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2024년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 현황과 특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담은 「2024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를 8월 28일부터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을 통해 공개했다.
이번 통계는 2006년부터 실시해 온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로, 손상의 원인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예방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근거로 활용된다.
1. 응급실 환자 수 감소, 중증 환자 비율은 증가
2024년 손상환자는 총 86,633명으로, 전년(203,285건) 대비 42.6% 수준으로 급감했다. 그러나 입원율은 23.7%(전년 16.1%)로, 사망률은 2.6%(전년 1.2%)로 오히려 증가했다. 관계자는 "이는 의료계 상황으로 경증 환자 방문은 줄고 중증 환자 중심으로 응급실이 이용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고 전했다.
성별로는 남자(56.5%)가 여자(43.5%)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이 19.3%로 처음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2. 추락·낙상 최다 손상, 음주 시 위험 5배 증가
가장 흔한 손상 기전은 추락·낙상(40.0%), 다음은 둔상(15.2%), 운수사고(15.1%)였다.
음주 상태에서는 추락·낙상(42.7%), 중독(19.8%), 둔상(16.4%), 질식(0.9%) 등 손상이 비음주 상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해·자살 및 폭력·타살 등 의도적 손상 발생 비율은 38.6%로 비음주(7.9%)보다 약 5배 높았다. 관계자는 음주가 손상 발생과 중증도를 높이는 주요 위험 요인임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3. 자해·자살 환자 10년 새 3.6배 증가
전체 손상환자 중 의도적 손상 비율은 11.1%로 조사 이래 가장 높았다. 자해·자살 환자는 8.0%로, 2014년(2.2%) 대비 3.6배 증가했으며 특히 10~20대에서 급증했다.
자해·자살 이유로는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가 가장 많았으며, 시도는 주로 가정에서(84.1%), 방법으로는 중독(67.4%)이 많았다.
4. 개인형 이동장치, 새로운 위험 요인
2024년 운수사고 손상은 전체의 15.1%였으며, 70세 이상 비중은 17.4%로 10년 전(8.3%)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이동수단별로는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손상 비율이 12.5배 급증해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자전거 헬멧 착용률은 16.2%에 불과해 안전의식 격차가 확인되었다.
5. 고령층 낙상, 가정 내 발생 많아
70세 이상 낙상 환자 비율은 2014년 17.1%에서 2024년 35.3%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낙상은 주로 집(43.6%)에서 발생했으며, 장소는 거실(17.3%), 화장실(16.5%), 계단(15.3%), 침실(15.3%) 순이었다.
주 손상 부위는 외상성 뇌손상(52.4%), 손상 양상으로는 골절(39.4%)이 많았다.
6. 소아·청소년 손상, 연령별 위험 요인 차이 뚜렷
2024년 소아·청소년 손상환자는 총 20,963명으로, 남자가 59.8%였다. 가장 많은 손상 기전은 추락·낙상(40.8%)이었고, 주 발생 장소는 가정(58.6%)이었다.
연령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세 미만: 가구 관련 손상이 35.8%, 추락과 외상성 뇌손상 비율 높음
1~2세: 차량 탑승자 손상이 68.8%
3~6세: 보행 중 운수사고 40.4%
7~12세: 자전거 사고가 전체 운수사고의 54.9% 차지, 헬멧 착용률 5.3%
13~18세: 오토바이 사고와 자살 목적의 추락·중독 손상 많음
특히 13~18세 청소년에서 자살 목적의 중독 손상은 85.8%에 달했으며, 주요 원인 물질은 치료약물(91.1%)이었다.
임승관 청장은 “2024년 통계는 단순한 손상 현황을 넘어 청소년 자해·자살 증가, 가정 내 손상 위험 등 사회적 과제를 보여준다”며,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과 가정 내 약물 안전 관리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한 “손상 발생 원인을 지속 분석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손상예방 정책과 교육 자료를 개발·보급하고,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원시자료 공개를 통해 연구 활용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