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김민식)는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 주관하는 ‘2025년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돼 연세의료원(의료원장 금기창)과 차세대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AI 솔루션 개발에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고품질 의료 데이터 활용을 지원해 국내 의료 AI 기업의 연구개발과 상용화를 촉진하는 정부 핵심 과제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엔젠바이오는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를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AI 모델 개발을 위한 핵심 데이터 확보와 연구 협력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연구는 연세의료원이 보유한 5000명 이상의 대규모 고형암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엔젠바이오는 자사의 다중오믹스 분석 기술과 AI 역량을 결합해 기존 TMB(종양돌연변이부하) 등 단일 바이오마커의 한계를 넘어서는 다중 모달(Multi-modal) AI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면역항암제에 반응할 환자를 기존보다 30% 이상 높은 정확도로 선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발되는 AI 모델은 현재 국내 30여 개 대형 종합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엔젠바이오의 NGS 분석 소프트웨어 NGAS(NGeneAnalySys)에 통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임상 현장에서 보다 직관적이고 손쉬운 방식으로 해당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구 성과가 빠르게 실용화돼 환자 진료에 즉각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다양한 AI기능이 추가된 NGAS의 고도화를 통해 유전자 통합 플랫폼 사업이 더욱 빠른 속도록 성장해 갈 것으로 보인다.
엔젠바이오는 이미 BRCA 유전자 변이 병원성 예측 AI 모델을 개발해 학술지에 성과를 발표한 경험이 있다. 현재는 유전자 재조합 분석의 위양성을 줄이는 DNA 서열 특화 AI 모델 등 다양한 정밀의료 AI 기술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번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모델 또한 이러한 검증된 기술력 아래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