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로봇수술 1만례 기념 심포지엄 개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원장 한승범)이 1월 10일(금) 안암병원 5층 메디힐홀에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로봇수술 1만례 달성을 기념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작년 10월 로봇수술 1만례를 돌파하고 아시아 최초로 최신 로봇수술기기 다빈치5를 도입하는 등 국내 로봇수술 분야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날 심포지엄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로봇수술센터의 역사를 회고하고, 최신 동향과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세션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일반 외과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로봇수술을 주제로 김진 교수(대장항문외과)와 김훈엽 교수(유방내분비외과)가 좌장을 맡았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경구로봇갑상선수술의 역사와 혁신(박다원 유방내분비외과 교수) ▲로봇 췌장절제술(유영동 간담췌외과 교수) ▲대장암에서의 로봇수술(백세진 대장항문외과 교수)을 주제로 논의가 이어졌다.

 두 번째 세션은 대장암, 직장암 로봇수술의 선구자인 김선한 교수(前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대장항문외과)의 특별 강연으로 이루어졌다. 김 교수는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되고 있는 로봇수술의 현황과 잠재력, 도전들을 소개하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로봇수술센터에 대한 소회를 전했다.  

 세 번째 세션은 비뇨의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로봇수술에 대한 주요 이슈를 주제로 이루어졌으며, 강석호 교수(비뇨의학과)와 강성구 교수(비뇨의학과)가 좌장을 맡았다. ▲로봇근치적방광절제술 및 총체내요로전환술(노태일 비뇨의학과 교수) ▲안암병원에서 로봇근치적전립선절제술의 기술적 변화(강성구 비뇨의학과 교수) ▲비뇨의학에서 로봇 및 재건 수술(심지성 비뇨의학과 교수)를 주제로 연자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네 번째 세션은 산부인과 분야에서의 로봇수술로 송재윤 교수(산부인과), 이상훈 교수(산부인과)가 좌장으로 나서 세션을 이끌었다. ▲부인암 로봇수술(송재윤 산부인과 교수) ▲자궁내막증에서의 로봇수술(김성민 산부인과 교수) ▲로봇을 이용한 브이노츠 수술법(류기진 산부인과 교수)이 발표됐다.

 마지막 세션은 로봇수술에서 미지의 영역을 개척한 선구자들에 대한 소개로 곽정면 교수(대장항문외과)가 좌장을 맡았다. ▲흉부 내에서 발생하는 암에서의 로봇수술(정재호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 ▲구강 내에서 시행되는 로봇수술 범위의 확장(김연수 이비인후과 교수) ▲로봇 탈장 수술의 발전(유효선 대장항문외과 교수) ▲유방암 수술에서의 로봇 솔루션(유지영 유방내분비외과 교수) ▲로봇 술기를 이용한 성형외과 수술의 혁신(이형철 성형외과 교수) ▲로봇수술 전문 간호사로서의 여정과 경험(민현진 로봇수술 간호사) ▲새로운 로봇수술 시스템: 다빈치5(인튜이티브 서지컬) 등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로봇수술센터의 현황과 비전에 대해 조명했다.

 한승범 병원장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로봇을 이용한 다양한 술기를 개발하고, 로봇수술법의 표준을 정립해오며 로봇수술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이제 우리 병원은 각국에서 첨단 술기를 배우러 오는 병원으로 성장했다”며 “1만례는 우리 모두가 열정을 모아 이룬 결과이며, 새로운 도전의 시작을 알리는 숫자이다. 앞으로도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함께 나아가자”고 말했다. 

 강성구 로봇수술센터장은 “안암병원 로봇수술센터는 환자에게 최선의 치료법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진료 분야에서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특정 진료과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의료 분야에서 로봇수술을 폭넓게 시행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다각적인 접근과 여러 과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로봇수술의 세계적 발전을 이끌어가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암·희귀질환 환자,11,822명 진단, 5,512명 치료, 29,379건의 코호트 데이터 등록 “저는 곤충학자가 되는 게 꿈이에요. 어느 날 사슴벌레를 보았는데, 그때부터 곤충의 매력에 빠졌어요. 어린이날에는 동생과 함께 커다란 테라리움을 만들고 싶어요.” 11살 김현우 군(가명)은 자신의 꿈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최근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진단받고 치료제를 사용하며 외래 추적 관찰을 받고 있는 현우 군은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을 통해 소아 혈액암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 향상을 위한 유전체 분석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치료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치료 플랫폼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현우 군은 아픔에서 멈추지 않으며 성장하고, 꿈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고 있다. 현우 군처럼, 병마와 싸우면서도 자신만의 꿈을 키워가는 많은 어린이들이 있다. 이러한 어린이들에게 뜻깊은 어린이날을 선물하기 위해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단장 최은화)은 5월 2일, 서울대어린이병원 CJ홀에서 ‘우리들은 자란다’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바랐던 고(故) 이건희 회장의 유지를 이어 받아, 소아암 및 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기 위해 진행됐다. 사업단은 이번 행사에서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