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질병관리청

메르스 이후 보건 위기 대응 체계 확 바뀐 한국.... 지금은?

WHO와 영국, 미국, 중국 등 9개국의 전문가 13인으로 구성된 외부 평가단, 공중보건위기에 대한 조기 인지 및 신속 대응 등 19개 영역에 대해 그물망 점검

공중보건위기 대응역량 평가를 위해 WHO 합동외부평가단이 방문 (8월28일∼9월1일) 한다. 평가단은 공중보건위기 조기 인지 및 신속 대응 관련 19개 영역에 대해 평가를 실시한다.


정부는 평가 후 미흡한 점을 국가계획에 반영하여 개선 예정할 예정이다.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대한민국의 보건 위기 대비·대응 체계에 대한 객관적인 점검을 위해 세계보건기구(WHO) 합동외부평가(Joint External Evaluation, JEE)를 1주일(8월28일-9월1일)간 시행한다고 밝혔다.
 

구분

평가영역

예방

(P)

IHR 이행을 위한 법률, 정책, 예산(National Legislation, Policy and Financing)

IHR 조정, 커뮤니케이션, 지지(IHR Coordination, Communication & Advocacy)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

인수공통감염병(Zoonotic Disease)

식품안전(Food Safety)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Biosafety and Biosecurity)

예방접종(Immunization)

조기

탐지

(D)

실험실 진단체계(National Laboratory System)

실시간 감시(Real-Time Surveillance)

보고체계(Reporting)

인력개발(Workforce Development)

신속

대응

(R)

공중보건위기 대비(Preparedness)

공중보건위기 대응(Emergency Response Operations)

다분야 합동신속대응(Multi-sectoral Rapid Response)

의약품 지원 및 보건의료인력 파견(Medical Countermeasures and Personnel Deployment)

위기소통(Risk communication)

기타

검역(Points of Entry)

화학물질 사고(Chemical events)

방사능 사고(Radiation emergencies)

  

WHO 합동외부평가(JEE)는 회원국의 공중보건위기에 대한 대비·대응역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안을 도출하여 수검국의 국가행동계획을 개선하도록 권고안을 제시하는 평가방법이다.

 

이번 합동외부평가단(단장 Ronald St. John 박사, 캐나다)은 WHO와 영국, 미국, 중국 등 9개국의 전문가 13인으로 구성되어 공중보건위기에 대한 조기 인지 및 신속 대응 등 19개 영역을 평가하게 된다.


-19개 평가 영역

1: 국제보건규약 이행을 위한 법률, 정책, 예산

2: 국제보건규약 이행을 위한 조정, 소통, 지지

3: 항생제 내성

4: 인수공통감염병

5: 식품안전

6: 생물안전 및 생물안보

7: 예방접종

8: 실험실 진단체계

9: 실시간 감시

10: 보고체계

11: 인력개발

12: 공중보건위기 대비

13: 공중보건위기 대응

14: 다분야 합동신속대응

15: 의약품 지원 및 보건의료인력 파견

16: 위기소통

17: 검역

18: 화학물질 사고

19: 방사능 사고


평가과정에는 지영미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연구센터장을 한국 측 단장으로 하는 국내전문가들도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17년 8월 기준으로 현재까지 54개국이 평가를 완료하였으며, 우리나라는 WHO 서태평양지역* 선진국 중 최초로 평가를 받게 되어 일본‧호주 등 주변국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합동외부평가 WHO 평가단 명단

구분

이름

소속 및 직위

국가

1

Dr Ronald St. John

Former Director General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Team Lead)

Canada

2

Dr Jeffery Cutter

Senior Consultant

Ministry of Health

Singapore

3

Prof Mika Salminen

Director

Finnis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THL)

Finland

4

Dr Mark Salter

Consultant

Public Health England

England

5

Mr Peter Rzeszotarski

Capacity Development Branch Chief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CDC)

USA

6

Dr Carolyn Benigno

Regional Project Coordinator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Thailand

7

Dr Zhen Xu

Chief, Branch for Strategic Planning and Capacity Building

Chines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ina

8

Dr Tomoya Saito

Senior Chief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Japan

9

Dr Li Ailan

Regional Emergency Director

Health Emergencies Programme

WHO/WPRO

10

Ms Joy Rivaca Caminade

Technical Officer

Health Emergencies Programme

WHO/WPRO

11

Dr Maria Van Kerkhove

Scientist

Health Emergencies Programme

WHO/HQ

12

Dr Joel Willis

Director

Department of Health

Australia

13

Dr Cindy Chiu

Consultant

Japan

 

JEE 평가는 우리나라가 작성한 자체평가보고서(Self-Assessment Report)를 바탕으로 외부평가단이 직접 방문하여 서면심사, 질의응답, 현장방문 등을 실시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번 평가를 위해 보건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를 중심으로 JEE 준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였으며 지난 8개월에 걸쳐 여러 부처(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원자력안전위원회/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 간 협력을 통해 19개 분야에 대한 자체평가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준비해왔다.

 

평가는 충북 오송에 위치한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하며, 인천공항검역소, 광명시 보건소,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1339 콜센터,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 현장방문도 함께 실시한다.

 

평가팀은 평가가 종료되면 드러난 미흡사항을 국가계획에 반영하여 개선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평가결과는 WHO와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된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합동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미흡한 점을 국가계획에 반영하는 등 후속조치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피부과 의사 추천”, “병원전용 화장품”... 이런 표현 사용하는 광고,"문제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대한화장품협회와 함께 ‘00의사추천’, ‘병원전용 화장품’ 등을 표방하며 온라인에서 유통·판매되는 화장품의 판매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화장품법」을 위반한 237건을 적발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접속 차단을 요청했다. 해당 표현들은 지난 1월 개정된 「화장품 표시·광고 관리지침」에 새롭게 사용금지 표현의 예시로 추가되었다. 식약처는 ▲‘00의사 추천’, ‘병원전용’, ‘병원추천’ 등 사실과 다르게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가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91건, 38.4%) ▲‘피부염증감소’, ‘피부재생’, ‘항염’ 등 의약품 효능·효과를 표방해 화장품을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114건, 48.1%) ▲‘주름개선’ 등 일반화장품을 기능성화장품으로 오인하거나 기능성화장품 심사 내용과 다른 광고(32건, 13.5%) 등에 대해 점검하여 적발했다. 또한, 이번 점검은 1차 적발된 판매업체의 부당광고 186건에 대한 책임판매업체를 추적·조사하여, 책임판매업체의 위반 광고 51건을 추가로 적발한 결과 총 237건을 차단 조치했다. 적발된 책임판매업자 35개소에 대해 관할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현장 점검 및 행정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9년전 서울대병원이 소 심낭 이용 개발한 '인공패치'..."안전.유효성확인" 이종이식 청신호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소 심낭을 이용해 개발한 심장 및 혈관 재건 치료용 인공패치가 장기적으로 우수한 치료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들은 환자에게 이식된 451건의 패치를 9년간 추적한 결과,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합병증이 없고 재수술률도 5% 미만으로 낮아 장기적으로 이종이식의 안전성과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의대 심장혈관흉부외과 김용진 명예교수·서울대병원 임홍국 교수와 부천세종병원 이창하·김응래·임재홍 공동연구팀은 2015년부터 2022년까지 환자에게 이식된 국산 심혈관용 인공패치 ‘Periborn’을 대상으로, 합병증과 재수술 여부를 장기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이종이식은 수술이나 시술을 통해 동물의 조직 및 세포(이종이식편)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치료 방법이다. 인공패치는 주로 심장과 혈관의 치료에 사용되며, 특히 소아 환자의 선천적 심장 결손 재건 수술에서 활용된다. 이종이식 후 조직 손상, 염증, 석회화 등을 방지하려면 재료의 생체 적합성과 안정성을 높여 면역반응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2014년, 서울대병원 심혈관계 이종장기 연구팀(김용진·임홍국 교수)은 이종조직의 면역거부반응을 낮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