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제 비영리 연구기관인 힐레만연구소(Hilleman Laboratories)와 ‘신규 백신 및 플랫폼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힐레만연구소는 글로벌 제약사 MSD와 세계 최대 규모의 의료 연구 지원재단인 영국 웰컴트러스트(Wellcome Trust)가 합작 투자해 2009년 설립한 연구기관이다. MOU 체결식에는 힐레만연구소 라만 라오(Raman Rao) CEO와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 김훈 CTO 등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저개발국의 백신 공급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신규 백신 기초 연구 △후보물질 선정 △제조공정 개발 △임상 연구 등 백신 R&D 전 과정에 걸쳐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힐레만연구소는 연구 및 초기 공정 개발, SK바이오사이언스는 공정 개발 및 상업화 과정에서 보유한 선도적 역량을 집중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 양 기관은 최신 백신 플랫폼을 활용, 에볼라, 라싸열, 치킨구니야, 수족구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과 항생제 내성 질환 등을 타깃으로 감염병 발병시 공동 대응해 조기에 백신을 개발하고 적기에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대봉엘에스(대표 박진오)가 21일 인천 파라다이스 시티에서 열린 에피나코나졸 경구 및 아질사르탄 신규염 기술 개발 성과를 소개하는 콘퍼런스를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완제 회사와 오픈 이노베이션을 추진하고자 개최했다. 대봉엘에스는 개량신약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산학연, CRO 기관 등과 협력해 오픈 이노베이션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에는 대봉엘에스 박은주 융합기술연구소 연구소장, 코아스템켐온의 송시환 대표이사, 이철규 신약개발지원본부장, 클립스BnC 지준환 대표이사가 연사로 참여했다. 박은주 융합기술연구소 연구소장의 ▲ 에피나코나졸 경구 및 아질사르탄 신규염 기술 개발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코아스템켐온의 이철규 신약개발지원본부장의 ▲ 에피나코나졸 비임상시험 결과 발표, 송시환 대표이사의 ▲ 에피나코나졸 독성시험계획 발표, 클립스BnC 지준환 대표이사의 ▲ 에피나코나졸 임상시험계획 발표가 이어졌다. 박은주 연구소장은 에피나코나졸 경구제 개발의 필요성, 기존 경구 약물(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대비 장점, 공결정 플랫폼 기술 설명, 공결정 경구 연구개발 현황 및 향후 전략 등을 발표했다. 또한 신규염 개량신약인 ‘아질사르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황반변성치료제 바이오시밀러 ‘루센비에스(CKD-701)’의 품목 허가를 받았다. 루센비에스는 라니비주맙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순도의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로 종근당의 순수 독자 기술인 항체절편 원료제조 기술로 양산되어 황반변성 및 당뇨병성 황반부종 등에 사용되는 안과질환 치료제다. 황반변성은 눈 망막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조직인 황반이 노화와 염증으로 기능을 잃거나 심할 경우 실명에 이르게 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전 세계적인 고령화 현상에 따라 환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비정상적으로 생성된 혈관(신생혈관)에서 누출된 삼출물이나 혈액이 망막과 황반의 구조적 변화와 손상을 일으키는 습성 황반변성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3대 실명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번 허가에 따르면 루센비에스는 △신생혈관성(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의 치료 △당뇨병성 황반부종에 의한 시력 손상의 치료 △증식성 당뇨성 망막병증의 치료 △망막정맥폐쇄성 황반부종에 의한 시력 손상의 치료 △맥락막 신생혈관 형성에 따른 시력 손상의 치료 등 오리지널 약물인 루센티스가 보유한 적응증 5개를 모두 확보했다. 종근당은 2012년 바이오시밀러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김민영)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개최된 대한당뇨병학회 연례 국제학술대회 ICDM2022(International Congress of Diabetes and Metabolism, 이하 ICDM 2022)에서 Dapagliflozin/Metformin에 자사 당뇨병 치료제 ‘슈가논(성분명 Evogliptin)군’을 추가한 3제 병용요법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임상 3상 시험(PI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윤건호 교수)의 결과는 한양대학교구리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유성훈 교수가 맡았다. 해당 임상시험은 Metformin과 Dapagliflozin의 병용에도 혈당 조절이 불충분한 2형 당뇨병 환자 대상으로 Evogliptin을 1일 1회, 24주/52주 동안 추가 병용 투여한 후 위약 대비 Evogliptin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 평가했다. 임상 시험 대상 환자는 283명으로 2형 당뇨 유병 기간으로 평균 당화혈색소(HbA1c)는 7.91%였다. Primary End Point는 24주 및 52주 후 당화혈색소의 변화를 비교했다. Baseline 대비 투여 후 24주 시점의 당화혈색소의
㈜헬릭스미스 김선영 대표이사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현지 시각 10월 11일에 개최된 ‘2022 Cell & Gene Meeting on the Mesa’에 참석해 ALS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루게릭병)에 대한 임상 2a 결과와 ALS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DART’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ALS는 발병 후 2~5년 내에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그 발병 원인이 규명되어 있지 않다. 2014년 ‘아이스 버킷 챌린지’ 이후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아, 지금은 글로벌 제약사 및 투자기관은 물론 미국 정부 특히 백악관과 FDA, 의회도 사명감을 갖고 ALS 치료제 개발을 독려하는 상황이다. DART 프로젝트에는 엔젠시스 외에도 HGF 시그널링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두 개의 다른 후보물질인 AAV 벡터 기반의 ‘NM301’과 c-Met 활성화 항체 ‘VM507’이 포함되어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가 자체 개발한 이중항체 플랫폼 ‘S-DUAL(에스-듀얼)TM’을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이중항체란 두 개의 각각 다른 타깃에 결합하는 항체들을 하나의 형태로 결합시킨 항체다. 일반적으로 항체는 하나의 타깃 항원에만 작용해 제한된 효능을 보이는 반면, 이중항체는 서로 다른 타깃 항원에 동시 작용해 기존 단일항체 보다 효능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항체에 새로운 결합부위를 도입하면서 안정성과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런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이중항체 구조를 특화했다. 첫째, S-DUALTM은 사람 몸속의 항체(IgG)와 유사한 형태로 체내에 투여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낮으며 항체와 같은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둘째, 비대칭 구조에 따라 이중항체 단백질과 결합 오류로 인한 불순물 단백질 간 분자량 차이를 쉽게 구분할 수 있어 목적한 이중항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분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결합을 유도하는 기술을 적용한 CH3(constant heavy chain 3) 도메인을 한쪽 팔 부위에 추가해 이중항체의 결합 오류를 최소화했다. S-DUALTM은 결합력을
비엘(142760)은 지난 주 개최된 ‘국제 부인과 종양학회 연례국제학회’에서 자사의 ‘BLS-M07’의 연구성과 발표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6일 밝혔다. 9월29일부터 10월1일(미국 현지시간)까지 뉴욕에서 진행된 이번 학회에서는 전 세계 산부인과 종양 전문의 및 제약업체 관계자가 다수 참여해 부인과 종양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 및 치료제 개발성과 발표를 대면 및 온라인으로 동시 진행했다. 비엘은 자사의 임상개발 약물 ‘BLS-M07’의 연구성과를 임상시험 책임자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 이재관 교수를 통해 발표했다. ‘BLS-M07’은 자궁경부감염 및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인유두종바이러스(HPV)를 표적으로 하는 먹는 치료백신이다. 경구 복용시 장 점막면역 반응을 통해 HPV 항체를 형성, T 세포를 자극해 자궁경부 내 감염세포를 제거하는 기전이다. 따라서 T 세포 작용을 이끌어내는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시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다수의 전문가들이 긍정적 의견을 냈다.
테라펙스는 우시앱텍(WuXi App Tec)과 면역 및 표적 항암제 개발을 위한 포괄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협약을 통해 우시앱텍은 테라펙스가 개발중인 신규 항암제의 전임상 및 임상시료의 생산과 임상시험 계획서(IND)제출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테라펙스는 내년도 임상시험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양사는 향후 선도물질의 발굴과 약효평가단계에서도 유기적인 상호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기기로 했다.
한풍제약(대표 조인식, 조형권)은 지난 18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7회 경기약사학술대회 및 제27회 팜엑스포’ 에서 메타버스(Metaverse) 컨텐츠를 적용한 치지래과립 가상 스튜디오 부스를 열고, 제품에 대한 홍보 및 복약지도 정보를 즐기면서 전달할 수 있도록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이번 한풍제약 부스는 메타버스 전문 플랫폼 (EXON) 회사 오르카티비와 협업해서 진행이 되었다고 30일 밝혔다. 먹는 치질약 치지래과립은 목단피건조엑스, 서양칠엽수종자엑스, 자근건조엑스 생약 3종과 비타민 E(토코페롤아세테이트)를 함유함으로써 광범위한 치질 증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치지래과립은 항염, 항균, 항종양에 효과가 있는 자근이 들어있는 유일한 경구용 일반의약품이다. 한풍제약 관계자는 “이번 학술대회의 메타버스 부스는 약사라니TV 운영자이신 이향란약사님과 함께 기획했으며 약사 인플루언서 이신 배현약사님과 박소윤약사님을 부스로 초대해서 디테일 이벤트를 함께 진행해서 약사님들의 주목을 끌었다”며 “앞으로도 치지래과립의 차별화된 성분 및 효능에 대한 적극 홍보를 펼칠 예정”이라고 전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으로 인한 연간 사망자가 현 70만 명에서 2050년 최대 천만 명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예측한 보고를 냈다. 또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등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항생제 사용 증가와 보건·의료 시스템 부담 가중으로 내성균의 위협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런 가운데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소장: 지영미)가 28일 ‘항생제 내성 대응 혁신 전략’을 주제로 글로벌 워크숍을 온라인으로 개최 관심을 모았다. 워크숍은 항생제 내성 대응 기초·응용연구, 임상, 국제협력 분야 6명의 글로벌 전문가와 함께 항생제 신속 개발 전략과 효과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CARB-X의 창립 이사인 케빈 아우터슨 미국 보스턴대 교수는 한국 연구진과의 파트너십 전략을 발표하고,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지영미 소장과 만나 양 기관 간 협력을 논의했다. CARB-X는 항생제 내성균 퇴치를 위한 글로벌 민-관 파트너십으로 미국, 영국, 독일 정부와 웰컴트러스트, 빌앤멜리다게이츠재단이 등이 지원하며, 내성균 감염 치료제·백신·진단 분야 우수한 기초 연구를 선정해 펀딩을 제공한다. 또한,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장수진 항생제내성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