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임신부 ‘기형아 출산’ 가장 우려

선천성 기형의 일종인 ‘태아 신경관 결손’의 인지율 절반도 안돼... 임신과 관련된 정보 전문가보다 주변 지인에 의존하고 있어

바이엘코리아는 부부의 날(5월 21일)을 앞두고 리서치 전문기업 마크로밀엠브레인과 공동으로 지난 4월 17일부터 4월 23일까지 본인 및 배우자가 현재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 중인 20-49세 기혼남녀 총 400명 대상(여성 200명, 남성 200명)으로 조사한 결과, 일반적인 기대와 달리 35세 이상 고령 임신일수록 임신 계획 및 유지 과정에서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인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ㅡ고령 임신부 및 임신 계획 여성 약 2명 중 1명, 배우자의 공감 및 배려가 부족하다고 느껴


이번 설문조사에서 임신부 및 임신 계획 여성의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인 만족도가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임신 준비 과정에서 배우자로부터 충분히 공감 받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20대의 경우 81.1%(77명/95명)가 배우자의 태도에 만족한다고 답했지만 30대 70.8%(51명/72명), 40대 54.5%(18명/33명)로 배우자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부 및 임신 계획 여성의 배우자 만족도 또한 54.8%(34명/62명)로 40대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임신부 및 임신 계획 여성의 배우자의 태도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 또한 연령대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20대는 ‘임신에 대한 이해 부족’과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대한 공감 부족’이 각각 44.4%’(8명/18명)로 동일한 비중으로 나타났고, 30대는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대한 공감 부족’이 66.7%(14명/21명)로 가장 높았다. 40대는 ‘임신 준비 및 유지 과정 중 비협조적인 태도’가 과반수 이상인 53.3%(8명/15명)로 집계됐다.


 

반면, 남성 응답자의 경우 임신 계획 및 유지 과정에서 배우자와 태아를 위해 충분히 노력했는지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중이 20대 82.1%(32명/39명), 30대 78.1%(57명/73명), 40대 77.3%(68/88명) 순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임신 과정에서 참여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신 계획 및 유지 중인 배우자와 태아를 위해 충분히 노력할 수 없었던 이유(*복수응답)로는 ‘가정을 위한 경제 활동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46.5%(20명/43명)’,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44.2%(19명/43명)’, ‘임신 과정에서 남자 보다는 여자의 역할이 훨씬 크다고 생각해서18.6%(8명/43명)’, ‘바쁜 스케줄로 인해 시간이 부족해서 18.6%(8명/43명)’ 등을 들었다.


 

강남차병원 산부인과 박희진 교수는 “초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고령임신이 더욱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고령 임신부의 경우에는 임신중독증이나 고혈압성 질환, 당뇨 등 질환을 겪기 쉽고, 기형아 출산 등에 대한 우려로 부담도 높아져 배우자 비롯해 주변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부부간 임신 계획 및 유지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공감대 형성으로 건강한 아이를 출산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ㅡ조사결과 임신 계획 및 유지 과정서 ‘기형아 출산‘우려... 반면 신경관 결손 인지율 절반 수준


실제로 임신부 및 임신 계획 여성 200명에게 임신 계획 및 유지 과정에서 가장 우려하고 있는 점에 대해 질문하자 ‘기형아 출산 가능성 등 태아의 건강 32%(64명)’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해당 답변의 응답률은 20대 28.4%, 30대 30.6%, 40대 45.5%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선천성 장애의 약 25%를 차지하는 5대 중증 선천성 장애 중 하나인 태아 신경관 결손에 대한 인지 비중은 여성 43%(86명), 남성 26.5% (53명)로 집계돼 절반도 채 안되는 수준에 그쳤다. 또한 임신과 관련된 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채널(*복수응답)은 전문가보다 주변 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 모두 ‘출산 경험이 있는 주변 지인’에 대해 응답한 비율이 각각 여성 66.1%(109명), 남성 61.8%(97명)로, ‘의사 등 전문가’에 대한 여성 32.7%(54명), 남성 37.6%(59명) 응답률 보다 월등히 높았다.



 

임신을 준비하는 과정에 노력한 행동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여성의 경우 ‘엽산을 포함한 영양제(비타민제) 복용 73.8%(127명)’, ‘운동 및 체중조절 54.7%(94명)’, ‘건강검진 및 산전 검진 51.2%(88명)’순으로 응답했으며, 남성의 경우 ‘운동 및 체중조절 52.9%(91명)’, ‘금주 및 금연 51.7%(89명)’, ‘엽산을 포함한 영양제(비타민제) 복용 51.7%(89명)’이 모두 비슷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박희진 교수는 “최근 선천성 기형아의 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태아 신경관 결손에 대한 인지율은 매우 낮은 편이며, 임신 계획 단계부터 엽산 섭취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며, “태아 신경관 결손 예방을 위해 최소 임신 3개월 전부터 0.4mg-0.8mg 엽산을 매일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엽산만 복용하는 것보다 엽산의 체내 대사를 돕는 비타민 B군을 함께 복용할 수 있는 멀티 비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한국건강증진개발원,건강친화기업 인증신청 받는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김헌주)은 5월 30일(금)부터 6월 20일(금)까지 2025년 건강친화기업 인증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건강친화기업 인증제도는 「국민건강증진법」 제6조의2에 근거하여, 직장 내 문화와 환경을 건강 친화적으로 조성하고 직원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하는 모범 기업을 인증하는 제도이다. 2022년 제도 도입 이후 현재까지 총 67개 기업이 건강친화기업으로 인증받았다. 인증심사는 경영진의 건강친화 환경조성 노력, 지역사회 건강친화 공헌활동 참여, 기업 특성에 맞는 직원건강증진 프로그램 계획 및 추진, 직원 만족도 등 총 10개 영역을 평가한다. 건강증진, 산업보건, 기업경영 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인증심사단이 6월부터 9월까지 서류 및 현장심사를 실시하며, 이후 10월 건강친화기업 인증위원회 심의를 거쳐 11월 건강친화기업을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건강친화기업 인증제도 누리집에서 제도 개요, 신청 방법, 심사 항목, 인증 절차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기업들의 원활한 신청을 돕기 위해 비대면 방식으로 심사지표별 제출자료 작성 관련 컨설팅도 지원할 예정이다. 인증기업에 대해서는 법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강남세브란스병원, 1기 연구중심병원 인증 기념식 및 연구 심포지엄 개최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구성욱) 지난 29일 병원 대강당에서 1기 연구중심병원 인증 기념식 및 서울의과학연구소 공동 연구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강남세브란스병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1기 연구중심병원 인증을 받은 것을 기념하고,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첨단 바이오의료 연구 분야에서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1부 인증 기념식과 2부 공동 연구 심포지엄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1부에서는 오후 1시부터 구성욱 강남세브란스병원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최재영 연새대학교 의과대학장, 이경률 서울의과학연구소 회장의 축사가 있었다. 이어 임재열 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부원장이 연구중심병원 추진 경과와 방향을 발표했으며, 이를 기념하는 전자 현판 제막식도 함께 진행됐다. 2부는 서울의과학연구소와 공동 연구 심포지엄이 이어졌다.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된 심포지엄에서는 최신 연구 주제와 성과들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연구 인프라를 주제로, 강남세브란스병원이 구축한 첨단기술 허브에 대한 소개와 함께 개방형 공동연구 인프라 운영 사례를 발표했다. 유전체, 면역치료, 인공지능 기반 분석 등 다양한 기술 기반의 인프라 운영 전략과 더불어 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