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1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02명(전일 대비 38명 증가), 사망자는 50명(전일 대비 10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382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343명(85.3%),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46명(92.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1주(7.31.~8.6.) 보고된 사망자 209명 중 50세 이상은 201명 (96.2%)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8명(33.8%)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 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51,177명, 해외유입 사례는 61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51,792명이며,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64명(전일 대비 40명 증가), 사망자는 40명(전일 대비 11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332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309명(84.9%),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7명(92.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1주(7.31.~8.6.) 보고된 사망자 209명 중 50세 이상은 201명 (96.2%)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8명(32.5%)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 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49,309명, 해외유입 사례는 588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49,897명이며,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위원장 정기석)는 8월 4일(목), 「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3차 회의에는 정기석 위원장을 포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위원(21명)과, 중앙방역대책본부,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서 참석하였다. 3차 회의는 ▲주간 위험도 평가 및 유행 예측과 ▲먹는 치료제 처방률 제고 방안, ▲4차 접종 제고 방안 등에 대해 중앙방역대책본부와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의 보고를 받고, 관련 논의를 진행하였다. 정기석 위원장은 “지난 코로나 유행 시기와는 다르게 지금은 좋은 치료제와 백신이 있으나, 복잡한 처방 환경과 백신에 대한 인식 문제 등으로 낮은 처방률과 접종률을 보인다”고 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국민에게 쉽고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해야 할 때”라고 강조하였다. “무엇보다 재유행 상황에서 응급·특수병상 확충 현황을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추가 대응계획이 조속히 마련되어 투석·분만·소아청소년 환자가 때를 놓치지 않고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자문위원회는 현재 유행상황 분석을 보면 기간 내 재감염 사례, 소아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오늘(8.8일)부터 면역저하자의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이부실드 투약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부실드는 면역억제치료 및 중증 면역결핍증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으로는 면역형성이 어려운 분들에게 항체를 직접 근육주사로 체내에 투여하여 예방 효과를 발생시키는 ‘예방용 항체주사제’이다. 이부실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22.6.30.)에 따라 국내 도입되었으며, 임상시험 결과 투약 시 감염은 93%, 중증 및 사망은 50%가 감소하는 등 예방 효과가 확인되었고, 최근 오미크론 하위변이체인 BA.4, BA.5에 대해서도 효과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안전성에 있어서 보고된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부작용은 주사부위 반응(2%)으로 대부분 경증(73%) 또는 중증도(24%)였으며, 특별한 안전성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 투약대상자는 면역억제치료를 받고 있는 ①혈액암 환자 ②장기이식 환자 ③선천성(일차) 면역결핍증 환자로서, 이 기준은 대한감염학회, 대한장기이식학회, 대한혈액학회, 대한에이즈학회, 대한류마티스학회 등 관련 전문학회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마련하였다. 현재 이부실드 투약의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24명(전일 대비 27명 증가), 사망자는 29명(전일 대비 2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292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78명(85.8%),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7명(93.1%)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1주(7.31.~8.6.) 보고된 사망자 209명 중 50세 이상은 201명 (96.2%)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8명(32.5%)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4,810명, 해외유입 사례는 48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55,29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0,544,420명(해외유입 48,408명)이다. 8월 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4,810명(최근 1주간 일 평균 102,894.0명)이며, 수도권에서 25,590명(46.7%), 비수도권에서 29,220명(53.3%)이 발생하였다.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6,531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40.3%, 준-중증병상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97명(전일 대비 16명 감소), 사망자는 27명(전일 대비 18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5,263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55명(85.9%),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5명(92.6%)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4주(7.24~7.30.) 보고된 사망자 172명 중 50세 이상은 167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1명(36.5%)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5,023명, 해외유입 사례는 48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05,507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0,489,128명(해외유입 47,926명)이다. 8월 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5,023명(최근 1주간 일 평균 101,379.9명)이며, 수도권에서 50,129명(47.7%), 비수도권에서 54,894명(52.3%)이 발생하였다.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6,531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37.0%, 준-중증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13명(전일 대비 7명 감소), 사망자는 45명(전일 대비 2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5,236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71명(86.6%),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43명(95.6%)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4주(7.24~7.30.) 보고된 사망자 172명 중 50세 이상은 167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1명(36.5%)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0,093명, 해외유입 사례는 573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10,66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0,383,621명(해외유입 47,442명)이다. 8월 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0,093명(최근 1주간 일 평균 96,835.6명)이며, 수도권에서 54,646명(49.6%), 비수도권에서 55,447명(50.4%)이 발생하였다.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6,531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35.3%, 준-중증병상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20명(전일 대비 10명 증가), 사망자는 47명(전일 대비 13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191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75명(85.9%),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41명(87.2%)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4주(7.24~7.30.) 보고된 사망자 172명 중 50세 이상은 167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1명(36.5%)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2,404명, 해외유입 사례는 49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12,90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0,273,011명(해외유입 46,818명)이다. 8월 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2,404명(최근 1주간 일 평균 92,771.0명)이며, 수도권에서 55,980명(49.8%), 비수도권에서 56,424명(50.2%)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월 5일 0시 기준으로 국내 BA.2.75 변이 감염 환자 2명이 추가 확인되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10명(전일 대비 26명 증가), 사망자는 34명(전일 대비 8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144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62명(84.5%),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9명(85.3%)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7월 4주(7.24~7.30.) 보고된 사망자 172명 중 50세 이상은 167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1명(36.5%)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7,459명, 해외유입 사례는 43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07,89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0,160,154명(해외유입 46,329명)이다. 8월 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7,459명(최근 1주간 일 평균 88,840.9명)이며, 수도권에서 53,464명(49.8%), 비수도권에서 53,995명(50.2%)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3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84명(전일 대비 2명 증가), 사망자는 26명(전일 대비 10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110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35명(82.7%),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3명(88.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4주(7.24~7.30.)에 보고된 사망자 172명 중 50세 이상은 167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1명(36.5%)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9,322명, 해외유입 사례는 60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19,92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0,052,305명(해외유입 45,900명)이다. 8월 3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9,322명(최근 1주간 일 평균 86,056.4명)이며, 수도권에서 60,787명(50.9%), 비수도권에서 58,535명(49.1%)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월 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BA.2.75 변이 감염 환자 5명*이 추가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