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심평원

국내 병원수 OECD 평균 보다 많고 의료인력은 적어

심평원 분석결과 건강보험 요양기관 10년 동안 32% 증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관련법령에 의해 관리하고 있는 2010년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관수와 의료인력, 병상수, 특수․고가 의료장비 등록현황을 공개했다.

그결과  2000년 대비 10년 동안 의료기관은 2만여개(32.2%)가 증가하였고, 인구 1천명당 의사수․병상수는 각각 0.5명, 4.55개가 증가하였으며, 인구 1백만명당 자기공명영상장치(MRI)는 14.8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요양병원이 19개에서 867개로 기하급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고, 치과병원은 60개에서 191개로 218.3% 증가하였으며, 조산원은 126개에서 46개로 오히려, 80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의료기관의 분포현황을 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집중현상이 2000년 47.4%에서 2010년 50.1%로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 증가율은 경기(59.1%), 울산(40.3%), 제주(38.1%), 충남(37.9%), 경남(33.7%), 인천(33.6%) 등이 전국 평균 증가율(32.2%)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의료인력의 2000년 대비 증가율을 보면, 한의사(82.7%), 간호사(76.6%), 의사(48.7%), 치과의사(43.9%), 약사(16.1%)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구 1천명당 의료인력은 의사 1.18명→1.68명(43%), 치과의사 0.31명→0.43명(38.4%), 한의사 0.19명→0.33명(75.7%), 약사 0.59명→0.66명(11.7%), 간호사 1.4명→2.37명(69.9%)으로 증가했다. 
  입원실 병상수는 2010년 52만 8288개로 10년동안 23만 3962개가(79.5%) 증가 하였으며, 병원, 요양병원, 치과병원의 병상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의료기관의 인구 1천명당 병상수는 2000년 6.26개에서 2010년 10.81개로 4.55개(72.6%)가 증가되었다. 2010년말 현재 특수․고가 의료장비 등록대수는 컴퓨터단층촬영장치(CT) 1,743대, 유방촬영장치(Mammography) 2,414대, 자기공명영상장치(MRI) 985대, 양전자단층촬영장치(PET) 155대로 나타났으며,인구 1백만명당 장비보유수는 컴퓨터단층촬영장치(CT) 28.38대→35.66대(25.7%), 자기공명영상장치(MRI) 5.4대→20.15대(273%), 유방촬영장치 13.25대→49.39대(272.7%), 양전자단층촬영기(PET) 0.02대→3.17대(14,808%)로 10년 전과 비교시 매우 높은 증가현상을 보였다.

 2010년 국내 등록현황자료를 2008년 국제(OECD) 자료와 비교한 결과, 병원수와 병상수, 특수․고가의료장비 보유수는 우리나라가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요활동 의료인력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백만명당 병원수 비교시 우리나라가 58.5개로 2008년 OECD 평균 31.03개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급 병상수에 있어서도 인구 1천명당 OECD 평균 5.34개 보다 많은 8.95개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천명당 의료인력은 우리나라가 2008년 OECD 평균에 비해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간호사수는 OECD 평균(6.74명) 보다 매우 낮은 2.37명으로 나타났다

지역(시·도)별 요양기관 현황

(단위 : 기관, %)

구 분

2000

2010년말

2000대비

증가율

상급

종합

종합

병원

병원

요양

병원

의원

치과

병원

치과

의원

조산

보건

기관

한방

병원

한의

약국

61,776

81,681

44

274

1,315

867

27,469

191

14,681

46

3,469

168

12,061

21,096

32.2%

서울

16,252

20,887

17

42

171

76

7,328

72

4,522

7

27

33

3,349

5,243

28.5%

부산

5,023

5,943

4

24

109

113

2,071

9

1,057

10

32

7

972

1,535

18.3%

대구

3,564

4,373

4

8

101

40

1,496

16

734

1

26

8

744

1,195

22.7%

인천

2,749

3,672

2

12

55

37

1,321

3

693

1

57

11

509

971

33.6%

광주

1,871

2,430

2

19

53

19

839

6

492

4

15

26

303

652

29.9%

대전

2,029

2,622

2

6

35

37

957

5

447

1

21

5

438

668

29.2%

울산

1,132

1,588

0

4

37

30

532

4

319

0

24

3

267

368

40.3%

경기

10,263

16,331

5

49

253

166

5,598

38

3,211

9

337

34

2,343

4,288

59.1%

강원

1,905

2,248

2

13

45

20

667

2

313

4

247

2

309

624

18.0%

충북

1,940

2,372

1

9

39

29

769

1

309

3

268

3

317

624

22.3%

충남

2,364

3,260

2

9

54

47

1,021

9

429

0

415

6

429

839

37.9%

전북

2,732

3,362

2

12

66

60

1,051

4

440

0

407

13

428

879

23.1%

전남

2,593

3,079

0

20

75

42

889

5

367

4

564

6

306

801

18.7%

경북

3,274

4,026

0

18

77

77

1,169

6

506

0

557

8

559

1,049

23.0%

경남

3,450

4,611

1

23

140

68

1,457

11

699

1

410

2

661

1,138

33.7%

제주

635

877

0

6

5

6

304

0

143

1

62

1

127

222

38.1%

 

 

 

 

의료인력(의사․치과의사․한의사․약사, 간호사) 현황

○ 년도별 현황

(단위 : 명, %)

구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00대비

증가율

의사

55,255

58,773

57,857

60,528

63,201

65,534

68,143

70,355

75,714

79,046

82,137

48.7%

치과의사

14,553

15,668

15,631

16,144

17,032

17,771

18,515

19,092

19,751

20,415

20,936

43.9%

한의사

8,845

9,699

10,334

11,210

12,035

12,808

13,523

14,109

14,818

15,626

16,156

82.7%

약사

27,691

29,502

29,633

29,676

29,876

30,600

31,237

31,265

31,635

31,994

32,152

16.1%

간호사

65,707

78,076

83,278

85,910

89,607

91,373

95,999

100,919

106,881

110,931

116,071

76.6%

 

○ 최근 현황(2010년)

(단위 : 명)

구분

상급

종합

종합

병원

병원

요양

병원

의원

치과

병원

치과

의원

조산원

보건기관

한방

병원

한의원

약국

267,452

45,922

54,351

32,874

12,212

47,624

1,932

17,798

0

9,081

2,863

14,383

28,412

의사

82,137

19,327

15,776

8,628

2,533

33,651

13

1

0

2171

37

0

0

치과의사

20,936

623

480

87

1

8

1,801

17,281

0

653

2

0

0

한의사

16,156

0

12

60

650

0

1

0

0

921

1,313

13,199

0

약사

32,152

1,211

1,118

927

317

35

7

0

0

68

43

14

28,412

간호사

116,071

24,761

36,965

23,172

8,711

13,930

110

516

0

5,268

1,468

1,170

0

(표 4)

입원실 병상수 현황

○ 입원실 병상

(단위 : 개, %)

요양종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00대비

증가율

총계

294,326

310,565

331,613

344,341

356,693

376,364

405,592

442,650

472,297

495,701

528,288

79.5%

상급종합병원

37,265

37,457

36,272

35,201

34,720

34,335

35,539

35,180

36,168

37,868

37,788

1.4%

종합병원

76,308

74,478

76,973

76,590

78,297

81,362

82,577

82,961

85,376

85,354

87,703

14.9%

병원

93,014

99,966

107,166

115,793

122,978

127,799

135,678

147,946

164,311

172,661

180,078

93.6%

요양병원

 

 

5,869

7,651

13,429

24,020

41,234

66,346

76,608

90,144

111,992

1808.2%

(2002년)

의원

75,946

86,269

92,461

96,338

95,843

97,883

99,724

99,719

99,108

97,892

97,709

28.7%

치과병원

103

119

135

139

179

186

201

214

233

266

269

161.2%

치과의원

40

50

68

69

23

23

22

22

25

28

43

7.5%

조산원

150

127

102

82

81

74

83

86

89

110

116

△22.7%

보건기관

699

650

708

678

530

470

473

473

469

455

448

△35.9%

한방병원

8,037

8,260

8,617

8,753

8,947

8,594

8,590

8,293

8,344

8,953

9,974

24.1%

한의원

2,764

3,189

3,242

3,047

1,666

1,618

1,471

1,410

1,566

1,970

2,168

△21.6%

 

(표 5)

장 비 현 황

(단위 : 대, %)

구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00대비

증가율

유방촬영장치

623

641

921

1,186

1,305

1,388

1,646

2,030

2,299

2,434

2,414

287.5%

CT

1,334

1,293

1,472

1,526

1,515

1,551

1,622

1,799

1,788

1,810

1,743

30.7%

MRI

254

322

374

430

531

584

657

777

855

924

985

287.8%

PET-CT

1

5

7

15

28

33

63

92

112

137

155

15400.0%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행정

더보기
5년 주기로 실시 하는 '의약품 품목갱신 제도'...안전성.유효성 강화 디딤돌 되나 의약품 품목갱신 정보가 유통 중 의약품 현황 파악 및 개발·출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식약처가 최신 의약품 안전 정보를 반영하여 주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의약품을 관리할 경우 의약품 안전확보 강화에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식약처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품목갱신 대상 의약품은 총 9,495개 품목이었으며, 이 중 6,878개(73%) 품목이 갱신됐다. 의약품 갱신제도로 인해 품목허가가 실제 유통되는 의약품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24년도 갱신율은 제도시행 초기 대비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일반의약품의 갱신율은 70%로 ’18~’23.6월동안의 갱신율 42%와 비교했을 때 대폭 증가했다. 식약처는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2024년 갱신된 품목 중 ‘바클로펜’ 정제 18개 품목 등 총 54개 품목에 대해 허가사항 변경 조치를 실시했다. 조치내용은 ▲‘바클로펜’ 정제의 소아 투여량을 체중당 용량으로 변경하고, 연령별 최대 투여량 설정 ▲‘트리플루살’ 캡슐제 효능·효과 중 혈전증에 의한 합병증을 포함한 동맥혈전색전질환의 ‘예방’을 ‘재발방지(2차예방)’으로 변경 ▲‘디오스민’ 캡슐제에 대하여 수유부 금기를 추가하는 등 사용상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대우제약,안구건조증 치료제 시장 지배력 강화 되나... 레바미피드 1.5% 일회용 점안액 3상 성공 대우제약㈜(대표이사 지용훈)은 24일 안구건조증 치료제인 레바미피드 1.5% 일회용 점안액의 3상 임상시험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성공적으로 임상을 종료함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 개량신약 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레바미피드(rebamipide)는 뮤신 생성과 분비를 촉진시켜 안구건조증 치료에 탁월한 성분. 일본에서는 2012년부터 레바미피드 2.0% 점안액이 출시됐으나, 물에 잘 녹지 않는 성분 성질 때문에 현탁액 제제로 만들어져 이물감과 자극감, 특유의 쓴맛을 갖고 있다.국내에서는 2개 제약사 공동 개발로 2023년 3월 동일 농도인 2% 수용액 개량 신약으로 출시한 뒤 다회용과 일회용으로 판매 중이다. 의약품 처방 통계기관인 유비스트에 따르면 레바미피드 2.0% 점안제 시장은 2024년도 다회용 16억 원, 일회용 72억 원으로 총 90억 원에 달하는 시장 규모로 성장했다. 다만, 다회용 제품은 현탁 발생 이슈로 당분간 공급 중단 상황에 있다. 이런 시장 상황 가운데 대우제약이 동일 성분 1.5% 일회용 점안액 임상 3상에 성공하고 개량 신약 허가 신청을 낸 것. 이를 기념해 지난 4월 17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임상 3상에 참여한 8개 병원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보양식도 사람마다 효과 상이, 체질에 맞는 보양식 필요 한국 고유의 의학인 사상의학은 소음인, 소양인, 태음인, 태양인으로 사상체질을 구분한다. 체질 별로 가장 중요한 핵심 에너지를 보명지주(保命之主)라고 하는데, 보명지주가 약해지면 다양한 병적 증상이 나타난다.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사상체질과 황민우 교수와 함께 사상체질 별 보명지주가 약해졌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이에 대한 보양 방법을 알아본다. 체질‧몸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 소증(素證)사람마다 타고난 사상 체질과 건강 상태를 드러내는 징후를 사상의학에서는 ‘소증(素證)’이라고 한다. 소증은 특정 증상이나 질병이 발현되기 이전의 몸 상태를 나타내는 임상 정보를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수면, 식욕 및 소화, 배변 및 배뇨, 땀, 한열 상태 등으로 분류한다. 이를테면 평소 잠을 깊게 자는지 자주 깨는지, 대변이 무른 편인지 굳은 편인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수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체질과 건강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소증의 이상, 보명지주 약화로 이어져소증의 이상 변화가 지속되면 보명지주(保命之主)가 약해질 수 있다. 보명지주(保命之主)는 사상의학에서 사상체질별로 건강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 에너지를 일컫는 말이다. 자신의 체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