |
15 | 인도네시아 | 24,134 | 0.5 | 호주 | 34,427 | 0.5 | 31.9 |
16 | 영국 | 23,943 | 0.5 | 캐나다 | 30,128 | 0.5 | 14.4 |
17 | 아랍에미 리트 연합 | 13,942 | 0.3 | 카자흐스탄 | 22,609 | 0.4 | 91.0 |
18 | 독일 | 13,672 | 0.3 | 폴란드 | 19,868 | 0.3 | 51.6 |
19 | 이탈리아 | 13,602 | 0.3 | 독일 | 18,058 | 0.3 | 32.1 |
20 | 폴란드 | 13,105 | 0.3 | 캄보디아 | 16,772 | 0.3 | 51.0 |
* 자료: 대한화장품협회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