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장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오늘(16일)부터 6월 15일까지 1개월간 CT, MRI 등 고가 의료장비 10만여 대에 대한 일제조사가 실시된다.
조사대상은 CT, MRI 등 특수의료장비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등이며, 조사대상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전국 3만5천여 요양기관이 이에 해당된다.
심평원 주관으로 진행되는 이번 조사는 의료장비별로 식약청 허가(신고)번호, 제조(수입)업체명, 제조연도 등 17개 항목을 정비대상으로 한다.
기존에 신고된 내용을 요양기관에서 직접 확인하고 잘못된 정보는 수정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누락된 장비는 추가로 등록하면 된다.
해당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요양기관은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내의「HIRA Plus Web」메뉴를 통해 일제조사에 응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하기 힘든 경우 서면으로도 가능하다.
이러한 신고방법은 요양기관에서 의료장비 신규 구입이나 변동사항 발생시 그 현황을 심사평가원에 신고하는 기존 방식 그대로이며, 요양기관에서 등록하기 편하도록 일제조사 화면을 별도로 마련하여 운영한다.
한편, 심사평가원은 사전에 안내문을 개별 요양기관에 우편으로 발송하였으며,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안내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심사평가원은 이러한 일제조사를 통해 대상 장비 각각에 대하여 국제표준규격인 13자리의 표준코드를 부여하고, 제조연도 등 부가적인 사항을 담은 바코드를 각각의 장비에 부착할 예정이다.
심평원은 국민건강 증진과 장비 품질확보를 위하여 꼭 필요한 조사인 만큼 요양기관에서는 보다 정확하고 꼼꼼하게 내용을 하나하나 확인하여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일부 의료기관은 심평원의 일제 조사가 왜 갑자기 진행되는지 의아해 하고 있다. 이들 의료기관은 심평원의 일제조사 소식을 접하고, 이미 제품을 구입할때 철저하게 신고 했으며 더구나 방사선 조사 검사를 2년 마다 받고 있는 마당에 번거로운 조사를 실시하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