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치과대학이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교 치과대학(Harvard School of Dental Medicine, HSDM)과 학술 및 교육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하버드 치과대학이 국내 대학과 MOU를 맺은 첫 사례이자, 아시아권 대학 중 두 번째다. 연세대 치과대학 정영수 학장과 치주과학교실 차재국 교수는 협약에 앞서 지난달 15일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하버드대 William V.Giannobile 치과대학장과 Sang J.Lee 교수와 함께 두 기관의 상호발전을 위한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학생 및 연구 인력 교류 ▲치의학 교육과정 공동 개발 ▲공동 연구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교류를 약속했다. 양 기관은 학부·대학원생 간 교류 확대를 위한 연수 교육 프로그램, 연구 분야 협력 심포지엄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치과 생체재료 등 치의학 분야의 공통 연구의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 간 직접 연계를 지원한다. 또한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치과의사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대한뉴팜(054670)이 연면적 15,150㎡ 규모의 GMP 신공장 준공을 완료하며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새로운 발걸음을 내디뎠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신공장은 2023년 2월 컨셉 디자인을 시작으로, 지난해 5월 기공식과 6월 착공을 거쳐 14개월간 총 35,000여 명의 인력이 투입돼 완성됐다. 총 투자비는 약 810억 원에 달한다. 신공장은 EU GMP Annex1 가이드라인을 충실히 반영한 주사제 생산라인과, 노출을 최소화한 BIN 시스템을 적용한 고형제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정제 8억 정, 캡슐 2억 개 생산이 가능한 대규모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2027년 1월 본격적인 공장 가동을 목표로 밸리데이션 및 품목 이전 작업을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신공장은 대한뉴팜이 2022년부터 추진해온 ‘향남 프로젝트 1·2·3’의 일환이다. 1단계인 연구동은 2023년 6월에 준공됐으며, 프로젝트의 핵심 전환점으로 평가되는 2단계 신공장 준공에 이어 3단계로는 자동화 창고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대표 성종현)은 지난 7월 26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의료진 대상으로 진행된 ‘2025 실크 서클(SILK CIRCLE)’ 유저 미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유저 미팅에서는 약 20명의 의료진이 참석해 자사의 각막 굴절 레이저 장비인 ‘엘리타(ELITA™ Femtosecond Laser System)’의 사용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활용한 시력교정술 ‘실크(SILK, Smooth Incision Lenticular Keratomileusis)’에 대한 임상적 논의가 이뤄졌다. 유저 미팅은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의 발표로 시작됐다. 발표에서는 한국에서의 엘리타 런칭 과정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최신 업데이트 및 향후 기술 혁신 방향, 엘리타 실크 라식 PR 캠페인에 대해 소개되었다. 이후 진행된 발표 세션에서는 혜안서울안과 정태영 원장과 눈에미소안과의원 구형진 원장이 좌장을 맡아, 다양한 의료진이 연자로 참여해 엘리타 실크 라식의 임상 결과와 수술 과정의 특징, 수술 노하우 및 수술 경험 등에 대해 발표했다.
선마을(대표 최홍식)이 기업 웰니스 전문 솔루션 '달램’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더욱 다양하고 전문화된 웰니스(힐링) 연수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 및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제휴는 기업 및 공공기관 대상 힐링 연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웰니스 콘텐츠를 강화하려는 양사의 의지가 맞닿으면서 성사됐다. 양사는 이번 협업을 통해 건강한 생활습관 체득, 자존감 회복, 마음챙김, 감성 커뮤니케이션 등 기존 선마을의 강점을 살리되, 달램의 전문성을 접목해 기업 맞춤형 힐링 연수를 정기화할 계획이다. 참여 기업은 연수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설계하거나, 소그룹 단위로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어 실용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태전그룹의 인재 및 조직개발 담당 부사장이자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윤형준 교수가 신간 '라이프 크래프트: 인생 후반전 '일'에서 답을 찾다' 를 출간하고, 이를 기념 지난 8일 서울 서초구 라이프 비즈니스 센터에서 워크숍을 개최했다. 워크숍에는 그룹사 사원급 이상 실무자 33명이 참여해, 액션러닝 방식으로 실질적인 조직 과제를 발굴하고 해결방안을 설계했다. 라이프 크래프트는 "인생 후반전이 시작됩니다! 앞으로 20년, '진짜 나'의 일을 찾는 12주 프로젝트"라는 메시지로 시작하는 실천형 도서로, 저자는 세계적인 심리학자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의 휴먼에이전시(Human Agency) 이론을 바탕으로 독자들이 스스로를 자기 삶의 '시크릿 에이전트'처럼 인식하며 주도적으로 미래를 설계하도록 독려한다. 이 책은 단순한 읽기를 넘어 직접 써가며 변화하는 실천형 구성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분석, 가치·목표 설정 훈련 등 다양한 워크시트를 제공한다.
최근 국내 의료진이 지방흡입 중 숨이 약해지거나 멈출 수 있는 위험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높은 정확도로 사전에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마취에 대한 고객의 우려를 줄이는 동시에, 시술 안정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특화 의료기관 365mc와 이화여대 의대 공동 연구팀은 약 1만4560건의 지방흡입 시술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머신러닝 기법이란 컴퓨터가 한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살펴보며 스스로 규칙이나 특징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토대로 지방흡입 시·수술 도중 고객의 호흡이 억제되거나 중단될 위험이 있는지를 높은 정확도로 포착하는 AI 예측 모델을 만들었다. 지방흡입 시·수술은 흡입 부위나 범위에 따라 전신마취 또는 수면마취 등 다양한 방식이 활용된다. 전신 마취는 의식을 완전히 잃게 해 크고 긴 수술에 사용되며, 회복 시간이 비교적 길지만 안정적인 수술 진행이 가능하다. 수면 마취는 깊은 잠에 빠지는 점은 동일하지만, 완전한 의식 소실 상태는 아니라는 점에서 회복이 빠르고 환자 부담이 적어 비교적 간단한 시술에 활용된다. 간혹 전신·수면 마취 과정에서, 호흡이 느려지거나 일시 정
디앤디파마텍(347850)이 미국에서 임상 개발 중인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 DD01이 글로벌 바이오 CRO 및 CDMO 기업 Wuxi Apptec (이하 “Wuxi”)이 선정한 공정 개선 우수사례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DD01은 MASH 치료를 목적으로 설계된 GLP-1/GCG (글루카곤) 수용체 이중 작용제로, 빠른 간지방 제거 및 체중 감소, 혈당 조절에서 경쟁제품 대비 차별화된 효능을 보이고 있다. 디앤디파마텍은 앞서 DD01 개발 과정에서 펩타이드 설계의 구조적 특성과 생산 방법에 있어서 예상되는 어려움을 예측하고, Wuxi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공정 개선과 개발 일정 단축을 성공적으로 도출한 바 있다. IND 준비 단계였던 2020년 당시 기존 합성법을 통한 생산 방식으로는 최적화 과정을 거치더라도 5% 수준의 낮은 원료 순도에 그치고 있었으나, 양사 간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신규 합성 경로 및 추가적인 공정 개선을 통해 이를 극복함으로써 불과 10개월만에 임상제품 대량생산과 전임상 독성시험을 마무리하며 미국 FDA 임상시험계획 (IND) 신청을 완료해낸 바 있다. 이에 Wuxi 측은 디앤디파마텍의 성공적인 DD01 임상2상
여름휴가 시즌을 앞두고 해외여행과 야외활동이 늘면서 해충 피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본 뇌염, 말라리아, 최근 전 세계로 확산 중인 ‘치쿤쿠니야’ 등 모기 매개 감염병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질병관리청과 지자체에서는 해외여행객을 대상으로 모기기피제 사용, 긴 옷 착용, 취침 시 모기장 사용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이때 ‘의약외품’ 표기가 있는 모기기피제를 선택해야 효과적인 모기 예방이 가능하다. 시중 모기기피제의 주요 성분으로는 이카리딘(Icaridin), 디에틸톨루아미드(DEET), 파라메탄디올(PMD) 등이 있다. 이 중 이카리딘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인정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모기 퇴치 성분으로, 생후 6개월 이상 아기부터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이카리딘을 함유한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마이키파 제로 미스트’와 ‘마이키파 엑스트라 파워 미스트’가 있다
SML제니트리(SML Genetree)는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의 임상진단학회 ‘ADLM 2025(Association for Diagnostics & Laboratory Medicine, 옛 AACC)’에 참가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SML제니트리는 이번 전시에서 유럽 CE-IVDR 인증을 획득한 NamuPlex™ GI Bacteria2, 3 및 NamuPlex™ GI Virus 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분자진단 솔루션을 공개했다. 해당 제품들은 위장관 감염증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멀티플렉스 분자진단 제품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 대표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미국의 CLIA 인증 실험실(Certified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CLIA Lab)을 대상으로 다양한 진단 제품군을 소개하고, 미국 내 파트너사들과 협업 가능성을 적극 모색했다
대한적십자사(회장 김철수)는 튀르키예적신월사(회장 파트마 메리치 이을마즈)와 인도적 지원 및 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보건, 재난 대비, 심리사회적 지원, 청소년 교류 등 다양한 인도주의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협약에는 지진 재건복구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혈액원 건립을 비롯해, 청소년·자원봉사 분야의 교류 화대와 우호 증진이 포함됐다. 혈액원 건립은 향후 대한적십자사의 보건·혈액 분야 노하우를 공유하는 기반이 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튀르키예적신월사 대표단에는 청소년 자원봉사 분야의 이사진이 포함돼, 해당 분야에서의 협력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양 기관의 긴밀한 협력은 2023년 튀르키예 대지진을 계기로 본격화됐다. 당시 대한적십자사는 402억 원의 기부금을 모집해 튀르키예 피해지역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