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해외소식

이온패스와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종양 미세환경의 복잡성 탐색 공동연구

이온패스(IONpath, Inc.)가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ristol Myers Squibb)와 공동으로 네이처(Nature) 학술지인 래버러토리 인베스티게이션(Laboratory Investigation)에 논문을 게재했다. 

해당 논문의 제목은 종양 유형들 전반에 걸친 종양 미세환경의 특성화를 위한 다중화된 이온빔 이미징(Multiplexed Ion Beam Imaging (MIBI) for Characterization of the Tumor Microenvironment Across Tumor Types)이다.


단일 조직 섹션에서 한번에 다수의 세포 유형들을 차별화 함으로써 종양 내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들을 이해하는 능력은, 현존 기술력에 의해 제한 되었었다. 이 논문의 저자들은, 미비(MIBI™, 다중화된 이온빔 이미징)가 공간관계 분석과 함께 세포 표현형 식별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양 유형들의 특징을 어떻게 자세하게 설명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은 이온패스에 50종의 종양 생검들로부터 샘플들을 제공했으며, 여기에는 각각 특정 금속 동위원소로 표시된 15개의 항체들의 패널이 동시에 염색되었다. 종양 미세환경의 고도로 상세한 맵핑은 샘플을 개별 세포로 세분화하는 다단계 공정을 통해 면역 프로파일(fig 1) 과 공간 구성(fig 2)을 제공하였다.

이 정보는 원래 해당 샘플의 특성들을 관찰하기 위한 연습으로 모아졌었다. 하지만 세포수준에서 이 새로운 수준의 종양 맵핑의 결과는 그 이상의 것들을 시사했다. 과학자들과 약물 개발자들은 이제 암세포들에 대한 면역 세포들의 근접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동일한 샘플 내에서 잠재적 약물 표적들의 단백질 발현 수준 그리고 면역 체크 포인트를 표적으로 하는 것과 같은 특정 요법들에 대한 반응과 관련된 기타 변수들을 측정할 수 있다.

"종양 미세환경을 세포수준까지 특성화함으로써 특히 면역 종양학 분야에서 의학적 발견을 강화하는 것이 이온패스의 사명이다" 면서 "이렇게 상세하고 상호 관련된 구조를 조사하는 것은 특정 유형의 암들을 치료하기 위한 싸움에서 어렵지만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고 병리학 책임자이자 해당 논문의 저자들 중 한 명인 제시카 핀 박사(Dr. Jessica Finn)는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그린제약,의약품 제조업자 등의 준수사항 위반 으로...다수 품목 행정 조치 받아 그린제약(충북 음성 소재)이 의약품 제조업자 등 준수사항 위반으로 다수의 품목이 1개월 제조업무정지 및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과징금 처분.14,100,000원이 부과된 제품은 '그린관장약(농글2025'으로 그린제약의 효자 품목으로 알려지고 있다.제조업무정지 1개월(2025. 4. 28. ~ 2025. 5. 27.) 대상품목:은 그린나잘스프 레이모이쳐액(옥시메타졸린염산염), 그린오피에이액(오토프탈알데하이드), 그린클로르헥 시딘크림(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포비돈브러쉬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세 정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스틱스왑(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요오드액, 그린헥시디 놀액, 그린헥시디놀액2%, 그린헥시가글액0.12%(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 딘브러쉬액(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딘세정액4%(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액), 그린헥시딘스틱스왑액, 그린헥시딘액 5%(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아나프리스프 레이, 아크원팁스왑액(살리실산) 등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그린제약은 "약사법 제38조 제1항 및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제48조제9 호가목[별표1]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등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홈페이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