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2012 헬스케어 디자인 혁신세미나’ 개최

23일 명지병원, Healthcare 디자인 학회 준비위 주관

환자중심 의료서비스의 대표적인 부문인  ‘케어 서비스 디자인’의 혁신적 모델을 제시할 ‘헬스케어 디자인 혁신세미나’가 오는 10월 23일 오후 4시 관동의대 명지병원에서 개최된다.

관동의대 명지병원 병원문화혁신본부에서 주최하고 Healthcare 디자인 학회 준비위원회가 주관하는 헬스케어 디자인 혁신 세미나에는 세계적인 디자인 기업인 미국  ‘아이디오(IDEO)’의 헬스케어부문을 담당하는 스테이시 창 이사와 관동의대 명지병원 IT융합연구소장 정지훈 교수, 국내 헬스케어 디자인 선두기업인 주식회사 사이픽스의 이경미 대표 등이 연자로 나선다.

스테이시 창 아이디오 이사는 ‘헬스케어 이해 당사자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디자인’을 주제로 헬스케어 분야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와 행동양식을 관찰 분석하여 긍정적 상호작용을 돕기 위한 디자인을 소개할 예정이다.

국내 최고의 의료와 IT 융합 미래학자로 꼽히는 정지훈 교수는 ‘병원혁신과 헬스케어 디자인’을 주제로 그동안 실행해 온 명지병원 서비스 디자인의 프레임워크와 프로세스, 그에 따른 산출물에 관해 소개하게 된다.
사이픽스의 이경미 대표는 ‘최근 국내 헬스케어산업에 불어닥친 새로운 디자인 개념’을 주제로 2012년 최고의 혁신적 헬스케어 디자인으로 꼽히는 명지병원의 건강보험검진센터인 숲마루와 정형외과의 외래 진료실 리디자인 작업에 대해 발표한다.

2부에는 연자들과  Healthcare 디자인 학회 관계자가 참여하는 패널 토론의 시간도 마련된다.
세계적인 케어 디자인 및 융합의학 전문가들이 미래 병원이 나아갈 케어디자인의 혁신 방향을 제시할 이번 세미나에는 사전 신청자만 참가할 수 있으며, 참가비는 무료이다.

신청 및 문의 : 031)810-5097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