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조영제 없이 메이-써너 증후군 환자 스텐트 삽입 성공... 조영제 부작용.만성콩팥질환 환자에 유용

고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유철웅 교수팀,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혈관조영술로 시술 성공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원장 박종훈) 순환기내과 유철웅 교수팀(정한샘 교수, 장덕현 교수)가 메이-써너 증후군으로 인하여 장골정맥에 스텐트 삽입술이 필요한 환자에게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혈관조영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시술을 마쳐 화제가 되고 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흉통으로 인해 병원을 찾았던 A환자는 진료결과 폐색전증으로 진단이 되었고, 그 원인이 메이-써너 증후군으로 인한 좌측 다리의 정맥혈전증임을 발견하였다.

 메이-써너 증후군은 장골정맥압박증후군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장골동맥과 허리 척추뼈 사이에 놓인 장골정맥이 압박받아 눌리는 질환을 뜻한다. 장골정맥이 계속 눌리면서 혈류가 느려지고 이에 따라 정맥혈전이 반복해서 발생하게 된다. 다리의 정맥혈전이 떨어져 나가면 폐동맥 혈관이 막히는 폐색전증을 일으킨다.

 메이-써너 증후군 환자들은 항응고제와 같이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약제를 투여받게 되며, 재발을 막기 위해서 장골정맥에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게 된다. 스텐트 삽입을 위해서는 조영제를 사용한 혈관조영술이 필요하며, 그 결과에 따라 스텐트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여 시술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 때 사용되는 조영제는 개인에 따라 두드러기, 가려움증, 구토, 메스꺼움, 발진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신부전, 과민성 쇼크, 심장정지 등 중대한 부작용도 일부 발생하며 사망에 이르는 경우들도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메이-써너 증후군으로 인한 폐색전증이라는 진단을 받은 A환자는 조영제를 사용한 혈관조영술을 통해 스텐트 삽입술을 시도하였으나, 조영제에 과민성 쇼크를 일으켜 시술을 진행할 수가 없었다. 유철웅 교수, 정한샘 교수, 장덕현 교수팀은 환자를 위해 특단의 방책을 모색하였고,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를 통해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시술은 성공적이었으며, 유철웅 교수팀은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혈관조영술 유도하에 성공적으로 좌측 장골정맥에 스텐트 삽입을 마쳤다.

유철웅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혈관조영술은 조영제 부작용이 있던 환자들이나, 신부전 발생 위험이 높은 만성콩팥질환 환자들에게 유용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