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26일 국내 첫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한지 지난 25일부로 1년(’21.2.26.-‘22.2.25.)을 맞았다. 최초 접종은 ’21년 2월 26일(금) 요양병원 및 시설의 만 65세 미만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시작됐으며, 2월 27일(토)부터는 코로나19 환자 치료 병원의 종사자에게도 접종이 실시됐다. 현재까지 누적 접종(1~4차)은 118,921,034건이며, 접종을 받은 인원은 총 44,846,725명이다. 인구(5,132만명)의 87.4%가 1회 이상의 접종을 받았고 86.4%가 기초접종(1차·2차)을 완료했다. 현재까지 3차접종은 인구 대비 60.9%인 31,228,461명이 완료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OECD 회원국 가운데 인구 대비 2차접종률은 3번째로 높고, 3차접종률은 7번째로 높다. 높은 접종률을 통해 코로나 19 발생과 사망 등 건강피해를 최소화하며, 유행을 통제해오고 있다. 하루 평균 325,811건의 접종이 시행됐으며, 하루에 가장 많은 접종이 이뤄진 날은 ’21년 12월 17일로, 총 1,381,110건의 접종이 실시됐다. 인구 대비 접종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남도(기초접종 89.0%, 3차접종70.0%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27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4,893명, 2차접종자 8,425명, 3차접종자 118,687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851,869명, 2차접종자수는 44,358,392명, 3차접종자수는 31,352,874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월 2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63명, 사망자는 4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944명(치명률 0.27%)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3,414명, 해외유입 사례는 15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63,56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994,841명(해외유입 29,158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26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8,725명, 2차접종자 13,566명, 3차접종자 221,409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846,725명, 2차접종자수는 44,349,600명, 3차접종자수는 31,228,461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월 2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43명, 사망자는 11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895명(치명률 0.28%)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6,068명, 해외유입 사례는 14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66,20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831,283명(해외유입 29,006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25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6,123명, 2차접종자 10,222명, 3차접종자 144,960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835,692명, 2차접종자수는 44,333,632명, 3차접종자수는 31,002,534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월 2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55명, 사망자는 9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783명(치명률 0.29%)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5,749명, 해외유입 사례는 14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65,89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665,077명(해외유입 28,866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24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5,712명, 2차접종자 3,537명, 3차접종자 107,067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827,579명, 2차접종자수는 44,321,423명, 3차접종자수는 30,853,832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월 2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81명, 사망자는 8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689명(치명률 0.31%)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9,846명, 해외유입 사례는 17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70,01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499,188명(해외유입 28,725명)이다.
연구목적의 치매환자 뇌조직을 치매뇌은행에서 분양받을 수 있게 됐다.치매뇌은행 중 시체제공기관으로 개설 허가받은 서울대학교병원 및 삼성서울병원에서 우선 치매 환자 뇌조직 분양이 가능하다. 부산대병원은 연구목적 시체제공기관 허가신청 심의 중이며, 명지병원은 심의 준비 중이어서 조만간 분양 의료기관의 확대도 가능할 전망이다. 치매뇌은행으로부터 치매 환자 뇌조직 및 임상 자원 활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치매 진단법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국내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치매뇌은행 구축 현황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치매뇌은행이 「시체 해부 및 보존 등에 관한 법률(시체해부법)」에서 정하는 ‘연구목적 시체제공기관’으로 허가를 받음에 따라 치매 환자 뇌조직 등 뇌자원 분양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 치매 연구인프라 구축사업으로 2016년부터 치매뇌은행을 구축하기 시작하여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삼성서울병원(2016년 지정), 부산대병원(2018년), 명지병원(2021년) 등 4개소를 지정 운영해오고 있다. 치매뇌은행은 치매를 비롯한 퇴행성 뇌질환 환자의 뇌기증 동의를 받아 임상·역학 정보 및 사후 뇌부검을 통해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23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6,228명, 2차접종자 3,811명, 3차접종자 112,164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819,897명, 2차접종자수는 44,315,903명, 3차접종자수는 30,743,393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월 23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12명, 사망자는 9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607명(치명률 0.3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71,271명, 해외유입 사례는 18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71,45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329,182명(해외유입 28,554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22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7,978명, 2차접종자 5,431명, 3차접종자 158,644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811,397명, 2차접종자수는 44,309,867명, 3차접종자수는 30,626,840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월 2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80명, 사망자는 5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508명(치명률 0.35%)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9,444명, 해외유입 사례는 129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99,57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157,734명(해외유입 28,373명)이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022년 2월 21일(월)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2022년도 질병관리청 소관 제1회 추가경정예산이 총 2조 2,921억 원 이라고 밝혔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 및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라 국회 심사과정에서 방역대응을 위한 예산이 추가 보강되어 당초 정부안(1조 1,069억 원) 대비 1조 1,852억 원 증액되었다. - 2022년 제1회 추경예산 사업별 내역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에 대응하여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치료제 추가 구입(+6,188억 원)과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라 격리· 입원자의 생활지원·유급휴가비 추가 확보(+1조 3,498억 원) 및 재택치료자에 대한 생활지원비 추가 지원도 예산에 반영(+1,123억 원)됐다 또 진단검사 체계 개편에 따른 보건소(선별진료소, 임시선별검사소) 신속항원검사(RAT) 실시를 위한 진단키트 지원 신규지원(+1,452억 원)과 진단검사 급증에 따라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검사인력 등의 사기진작과 처우개선을 위한 활동비 한시 지원 연장(3→9개월, +60억 원)도 포함됐다. 이밖에 코로나19 장기화에도 의료현장 최일선에서 환자치료를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는 보건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21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305명, 2차접종자 520명, 3차접종자 7,253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799,973명, 2차접종자수는 44,300,971명, 3차접종자수는 30,464,700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월 2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80명, 사망자는 4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450명(치명률 0.36%)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5,218명, 해외유입 사례는 14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95,36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058,184명(해외유입 28,244명)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발생 주간 분석결과, 2월 19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유입 9,211명(+615), 국내감염 29,648명(+6,677)이 확인되어 총 38,859명(+7,292)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