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글로벌제약사, 혁신 신약개발로 보답

‘2016 KRPIA 연간보고서’ 발간,생명 연장과 삶의 질 개선, 의료비용 절감, 미래성장동력 등 혁신 신약의 가치 조명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 회장 김옥연)는 혁신적 신약 개발을 통해 국민들의 건강한 삶에 기여한 성과를 담은 ‘2016 KRPIA 연간보고서’를 발간했다. 


김옥연 회장은 “KRPIA와 글로벌 제약사들은 혁신적 신약 개발을 통해 국민 건강증진과 제약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혁신적인 신약이 환자들의 생명을 연장시키고 환자와 가족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회복의 중요한 발판이 되어 국가적 생산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신약의 사회적 가치가 잘 인식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혁신적 신약을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건강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KRPIA와 회원사들은 환자들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발간된 연간보고서에는 생명 연장과 삶의 질 개선, 의료비용 절감, 미래성장동력 등 혁신적인 신약의 가치가 특히 조명됐다.


첫째, 혁신적 신약은 생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연구에 따르면, 신약 출시 후 1986년에서 2000년 사이에 한국과 미국을 포함한 52개국의 기대수명은 약 1.96년 정도 증가했다.  즉 해당 기간 중 발매된 신약들이 인류의 수명 연장에 13%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사망률이 1% 감소될 때 국가 전체가 누리는 가치는 최대 약 126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둘째, 혁신적 신약은 의료비 절감에 기여한다. 연구에 따르면, 구약 대비 신약을 사용하면 약제비가 1달러 올라가는 대신에 비효과적인 치료제 사용 및 질환 관리에 지출되는 7달러 이상의 총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약산업은 고부가가치 지식기반산업으로, 미래 성장동력이다. 세계 의약품 시장의 규모는 연간 1,200조원으로 대표적인 제조산업인 자동차(600조원), 반도체(400조원) 시장보다 크다. 우리나라 역시 제약산업 육성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최근 의약품 수출실적이 3조 3천억원에 달하는 등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번 보고서에는 신약공급 및 해외진출 등을 통한 글로벌제약사들의 국내 사회 기여 활동도 담겨 있다. KRPIA 회원사들은 국내에 약 1,100종의 의약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제약사와 함께 해외 진출을 협력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진출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아울러, 임상연구를 통해 2013년에 84,000여 명의 환자들에게 치료의 기회를 제공했다. 지난해 다양한 이웃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총 225억 원을 지원했으며 총 9,244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2016 KRPIA 연간보고서’는 ▲신약의 가치(생명연장과 삶의 질 연장, 의료비용 절감, 미래성장동력) ▲글로벌 제약사의 한국 사회 기여(의약품 개발 및 공급, 연구개발 국내 투자, 상생협력, 지속가능경영, 사회공헌활동) ▲KRPIA 회원사 활동(40개사) 등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자료는 KRPIA 홈페이지 www.krpia.or.kr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암·희귀질환 환자,11,822명 진단, 5,512명 치료, 29,379건의 코호트 데이터 등록 “저는 곤충학자가 되는 게 꿈이에요. 어느 날 사슴벌레를 보았는데, 그때부터 곤충의 매력에 빠졌어요. 어린이날에는 동생과 함께 커다란 테라리움을 만들고 싶어요.” 11살 김현우 군(가명)은 자신의 꿈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최근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진단받고 치료제를 사용하며 외래 추적 관찰을 받고 있는 현우 군은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을 통해 소아 혈액암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 향상을 위한 유전체 분석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치료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치료 플랫폼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현우 군은 아픔에서 멈추지 않으며 성장하고, 꿈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고 있다. 현우 군처럼, 병마와 싸우면서도 자신만의 꿈을 키워가는 많은 어린이들이 있다. 이러한 어린이들에게 뜻깊은 어린이날을 선물하기 위해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단장 최은화)은 5월 2일, 서울대어린이병원 CJ홀에서 ‘우리들은 자란다’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바랐던 고(故) 이건희 회장의 유지를 이어 받아, 소아암 및 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기 위해 진행됐다. 사업단은 이번 행사에서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