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고도비만, 한국의 정(情)통해 아름다움으로 승화

한국 의료관광 홍보대사, 뉴질랜드 쟈스민 샤샤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

순천향대 서울병원(병원장 서유성)과 한국관광공사(사장 이참)는 ‘나눔의료’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뉴질랜드인 쟈스민 샤샤(27)씨의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10월 25일 퇴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눔의료’란 현지 치료가 어려운 외국인 환자를 초청하여 한국의 선진의료기술로 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나눔의 의료관광을 통해 감동과 정성이 깃든 한국의료관광의 참된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관광공사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사업이다.

금번 수술은 복벽성형(abdominal plasty)과 팔뚝 성형수술로 샤샤씨가 비만치료를 위해 작년에 받은 체중감량 수술의 사후조치로 진행된 것이다. 샤샤씨는 불과 2010년까지만 해도 몸무게 220kg의 고도비만으로 고혈압, 고지혈증, 다낭성 난소증후군 등의 합병증으로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 순천향대 서울병원 김용진 교수팀을 만나 위 절제술을 받고 지금과 같은 건강한 상태를 회복하게 되었다. 현재 샤샤씨의 몸무게는 105kg이다.

샤샤씨는 김용진교수와 함께 「2012 한국국제의료관광컨벤션」에서 나란히 한국의료관광홍보대사로 위촉되어 향후 한국의료관광의 매력을 전 세계에 홍보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김용진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비만인구가 급증하지만 이를 위한 해결책이 턱없이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높은 의료수준과 서비스 그리고 가격경쟁력을 갖춘 한국의료관광이 좋은 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향후 의료관광 부문에서 비만치료 영역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한편, 한국관광공사의 이참사장은 “의료한류 4.0시대에 맞춰, 감성적이고도 감동적인 서비스로 한국을 아시아 최고의 힐링메카로 조기에 자리매김하기 위한 노력을 배가하겠다”고 밝혔다. 샤샤씨의 퇴원식은 25일 15시 순천향대 서울병원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