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심혈관계 중환자치료 ,전담전문의+다학제 진료 시행 했더니...사망률 '뚝'

삼성서울병원 양정훈 교수팀, 심장내과 중환자실 환자 2431명 대상 조사 분석 결과 환자 사망률 47% 감소

심혈관계 중환자치료 ‘전담전문의’ 배치와 다학제진료가 심장내과 중환자실 사망률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2013년 국내 처음으로 중환자의학과를 개설, 운영중인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의학과/순환기내과 양정훈 교수(사진) 연구팀은2012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심혈관계질환 원인으로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2,431명을 대상으로 사망률을 비교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13년 3월 이전 전담전문의와 다학제 진료가 없는 ‘낮은 관리그룹(low-intensity)’ 616명과 2013년 3월 이후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가 배치되고 다학제 진료를 받은 ‘높은 관리그룹(High-intensity)’ 1,815 명을 나눠 조사한 결과, 낮은 관리그룹 일 때 8.9% 에서 높은 관리 그룹 에서는 4.1% (adjusted odds ratio, aOR 0.53) 로 사망률이 47% 감소했다. 


또한 최근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심인성 쇼크’ 대상 환자 중 에크모 치료를 받은 환자 사망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낮은 관리그룹(low-intensity) 일 때 54.5% 에서 높은 관리 그룹(high-intensity)은 22.5% (adjusted odds ratio, aOR 0.24) 로 상대적 사망위험율이 76% 감소 했다.

 

심혈관계 중환자치료에 전담전문의 배치와 다양한 전문가들의 신속한 협진(다학제 진료)으로 심장내과 중환자실내 가장 큰 사망원인인 ‘심인성 쇼크’ 를 초기부터 적절하게 치료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적절한 영양, 약물 농도 유지, 조기 운동치료 등이 가능하게 되어 사망률이 감소한 것으로 연구팀은 밝혔다.


2012년 미국 심장학회에서는 상급 심장내과 중환자실은 중환자전문의와 심장전문의가 같이 전담하여 보거나 혹은 심장중환자전문의가 전담해야 한다고 권장했지만, 그동안 권장사항의 학문적인 근거가 없었는데 이번에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관련 근거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심장내과 중환자실 전담전문의는 일반 중환자실 전담전문의와 달리 기본적인 중환자 전담으로서 지식뿐만 아니라 약물 사용에 불응하는 심인성 쇼크 환자 치료에 기계적 순환보조 장치인 대동맥 내 풍선 펌프, 체외막 산소화장치 (에크모), 좌심실 보조 장치(인공심장) 등 체외순환기계 이해가 특히 요구된다. 이러한 심혈관계 중환자치료 분야는 새롭게 부각되는 전문 영역이다.


국내에는 현재까지 심혈관계 중환자치료 전담전문의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삼성서울병원이 처음으로 [다학제 심혈관계 중환자치료팀]을 구성,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를 배치, 운영중이다.


양정훈 교수는 “의학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40% 이상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는 ‘심인성 쇼크’ 환자들은 첫 12시간의 치료가 예후를 결정한다” 며 “생존 퇴원이 가능하다면 일반인들과 똑같은 예후를 갖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심장학과 중환자의학 지식을 겸비한 ‘심장중환자 전담전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가장 주목할 만한 연구 주제’ 로 선정되어2016년 12월, 심장학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 심장학회誌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IF: 19.896)’ 에, ‘심인성 쇼크환자’ 를 대상으로 한 하위 분석은 최근 국제심장학회誌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IF: 6.513)’ 에 각각 게재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피부과 의사 추천”, “병원전용 화장품”... 이런 표현 사용하는 광고,"문제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대한화장품협회와 함께 ‘00의사추천’, ‘병원전용 화장품’ 등을 표방하며 온라인에서 유통·판매되는 화장품의 판매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화장품법」을 위반한 237건을 적발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접속 차단을 요청했다. 해당 표현들은 지난 1월 개정된 「화장품 표시·광고 관리지침」에 새롭게 사용금지 표현의 예시로 추가되었다. 식약처는 ▲‘00의사 추천’, ‘병원전용’, ‘병원추천’ 등 사실과 다르게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가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91건, 38.4%) ▲‘피부염증감소’, ‘피부재생’, ‘항염’ 등 의약품 효능·효과를 표방해 화장품을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114건, 48.1%) ▲‘주름개선’ 등 일반화장품을 기능성화장품으로 오인하거나 기능성화장품 심사 내용과 다른 광고(32건, 13.5%) 등에 대해 점검하여 적발했다. 또한, 이번 점검은 1차 적발된 판매업체의 부당광고 186건에 대한 책임판매업체를 추적·조사하여, 책임판매업체의 위반 광고 51건을 추가로 적발한 결과 총 237건을 차단 조치했다. 적발된 책임판매업자 35개소에 대해 관할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현장 점검 및 행정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9년전 서울대병원이 소 심낭 이용 개발한 '인공패치'..."안전.유효성확인" 이종이식 청신호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소 심낭을 이용해 개발한 심장 및 혈관 재건 치료용 인공패치가 장기적으로 우수한 치료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들은 환자에게 이식된 451건의 패치를 9년간 추적한 결과,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합병증이 없고 재수술률도 5% 미만으로 낮아 장기적으로 이종이식의 안전성과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의대 심장혈관흉부외과 김용진 명예교수·서울대병원 임홍국 교수와 부천세종병원 이창하·김응래·임재홍 공동연구팀은 2015년부터 2022년까지 환자에게 이식된 국산 심혈관용 인공패치 ‘Periborn’을 대상으로, 합병증과 재수술 여부를 장기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이종이식은 수술이나 시술을 통해 동물의 조직 및 세포(이종이식편)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치료 방법이다. 인공패치는 주로 심장과 혈관의 치료에 사용되며, 특히 소아 환자의 선천적 심장 결손 재건 수술에서 활용된다. 이종이식 후 조직 손상, 염증, 석회화 등을 방지하려면 재료의 생체 적합성과 안정성을 높여 면역반응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2014년, 서울대병원 심혈관계 이종장기 연구팀(김용진·임홍국 교수)은 이종조직의 면역거부반응을 낮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