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

헌혈된 혈액 폐기 최근 3년간 42만건, 208억원어치..갈수록 증가

김성주 의원 “소중한 혈액의 가치를 살리는 관리방안 강구해야”

매년 수혈을 위해 확보된 혈액 중 일부가 헌혈자와 적십자사의 관리 부주의 등으로 부적격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성주 의원(새정치연합/전주덕진)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최근3년간 혈액 폐기 현황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약 40만 유닛의 혈액이 폐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2155,562유닛, 2013161,323유닛, 올해는 8월까지 108,321유닛에 달해 올해도 작년과 비슷한 양에 이를 전망이다.

 

<최근 3년간 혈액 폐기 현황>

(단위: Unit, )

연도

2012

2013

2014.8

폐기량

155,562

161,323

108,321

425,206

금액

7,290,432,350

7,939,557,200

5,632,381,060

20,862,370,610

 

이들 중 대부분은 혈액선별검사를 통해 부적격 판정을 받은 혈액으로 2012124,007유닛, 2013129072유닛, 2014년에는 8월까지 85,075유닛이 해당되었다. 혈액선별검사이상은 헌혈 후 매독, B형 간염 등의 판정을 받고 사후 폐기되는 경우로, 헌혈 과정에서는 검사를 못 하고 샘플을 조사하면서 전염감염의 오염이 있어 폐기되는 경우이다. 이외에 적십자의 관리 미흡에 해당하는 양이 많거나 적고 용기 밀봉 및 표지 파손 응고 또는 오염 보존기간 경과 등으로 폐기 판정을 받은 혈액은 201231,485유닛, 201332,251유닛, 20148월까지 23,246유닛으로 최근 3년간 86,982유닛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3년간 혈액 폐기 사유별 현황>

(단위: Unit, )

구분

2012

2013

2014.8

금액

응고,오염

226

194

152

36,699,080

혼탁, 변색, 용혈

2,268

3,217

2,925

557,940,030

채혈금지대상자 채혈

0

0

0

0

혈액용기의 밀봉 또는 표지파손

86

9

16

5,825,490

보존기간 경과

1,559

1,172

832

148,205,530

기타

양부족

9,549

10,792

8,770

1,714,078,220

양과다

61

49

48

6,743,230

DDR

26

23

40

4,395,670

ABS, Sub

10,390

8,616

3,530

962,331,210

성분제제불량, 필터불량

5

7

0

521,510

자진배제,

채혈후 문진부적격

1,363

1,287

1,090

180,509,070

교환

1,459

2,252

2,344

284,856,610

변상

1,552

1,561

1,125

373,282,310

헌혈유보군과거혈액제제

25

28

10

3,398,920

혈구혼입, 혈소판yield부족

675

714

598

237,924,850

기타

2,241

2,330

1,766

308,969,210

소계

31,485

32,251

23,246

4,825,680,940

혈액선별검사 결과 이상

124,077

129,072

85,075

16,036,689,670

 

이들을 병원출고가로 환산하면 혈액선별검사 불량은 2012년 약 56, 201361, 2014년 약 42억으로 최근 3년간 약 160억에 이른다. 이외 적십자사의 부주의 등으로 버려지는 혈액은 2012년 약 16, 2012년 약 18, 20148월까지 약 14억으로 최근 3년간 약 48억에 이른다. 최근 3년간 총 208억원어치의 혈액이 버려지고 있는 것이다.

 

김성주 의원은 "헌혈을 독려한다며 각종 선물을 제공하면서도 소중한 혈액을 관리 부족으로 폐기하는 것은 소중한 혈액에 대한 적십자의 안일한 관리실태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이어 "적십자는 헌혈 권장 등을 통한 수혈량의 증대에만 몰두할게 아니라 소중한 혈액의 가치와 중요성을 살리는 관리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