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같은 나이라도 난소 나이 최대 30세 차이... 난소기능검사로 임신 대비 필요

대구마리아병원서 AMH 검사 받은 3049 여성 3,433명의 분석 겨롸,수검 여성의 약 절반이 실제 나이보다 난소 나이가 더 높거나, 다낭성난소증후군 의심

대구마리아병원(원장 이성구)이 난소기능검사인 AMH 검사를 받은 30~49세 여성 3,433명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47.7%는 실제 나이보다 난소 나이가 높거나 다낭성난소증후군 의심군으로 확인되었다. (난소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4살 이상 높은 여성828명, 다낭성난소증후군 의심군812명)


10명 중 3명, 실제 나이보다 난소 나이 높아, 같은 나이에서 최대 30세까지 차이
난소 나이는 여성의 난소 내 배란될 난포의 수와 원시난포의 수를 파악하여 가늠하는 것으로 , 해당 연령대 여성의 평균 호르몬 수치를 근거로 난소 나이가 산출되기 때문에 자신의 나이와 근접하게 나오는 것이 이상적으로 본다.


전체 수검 여성 중 다낭성난소증후군 의심군 812명을 제외한 2,621명의 난소 나이를 분석한 결과, 본인 나이보다 난소 나이가 4살 이상 높게 나온 수검자가 32%(828명)로 약 1/3을 차지했다. 실제 나이와 난소 나이가 비슷하게 나온 (-4<난소 나이-실제 나이<4) 수검자는 33%(871명), 난소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4살 이상 적게 나온 수검자는 35%(922명)이었다.

 

나이별 평균 난소 나이를 살펴보면, 난소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대체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나이의 여성들 사이에서도 난소 나이 차가 최대 30세까지 벌어져 난소건강 상태의 개인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보다 30대에서 최대, 최소 난소 나이의 차가 두드러져, 나이의 많고 적음에 관계 없이 난소 건강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난소 나이 결과는 20-50세 범위에서만 측정됨)


건강한 젊은 여성도 다양한 요인으로 난소나이 노화될 수 있어, 늦기전에 확인 관리해야
여성은 태어날 때 약 2백만 개의 원시난포를 가지고 태어나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보유하고 있는 난포의 개수가 감소한다. ,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난소기능이 저하 되지만 건강한 젊은 여성들도 식습관이나 생활습관, 호르몬 등 다양한 요인으로 난소기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나이라도 사람마다 난소 나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구마리아병원 이성구 원장은 “사람마다 난소 나이의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자신의 나이만 믿고 난소 나이를 예측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최근에는 결혼을 늦게 하는 추세이고, 결혼 후에도 아기를 늦게 나으려는 경향이 있는데, 그때부터 준비하면 계획한대로 이루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늦기 전에 난소기능을 확인하고 검사 결과를 통해 임신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난소기능은 일반적으로 3가지 호르몬 수치를 파악하여 평가한다. 이 중 이번 분석에 사용된 AMH 수치는 생리주기에 따른 수치의 변화가 적고, 나이에 따른 가임력의 감소를 잘 반영해 최근 난소기능을 평가하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AMH 검사는 이전까지 수동적인 방법으로 검사가 이뤄졌으나, 최근에는 한국로슈진단의 ‘Elecsys®AMH 테스트’와 같은 전자동화 시스템이 사용되면서 검사의 정밀성이 높아졌다.


AMH 수치는 사춘기 이후 점차 높아지다가 25세에 정점에 도달하고 폐경기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여 측정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수치가 높을수록 난소 나이가 어리고, 낮을수록 난소 나이가 많아 기능이 저하됐다고 볼 수 있다.


전체 수검자 10명 중 2명, 난임의 원인 될 수 있는 ‘다낭성난소증후군’ 의심
그러나 AMH 수치가 높고 난소 나이가 어리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신호는 아니다. AMH 수치가 상위 10% 미만일 경우에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번 분석에서 전체 수검자 3,433명 중 10명 중 2명 이상(23.7%, 812명)이 다낭성난소증후군 의심군으로 나타났다.


5세 단위로 살펴 봤을 때도, 특정 나이대와 관계 없이 30-49세 전반에서 다낭성난소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는 수검자가 21-25% 사이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은 가임기 여성들 중 5~10%의 유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8 이번 분석 결과에서는 이를 상회하는 결과가 나왔다.


기준 전체 인원 수 PCOS 의심군 수 전체 인원 중 의심군 비율
30-34세 489 103 21.1%
35-39세 1499 328 21.9%
40-44세 1034 277 26.8%
45-49세 411 104 25.3%
Total 3433 812 23.7%


다낭성난소증후군은 가임기 여성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내분비질환의 하나로,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이 과다 분비되어 배란장애뿐만 아니라 무월경, 비만, 다모증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배란장애와 불규칙한 월경으로 난임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꼽힌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여성들의 식습관,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장은 “난소기능 검사는 임신 가능성뿐만 아니라 다가올 폐경 시기를 예측하고, 다낭성난소증후군, 과립막세포종양과 같은 질환의 유무도 알 수 있다. AMH 검사는 혈액 채취로 검사하기 때문에 미혼 여성들도 부담 없이 받을 수 있으며, 당장 결혼 계획이 없더라도 난소기능검사 결과에 따라 미리 대비하면 건강 관리, 출산 및 커리어와 같은 중요한 인생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5년 주기로 실시 하는 '의약품 품목갱신 제도'...안전성.유효성 강화 디딤돌 되나 의약품 품목갱신 정보가 유통 중 의약품 현황 파악 및 개발·출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식약처가 최신 의약품 안전 정보를 반영하여 주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의약품을 관리할 경우 의약품 안전확보 강화에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식약처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품목갱신 대상 의약품은 총 9,495개 품목이었으며, 이 중 6,878개(73%) 품목이 갱신됐다. 의약품 갱신제도로 인해 품목허가가 실제 유통되는 의약품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24년도 갱신율은 제도시행 초기 대비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일반의약품의 갱신율은 70%로 ’18~’23.6월동안의 갱신율 42%와 비교했을 때 대폭 증가했다. 식약처는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2024년 갱신된 품목 중 ‘바클로펜’ 정제 18개 품목 등 총 54개 품목에 대해 허가사항 변경 조치를 실시했다. 조치내용은 ▲‘바클로펜’ 정제의 소아 투여량을 체중당 용량으로 변경하고, 연령별 최대 투여량 설정 ▲‘트리플루살’ 캡슐제 효능·효과 중 혈전증에 의한 합병증을 포함한 동맥혈전색전질환의 ‘예방’을 ‘재발방지(2차예방)’으로 변경 ▲‘디오스민’ 캡슐제에 대하여 수유부 금기를 추가하는 등 사용상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대우제약,안구건조증 치료제 시장 지배력 강화 되나... 레바미피드 1.5% 일회용 점안액 3상 성공 대우제약㈜(대표이사 지용훈)은 24일 안구건조증 치료제인 레바미피드 1.5% 일회용 점안액의 3상 임상시험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성공적으로 임상을 종료함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 개량신약 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레바미피드(rebamipide)는 뮤신 생성과 분비를 촉진시켜 안구건조증 치료에 탁월한 성분. 일본에서는 2012년부터 레바미피드 2.0% 점안액이 출시됐으나, 물에 잘 녹지 않는 성분 성질 때문에 현탁액 제제로 만들어져 이물감과 자극감, 특유의 쓴맛을 갖고 있다.국내에서는 2개 제약사 공동 개발로 2023년 3월 동일 농도인 2% 수용액 개량 신약으로 출시한 뒤 다회용과 일회용으로 판매 중이다. 의약품 처방 통계기관인 유비스트에 따르면 레바미피드 2.0% 점안제 시장은 2024년도 다회용 16억 원, 일회용 72억 원으로 총 90억 원에 달하는 시장 규모로 성장했다. 다만, 다회용 제품은 현탁 발생 이슈로 당분간 공급 중단 상황에 있다. 이런 시장 상황 가운데 대우제약이 동일 성분 1.5% 일회용 점안액 임상 3상에 성공하고 개량 신약 허가 신청을 낸 것. 이를 기념해 지난 4월 17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임상 3상에 참여한 8개 병원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보양식도 사람마다 효과 상이, 체질에 맞는 보양식 필요 한국 고유의 의학인 사상의학은 소음인, 소양인, 태음인, 태양인으로 사상체질을 구분한다. 체질 별로 가장 중요한 핵심 에너지를 보명지주(保命之主)라고 하는데, 보명지주가 약해지면 다양한 병적 증상이 나타난다.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사상체질과 황민우 교수와 함께 사상체질 별 보명지주가 약해졌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이에 대한 보양 방법을 알아본다. 체질‧몸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 소증(素證)사람마다 타고난 사상 체질과 건강 상태를 드러내는 징후를 사상의학에서는 ‘소증(素證)’이라고 한다. 소증은 특정 증상이나 질병이 발현되기 이전의 몸 상태를 나타내는 임상 정보를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수면, 식욕 및 소화, 배변 및 배뇨, 땀, 한열 상태 등으로 분류한다. 이를테면 평소 잠을 깊게 자는지 자주 깨는지, 대변이 무른 편인지 굳은 편인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수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체질과 건강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소증의 이상, 보명지주 약화로 이어져소증의 이상 변화가 지속되면 보명지주(保命之主)가 약해질 수 있다. 보명지주(保命之主)는 사상의학에서 사상체질별로 건강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 에너지를 일컫는 말이다. 자신의 체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