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고대의대, 제3, 4, 5회 Research Nexus Program 개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편성범)이 국제적 연구 성과 증진을 위해 최신 연구 동향을 나누고, 국제공동연구 활성화를 도모하는 해외 석학 초청 세미나를 이어가고 있다.

고대의대는 지난 6월, 뇌 영상 및 인지 분야에서 독보적인 전문성을 갖춘 세 명의 석학을 초청해 세미나를 개최했다.

6월 13일에는 ‘인지 신경과학 및 언어장애 연구 분야의 저명 석학’ 매튜 람본-랄프(Mattew Lambon-Ralph, 케임브릿지대) 교수가 신경과학 관련 강연(제목: The Neural and Computational Basis of Semantic Representation and Its Disorders)을 열었다.

매튜 람본 랄프 교수는 케임브릿지대학교 MRC 인지 및 뇌 과학 연구소(MRC Cognition and Brain Sciences Unit; MRC-CBU)의 소장을 맡고 있으며, 실어증 환자의 언어 및 인지기능의 회복과 기전 연구를 수행해 관련 분야 논문 365편, 인용 횟수 4만 회 이상, H-index 110으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연구자이다. 

이번 강연에서는 언어 처리 및 의미 기억과 관련된 뇌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며 참여자들의 인지/뇌 과학 분야의 이해를 높였다.

28일에는 ‘영상의학 및 신경과학 분야 저명 석학’ 도로시 아우어(Dorothee Auer, 노팅엄대) 교수와 ‘인지 신경과학 분야 저명 석학’ 마빈 천(Marvin M. Chun, 예일대) 교수 강연이 이어졌다.

도로시 아우어 교수는 노팅엄대학교의 정밀 영상 연구소(Precision Imaging) 소장으로, 첨단 신경 영상 기술을 활용한 임상 신경과학 분야에서 영상 바이오마커의 개발 및 이를 통한 신경학적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주력하고 있다. 관련 분야 논문 500편 이상, 인용 횟수 1만 8천 회 이상, H-index 73으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연구자이다.

이번 강연에서는 영상 유도 신경 조절의 임상 적용 가능성(제목: Imaging-guided Neuromodulation: Are we close to clinical translation?)을 주제로 강연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뇌 영상 분석기술을 가진 노팅엄대의 연구 동향을 공유해 신경 영상 및 신경 조절 연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학생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다.

마빈 천 교수는 인지 신경과학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로 신경과학, 정신의학, 인지과학 분야의 발전을 이끈 학자이다. 또한, 예일대 개교 316년 만에 첫 아시안 학부 학장을 역임한 바 있다.

이번 강연에서는 fMRI와 기계학습(머신러닝)을 활용한 개인 뇌 성능 및 기능 장애 측정(제목: Illumination the Mind: New Dimensions in Brain Imaging)을 주제로 뇌 과학과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을 통해 개인의 뇌 기능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fMRI와 기계학습을 결합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의료의 가능성을 열고, 뇌 질환의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법 및 뇌 기능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편성범 학장은 “세계적인 명성의 석학 세 분을 모시고,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나눌 수 있었던 이번 세미나는 신경과학 분야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 및 학생들에게 값진 경험이 될 것”이라며, “이번 강연이 새로운 아이디어 촉진을 돕고, 국제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강화로 이어져 연구 발전을 가속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 민·관 인공지능 협력 및 정책 지원 방안 논의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7월 29일, 헬스케어 분야 전문 기업과 인공지능 연구 개발을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정부의 ‘AI 3대 강국 실현’ 전략에 발맞추어 국내 인공지능 전문가가 헬스케어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국내외 현황 및 미래 전략을 발표하고, 질병관리청은 국립보건연구원이 보유한 헬스케어 멀티모달 데이터 및 인공지능 사업을 소개한 뒤, 민관 협력 및 정책 지원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 최대의 코호트 운영 기관으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을 비롯하여 다양한 정상군 및 질환 코호트를 운영하고 있다. 코호트를 통해 최장 25년간의 임상·역학 추적 정보와 유전체, 오믹스, 영상, 마이크로바이옴 등 헬스케어 멀티모달 데이터를 구축·공개하여 인공지능 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에 힘쓰고 있다. 또한, 국내 헬스케어·인공지능 분야 연구개발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코호트 기반 멀티모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및 코호트 연구 강화를 위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개발함으로써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제고와 전략적 기반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과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피서 뒤 찾아오는 눈의 불청객, '이질환' A씨는 최근 더위를 피해 바다로 피서를 다녀온 뒤 눈이 충혈된 것을 발견했다.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며칠이 지나도 이물감과 가려움이 가라앉지 않아 병원을 찾았고, 바이러스성 결막염을 진단받았다.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수영장, 계곡, 바다 등으로 떠나는 피서객들이 늘고 있다. 물놀이와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에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결막염이 급증하는데, 이를 단순한 눈의 피로로 여기고 방치할 경우 만성화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결막염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바깥쪽을 덮고 있는 투명한 점막인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세균성, 알레르기성으로 구분된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여름철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데, 아데노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며 수영장이나 워터파크 등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 전염력이 높아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도 쉽게 옮을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도 여름철에 흔히 발생하는 형태다. 자외선 노출, 미세먼지, 꽃가루, 동물의 털 등이 원인이 되며, 냉방기 사용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건조하거나 자극적인 경우 증상이 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