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온스메디텍이 키메스2022(KIMES2022)에서 국산 의료기기 전문 기업의 저력을 알렸다. ㈜휴온스메디텍(대표 이상만)은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나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 ‘키메스 2022’에 참가, 소독·멸균부터 에스테틱, 치료로 확장된 종합 의료기기 포트폴리오를 선보였다고 15일 밝혔다. ▲소독·멸균 영역에서는 구급차소독기로 많이 쓰이는 공간멸균기 ‘휴엔 IVH ER’를, ▲에스테틱 영역에서는 3세대 자동압력주입장치 ‘더마샤인 프로’와 여드름 치료용 의료기기 ‘더마 아크네’를, ▲치료 영역에서는 산부인과에서 쓰이는 여성용 약물 주입기 ‘질소프’를 필두로 다양한 의료 영역을 아우르는 대표 기기들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휴엔 IVH ER은 시중의 공간멸균기 대비 컴팩트해진 사이즈와 특허 기술 ‘에어쿠션 기술’로 쉽고 빠르게, 효율적으로 각종 바이러스(사스,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와 MRSA, 박테리아(포자 포함)까지 사멸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해외 제품과 비교해서도 멸균력이 뛰어나고 가격 경쟁력도 월등해 관람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더마샤인 프로는 전세계 누적 판매
헬스 테크놀로지 선도 기업 ㈜필립스코리아(대표 김동희, www.philips.co.kr)는 21일 개원하는 중앙대학교 광명병원(병원장 이철희)에 필립스의 첨단 영상진단장비와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설치했다고 14일 밝혔다. 필립스는 정밀진단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도입과 최적화를 통해 중앙대학교 광명병원이 미래의료를 선도하는 환자 중심 병원으로 도약하는 데 일조하겠다는 계획이다. 중앙대학교 광명병원은 수도권 서남부 최대 규모인 700병상 규모에 30여개의 진료과, 6개의 중증전문클러스터(암병원, 심·뇌혈관병원, 소화기센터, 호흡기센터, 척추센터, 관절센터)를 운영한다. 병원은 광명시를 포함한 서남부 지역의 병원들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거점 대학병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필립스가 중앙대학교 광명병원에 도입하는 주요 솔루션은 지난해 국내 출시된 ‘스펙트럴 CT 7500’, 첨단 기술을 집약한 디지털 MRI ‘인제니아 엘리시온 X 3.0T’, ‘인제니아 3.0T CX’ 등 최신 영상진단장비와 초음파, 인터벤션 혈관조영 시스템 등이다. 이와 함께 디지털 병리 솔루션 및 환자 모니터링 솔루션 등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도 지원한다. 필립스는 지난 해
글로벌 의료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뷰노(대표 이예하)는 인공지능 기반 폐 CT 정량화 솔루션 뷰노메드 렁퀀트™(VUNO Med®-LungQuant™)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을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뷰노메드 렁퀀트™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폐 CT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해 CT 영상에서 특징적인 영역을 분할하고, 세부 영역별 시각화 및 정량화 정보를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의료진이 폐질환의 종류와 심각도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제품의 허가사항에 따르면 해당 솔루션과 흉부영상의학과 전문의와의 폐 CT 영상 내 관심영역표시 일치도는 90% 이상으로 높은 성능을 입증했다. 뷰노는 창업 초기부터 참여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글로벌SW전문기업육성사업을 통해 뷰노메드 렁퀀트™의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지난 2020년 초 신종 코로나바이로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됨에 따라 감염 환자의 폐 CT에서 간유리(Ground Glass Opacity), 경화(Consolidation) 등 이상 소견이 나타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CT 영상 기반 스크리닝이나 경과 관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뷰노는 기존 폐질환에 대한 정밀 분석 및 진단을 목적으로 개발한 원천기술을
씨유메디칼시스템(대표 김형수)은 10일부터 나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37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이하 KIMES 2022)'에서 신제품 및 신규 운영 체계를 공개했다. 신제품 ‘아이패드(iPAD) CU-SPR’을 수조 속에 넣은 채로 전시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자동심장충격기(AED)는 공공장소 및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에도 설치하지만, 선박·축구장 등 실외 운동시설, 구조현장 등 일반적인 자동심장충격기(AED)의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도 설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씨유메디칼시스템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방진·방수 최고 등급인 IP68을 획득한 신제품‘iPAD CU-SPR’을 선보였다.
㈜필립스코리아(대표 김동희, www.philips.co.kr )는 10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 37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orea International Medical & Hospital Equipment Show, KIMES2022)에 참가해 임상 현장을 위한 폭넓은 정밀의료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선보인다. 의료 분야는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정밀의료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밀의료의 첫걸음은 정확한 진단에서부터 시작하며, 의료진은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 첨단 기술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병원뿐만 아니라 중소형 병원에서도 시스템 개편, 첨단 장비 도입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며 정밀의료 실현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중이다. 필립스는 이번 KIMES에서 ‘정밀의료를 향한 길, 필립스가 함께합니다(Illuminating the path to precision care. Together, we make life better)’를 주제로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진단 및 치료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폭넓은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필립스의 최신 기술을 집약해 의료진 업무
로레알코리아(대표 크리스티앙 마르코스)가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임직원을 대상으로 ‘디지털 액셀러레이션 서밋’(Digital Acceleration Summit)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액셀러레이션 서밋’은 로레알의 디지털 전환 비전과 전략을 공유하고 조직 차원의 디지털 업무 경험 및 학습을 독려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디지털 이노베이션 ▲이커머스 전략과 계획 ▲’뉴노멀’ 시대의 데이터 세 가지 테마로 구성됐다. 오프닝에서는 크리스티앙 마르코스 로레알코리아 대표를 AI로 구현해, AI를 활용한 뷰티테크 기술과 디지털 이노베이션의 미래에 대한 메시지를 전했다. 크리스티앙 마르코스 대표의 AI 가상인간은 인공지능 서비스 전문 기업 마인즈랩과의 합작으로 개발됐다.
화장품 ODM OEM 전문기업 ‘유씨엘(대표 이지원, www.e-ucl.co.kr)’ 제주연구소 문지영 책임연구원이 대한화장품협회 제73회 정기총회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표창을 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표창은 화장품 업계의 경쟁력 향상과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주어지는 뜻깊은 상이다. 문지영 책임연구원은 R&D 중심으로 지속 성장해 온 유씨엘에서 10여 년 동안 근무하면서 화장품 소재개발과 산학협력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문 책임연구원은 “화장품 업계 종사자로서 대한화장품협회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표창을 받게 돼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라며 “앞으로도 제주 천연 소재 개발, 독보적인 자체 기술력 확보 등을 통해 회사와 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셀바스AI(KOSDAQ 108860)가 맞춤형 AI 음성기록 제품으로 공공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셀바스AI의 AI 음성기록 ‘셀비 노트(Selvy Note)'는 다자 간 대화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AI 음성인식 솔루션이다. 국내 최고 음성 인식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말하는 대화 내용을 정확하게 문서화할 수 있다. ‘셀비 노트’는 ‘고정형(설치형)’과 ‘이동형’ 제품 등 고객의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라인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형(설치형)’은 조사실, 상담실, 회의실 등 고정된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AI 음성기록 장비를 제공하며, ‘이동형’은 고성능 노트북에 인공지능 음성인식 엔진을 탑재하여 현장 방문이 빈번한 사용자가 다양한 장소로 편하게 이동하고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성을 극대화했다. 조서 및 상담록을 실시간 작성할 뿐 아니라 조사, 상담 내용 녹음 후 필요할 때 작성이 가능하도록 비실시간 기능도 지원하여 시간, 장소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데이터에 대한 보안 및 접근 권한 관리도 가능하다. ‘셀비 노트’는 다양한 상용화 경험을 통해 고객 맞춤형 제품으로 호평받고 있다
㈜딥바이오(대표 김선우, 이하 딥바이오)가 오는 미국캐나다병리학회(USCAP) 및 미국암연구학회(AACR) 학술대회에 자사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암 진단 및 예후예측 관련 연구 초록 총 10편이 채택됐다고 밝혔다. 먼저 3월 19일부터 24일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병리학 학회 미국캐나다병리학회(USCAP) 연례 학술대회에서는 총 5개의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연구는 자사의 주요 암 영역인 전립선암을 비롯해 유방암, 폐암 분야에서 딥러닝을 활용한 진단 및 생존분석을 다루고 있다. 채택된 초록은 ▲면역 염색 슬라이드에서의 전립선암 진단 인공지능, ▲유방암 절제조직에 대한 자동화된 조직학적 등급 부여, ▲전립선암 진단 모델로 추출한 특징을 통한 유방암 생존 분석, ▲FCRN과 암 영역 분할 신경망을 이용한 Ki-67 지표 자동 추정 ▲불확실성 고려를 통한 딥러닝 기반의 폐암 진단 성능 개선 총 5개로, 포스터 발표로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오는 4월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진행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학술대회에서는 딥러닝을 이용한 분자 아형 정량화 분석을 포함한 환자의 생존 예측 분석 연구 결과를 공유한다. 특히 특정 암이 아닌
레몬헬스케어(대표 홍병진)와 헬스케어 콘텐츠 플랫폼 기업 위뉴(대표 황보율)가 21일 ‘인공지능(AI)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공동 사업 추진’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올바른 건강정보를 확산하고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반 기술을 활용한 공동 사업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레몬헬스케어와 위뉴의 헬스케어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하여 환자의 질환 정보 분석 및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콘텐츠를 생산, 헬스케어 커뮤니케이션 고도화에 우선 활용할 예정이다. 양사는 △잘못된 건강상식 △건강을 해치는 생활습관 확산 △일반인 눈높이에 맞는 콘텐츠 부재 등 최근 헬스케어 콘텐츠의 문제점에 공동 인식을 같이 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차원에서 올바른 디지털 헬스케어 문화 구축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