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

노인폐렴구균 예방접종률 57.4% '저조'

김성주 의원, 전국 노인폐렴구균 예방접종 실시현황 공개 17개 광역지자체 중 접종률 70% 이상은 충북 단 1곳 뿐

65세 이상 노인의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폐렴구균 예방접종률의 지역 편차가 많게는 20%p 이상 나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 예방접종 대상자 관리를 위한 인프라 구축 관련 예산확보 및 부처간 공조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성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간사/전주덕진)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노인폐렴구균 예방접종 실시현황(’13.5.1∼’15.8.31)’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384만명이 접종을 실시하여 57.4%의 접종률을 보였으며, 목표 접종인구수*인 402만명 대비 95.6%의 달성률*을 기록했다. [붙임]

-전국 노인 폐렴구균 예방접종 실시 현황(’13.5.1~‘15.8.31)

구분

목표 접종량

접종현황

목표 접종인구수

달성률

접종건수

접종률

누계

4,021,327

95.6%

3,844,060

57.4%

서울

750,380

82.2%

617,151

49.3%

부산

305,015

96.7%

295,044

58.0%

대구

187,615

88.8%

166,568

53.3%

인천

185,269

88.1%

163,190

52.8%

광주

98,546

89.1%

87,808

53.5%

대전

98,126

99.4%

97,496

59.6%

울산

60,778

99.2%

60,297

59.5%

세종

12,933

80.8%

10,451

48.5%

경기

779,526

90.0%

701,238

54.0%

강원

155,787

109.2%

170,073

65.5%

충북

139,793

118.1%

165,068

70.8%

충남

203,169

110.1%

223,703

66.1%

전북

198,250

109.7%

217,421

65.8%

전남

233,496

113.6%

265,225

68.2%

경북

286,016

101.6%

290,565

61.0%

경남

275,875

95.0%

262,096

57.0%

제주

50,753

99.8%

50,666

59.9%

17개 광역지자체 중 가장 높은 접종률을 보인 곳은 70.8%인 충북으로 16만 5천명이 접종을 하였으며, 유일하게 70% 이상의 접종률을 보였으며, 전남(68.2%/26만5천명), 충남(66.1%/22만3천명), 전북(65.8%/21만7천명), 강원(65.5%/17만명)이 뒤를 이었다.

하위권에는 광주(53.5%/8만7천명), 대구(53.3%/16만6천명), 인천(52.8%/16만3천명), 서울(49.3%/61만7천명), 세종(48.5%/1만명)이 분포했다.

다만 동 현황은 질병관리본부의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내 ‘폐렴구균 예방접종등록시스템’에 등록된 현황으로 보건소 외 민간의료기관 등에서 본인부담으로 접종한 현황은 집계되지 않은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노인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은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한 취지에서 지난 2013년 5월부터 보건소를 통해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무료로 실시하는 사업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동 예방접종사업 시행 전의 접종률은 15.4%였으나 시행 후의 접종률은 57.4%(‘15년 8월 기준)로 향상됐으며, 노인들의 예방접종 편의성과 접종률 향상을 위해 2014년 8월부터 주소지 내 보건소만을 이용해야 하는 제한을 폐지한 바 있다.

  

김성주 의원은 “7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50%에 달하는 만큼 보건당국은 효율적인 예방접종 대상자 파악과 접종 관리를 위해 범부처 통합 예방접종정보시스템 등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예산확보와 관계부처 협의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성주 의원은 “그간 각 지자체에서 노인폐렴구균 접종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효과적으로 노인폐렴구균 접종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가장 큰 현장의 애로사항으로 알고 있다”며, “가령 기초연금 신청시 65세 도래에 따른 노인폐렴구균 접종 안내를 첨부하여 홍보하는 등 유관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색하여 접종률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덧붙여, 김성주 의원은 “현재 65세 이상 인구의 60%로 설정한 노인폐렴구균 목표접종 인구수를 중장기적으로 70%∼80% 수준으로 상향하여 보다 많은 어르신들의 건강수명을 향상 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참고로 국내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65~75세에서 35.4%, 75세 이상에서 49.3%*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평생 1회의 예방접종으로 패혈증, 뇌수막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만큼 각별한 접종률 향상 노력이 요구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