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록시헬스케어(대표: 김영욱)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이노비즈(Inno-Biz)’ 인증을 획득했다. 프록시헬스케어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이노비즈(Inno-Biz) 인증기간은 2023년 7월 17일부터 2026년 7월 16일까지로 인증 취득일로부터 3년간 유지되며, 프록시헬스케어는 정부로부터 금융, R&D, 수출, 인력 등 다양한 부문의 사업 혜택을 받게 되었다.
휴온스그룹의 토탈헬스케어 부자재 전문기업 휴엠앤씨가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 한다. 휴엠앤씨(대표 김준철)는 최근 베트남 타이빈성에서 베트남 산업단지개발 국영기업 비그라세라(Viglacera)와 공장 구축에 관한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고 26일 밝혔다. 앞서 성남 판교 휴온스그룹 사옥에서 이사회를 열고 베트남 현지 공장 설립을 결정했다. 휴엠앤씨는 고령화로 확대되고 있는 의료용 및 미용 목적의 주사제 수요를 위해 약 20억원을 출자하여 베트남 타이빈성에 4500평 규모의 의료용기 생산 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베트남 공장은 4500평 규모로 법인설립 직후 설비투자를 단행해 1차적으로 2025년까지 연간 약 5,000 만 바이알, 8,000만 카트리지, 5,000만 앰플 생산이 가능한 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그렇게 되면 현재 국내 생산분의 60%에 달하는 생산능력을 추가로 갖추게 된다. 휴엠앤씨는 저렴한 인건비와 풍부한 노동력을 갖춘 베트남에 생산 공장을 구축해 바이알, 카트리지, 앰플 등 의료 용기 품목의 생산량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공장이 들어설 타이빈성은 하이퐁 항구와 가까운 경제 특구 지역으로 물류비 절감을 통해 수출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블루팜코리아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독감백신 사전주문 할인판매 이벤트를 시작했다. 지난해에도 정식 출하 전 한달간 독감백신 사전주문 이벤트로 1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만큼 관심이 높았었다. 올해는 7월 24일부터 시작해 행사에 하루만에 10억원(약 6만도즈)의 독감사전주문이 몰렸다. 이는 전년 대비 2배를 넘는 수준이다. 독감예방접종은 통상 9월 중순에서 10월 초 접종이 시작된다. 제약사와 유통사들은 이에 맞춰 7~8월에 국가검정절차를 진행하고 8월말부터 유통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달 빨리 진행되는 블루팜코리아의 독감백신 사전주문 행사는 주문수요가 몰리고, 냉장배송차량 확보가 어려운 시즌을 피해 조금 일찍 구매하면 할인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번 행사기간 동안에는 주문수량에 따라 최대 15% 할인된 가격에 독감백신을 판매하며, 20만원 상당의 의료소모품 쿠폰 증정, 지정일 배송이나 분할배송 등 추가혜택도 제공된다. 한편 작년 9월부터 시작된 독감유행주의보는 역대 최장기간인 열달째 해제되지 않고 있고 코로나19도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주 발표된 질병청 주간보고서에 따르면 하루 평균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약 2만8천 명 정도이며, 독감 의심환
생명보험재단은 마음 치유 플랫폼 플레이라이프에서 참여자 스스로 실천하며 변화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커뮤니티형 프로그램인 챌린지를 지난 5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번 챌린지는 매일 한 번 그림을 그려보며 나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나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갖는 프로그램으로, ‘하루 5분, 감정 그림 일기’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8월 챌린지는 내 욕구와 감정을 알아차리고 그것을 바르게 표현하는 훈련을 통해 더 ‘나다운 삶’을 향해 나아가는 방법을 알려준다. 참여자는 온라인 OT로 활동에 대한 안내를 받은 후, 제공된 툴킷을 따라 내 감정을 쓰고 그리는데 익숙해질 수 있도록 돕는 미션을 3주 동안 수행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내가 원하는 감정을 선택하고, 나의 진정한 욕구를 발견하는 방법은 물론, 매일 꾸준히 남긴 내 감정에 대한 기록과 참여자 간 나누는 격려와 지지 등 성취감까지 얻어갈 수 있다. 생명보험재단은 유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챌린지 종료 시 랜선 시상식을 열어 활동 결과를 발표하고 참여율이 높은 이들에게는 특별 리워드를 제공하고 있다. ‘하루 5분, 감정 그림 일기’ 챌린지는 8월 7일부터 8월 25일까지 온라인 인증 방식으로 진행된다.
기업간 M&A는 양 당사자들의 만남 이후 다양한 절차가 이어진다. 그 중 밸류에이션(valuation)은 기업가치를 판단하는 것으로 회계법인, 전문 평가기관 등이 참여한다. 밸류에이션은 여러 접근법이 있을 것이다.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한 자산가치법, 동종업계 등을 비교한 상대가치법, 미래수익 창출능력을 보는 수익가치법 등이다. 지난 20일 피봇브릿지가 기업가치 시뮬레이터 e-Valuation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피봇브릿지의 기업가치 시뮬레이터 e-Valuation은 4가지 주요 특징이 있다고 한다. 첫 째는 평가의 대상이 경영권이며, 경영권 이관을 수반한 최대주주의 주식양도 시 매각당사자가 받게 되는 매각대금을 제시해준다고 한다. 둘째는 시장의 시세를 반영한다고 한다. 피봇브릿지에 따르면 기업도 주식, 부동산 시세와 같이 시장 영향을 받으며, 이를 적절히 반영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e-Valuation은 별도의 수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평가요소의 가중치를 주기적으로 보정해준다고 한다. 셋째는 정성적 평가도 이루어진다고 한다. 피봇브릿지에 의하면 상장기업의 경우 주가가 미래영업가치를 어느 정도 반영한다고 한다면 비상장기업의 경우 미래현금흐름(DCF)이
스트레스솔루션(대표 배익렬)이 5월 말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와 인라이트벤처스로부터 5억원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25일 밝혔다. 스트레스솔루션은 개인별 의과학적 데이터 심전도 파형을 기반으로 자율신경 균형을 조종 유도하는 맞춤형 사운드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힐링비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스트레스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AI로 개인별 스트레스 수준 상황을 예측하여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자동 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솔루션은 사용자의 심박동수와 심전도 파형을 분석 후 시뮬레이션 맵핑 기술로 개인별 맞춤형 사운드 소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존의 바이노럴 비트, 화이트 노이즈, 이완 음악 등 뇌파 기반의 일방향적 서비스와 달리, 심전도 파형 기반의 양방향 소통으로 맞춤형 소리를 제공하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엘에스케이글로벌파마서비스(LSK Global Pharma Services Co., Ltd.; 이하 LSK Global PS)는 유한양행이 개발한 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의 성공적인 2상 및 3상 임상시험 데이터관리(Clinical Data Management)에 이어 허가 후 생존 추적 기간에도 고품질의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한양행의 렉라자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국내에서 31번째로 개발된 표적 항암제 신약이다. 렉라자는 2021년 2차 치료제로 허가 받아 지난 2023년 6월 30일 국내 항암신약 최초로 1차 치료제로 적응증 확대에 성공했다. LSK Global PS는 2017년부터 약 6년간 임상 2상 및 코호트 연장연구와 2019년부터 약 4년간 3상 임상시험의 데이터관리 업무를 수행했다. LSK Global PS는 렉라자 2상 임상시험 데이터관리 진행 중에 투입돼 데이터 오류, 일관성 및 품질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난이도의 업무 영역이었음에도 고품질의 결과를 도출해 다시 한번 높은 수준의 데이터관리 역량을 확인했다. 3상 임상시험은 한국, 그리스, 헝가리 등 13개국에서 약 400명의 데이터가 수집됐다
김재열씨 별세, 송정자씨 배우상, 김준회·선영·선아씨 부친상, 김경애씨 자부상, 장명균, 유준하(동화약품 대표이사)씨 장인상 = 24일 오후 1시 30분, 이대서울병원 장례식장(마곡동) 특2호실. 발인 26일 오전 6시 ☎02-6986-4440
젠엑시스는 유망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인 ‘젠엑시스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Genaxis Global Accelerating Program, 이하 ‘GGAP’)’의 참여기업 선발을 완료하고 킥오프를 성료했다고 밝혔다. 젠엑시스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수탁ㆍ운영하는 서울바이오허브가 주관하는 ‘2023 글로벌 진출 현지특화 전문 프로그램’의 파트너스사로 선정된 바 있다. 젠엑시스는 K-바이오 창업 기업의 해외 진출 역량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현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고자 GGAP를 운영한다. 특히 2023 GGAP는 세계 최대의 바이오 클러스터가 위치한 미국 보스턴 지역 진출을 목표로 한다. 젠엑시스는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할 우수한 기술력과 사업성을 갖춘 바이오 창업기업 4개사를 선정했다. 선정기업은 △레모넥스(원철희 대표,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 △바이오미(윤상선 대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희귀ㆍ난치병 치료제), △엠테라파마(손미원 대표, 다중오믹스/네트워크 분석 플랫폼 기술 기반의 천연물 유래 난치성질환 치료제), △와이어젠(현정근/윤상진 공동대표, 말초 및 척수신경의 재생율을 높여주
SYM헬스케어(대표 안정훈)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원장 정희진)이 주관하는 ‘2023년 개방형 실험실 구축사업(단장 조금준)’의 연구과제에 선정되었다고 24일 밝혔다. 고려대 구로병원의 '개방형 실험실‘은 임상 전문가와 우수 연구 인프라를 보유한 병원에 개방형 실험실을 구축, 기업과 공동연구 등의 협력을 통해 보건의료분야 창업기업을 육성∙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 5월,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 개방형 실험실을 구축한 SYM헬스케어는 ‘의학적 타당성에 기반한 의료용 AI 마커리스 동작분석기반 디지털치료제(4DEYE) 소프트웨어 추가 개발’ 연구과제를 맡아 지난 6월 21일(수) 협약식 및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연구과제 선정에 따라 고려대 구로병원(정형외과 이정일 교수)이 보유한 임상경험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SYM헬스케어의 ‘4DEYE AI 근골격계 검진 솔루션’과 ‘4DEYE AI 디지털치료제’에 대한 공동 임상연구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