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대한류마티스학회,제 26대 회장에 인하의대 박원 교수, 제7대 이사장 가톨릭의대 박성환 교수 선출

제38차 대한류마티스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제12차 국제심포지엄 성료 ... 총 80개의 구연 발표 및 62개의 포스터 발표 진행

대한류마티스학회(회장 유대현, 이사장 최정윤)가 5월 18일(금)~19일(토)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제38차 춘계학술대회 및 제12차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760여명이 참석해 명실상부 류마티스 학문에 대한 높아진 관심을 확인했다. 유대현 회장의 인사말과 최정윤 이사장의 환영사로 시작한 학회는 개최 양일간 총 80개의 구연 발표 및 62개의 포스터 발표가 진행됐으며, 모든 세션마다 열띤 토론의 열기가 이어졌다.


 

18일에는 프레너리 세션(Plenary session)을 시작으로, 비엔나대학의 조셉 스몰렌 교수의 ‘류마티스관절염에서 최적의 치료 전략(Implementing optimal treatment strategies in rheumatoid arthritis)’에 대한 초청 강연(Invited Lectures)이 이어졌다. 이후 ▲연수자 귀국 보고 강의, ▲대한류마티스학회 생물학적제제 등록사업과 관련된 심포지엄과 기초 연구 라이브 워크샵, ▲구연 발표가 세 개의 룸에서 동시에 진행됐으며, 의료인문학 세션에서는 서울의대 최은경 교수의 ‘여성과 의학-어제와 오늘’ 강의와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서보경 교수의 ‘만성질환과 돌봄의 윤리’ 강의가 진행됐다.


 

이어서 대한류마티스학술상과 젊은 연구자상 시상과 수상자 강연이 진행됐다. 대한류마티스 학술상(상금 2,000만원)[i]은 서울의대 류마티스내과 이은봉 교수, 젊은 연구자상(상금 1,000만원)은 울산의대 류마티스내과 홍석찬 교수가 수상하였다.


 

19일 첫 번째 세션으로 진행된 국제심포지엄 세션에서는 ▲코넬 대학 리오넬 이바시키브 교수의 ‘건강과 질병에서의 염증성 시토카인의 조절(Regul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health and disease)’, ▲독일 유스투스-리빅대학교(Justus-Liebig University) 울프 뮐러-라드너 교수의 ‘류마티스관절염 병태생리의 주된 원인인 활막 섬유모세포’(Synovial fibroblasts as drivers of rheumatoid arthritis pathophysiology), ▲오사카대학교 키요시 타케다 교수의 ‘류마티스관절염에서 장내 미생물의 역할’(Role of gut microbiota in rheumatoid arthritis) 강의가 진행됐으며, 루벤대학교의 르네 웨스트호벤스 교수의 ‘조기 류마티스관절염에서 시행하는 치료 전략’(Therapeutic strategies in early rheumatoid arthritis from evidence to implementation), 코펜하겐대학교의 미켈 오스터가르드 교수의 ‘류마티스관절염에서 MRI의 가치’(The value of MRI in rheumatoid arthritis), 노팅엄대학교의 웨이야 장 교수의 ‘골관절염 치료에서 맥락효과’(Contextual effect of treatment in osteoarthritis)에 관한 강연이 이어졌다.


 

2017년부터 대한골대사학회와 진행 해 오고 있는 공동 심포지엄에서는 골다공증을 주제로 경북대 한승우 교수의 ‘골면역학-염증성 관절염에서의 파골 세포’(Osteoimmunology: Osteoclast in inflammatory arthritis), 서울대 한상완 교수의 ‘골다공증 치료의 조골세포 (Osteoblast as a target of osteoporosis treatment) 강의와 함께 구연 발표 시간도 가졌다.


 

간행 세션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임준서 연자의 ‘효과적인 답변 편지 쓰기’(효과적인 Response Letter 쓰기), 연세대 원주의대 강대용 연자의 ‘논문작성시 흔한 통계 오류’, 컴팩스 황윤희 연자의 ‘논문작성시 흔한 영문 오류’에 대한 강의와 함께 2014년부터 류마티스학 연구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연구비 지원 사업과 관련된 발표 자리가 마련되어 수혜자인 한양의대 성윤경, 서울의대 박진균, 울산의대 임두호, 경북의대 이상진 교수의 강의가 진행되었다.


 

강의 세션 종료 후에는 우수구연상(6명, 수상자: 가톨릭의대 이사성, 부산의대 이승근, 가톨릭의대 김지원, 서울의대 송영욱, 한림의대 김현아, 한양의대 조성신) 및 우수포스터상(6명, 수상자: 전남의대 김태종, 서울의대 오윤정, 서울의대 김정연, 가톨릭의대 이주하, 한양의대 조수경, 가톨릭의대 강귀영)의 수상이 있었다.


 

한편, 첫째 날(18일) 학회 석상에서 개최된 제30차 정기 총회에서는 제 26대 회장으로 인하의대 류마티스내과 박원 교수(임기:2018.05.21~2019.05.19), 제7대 이사장으로는 가톨릭의대 류마티스내과 박성환 교수가 선출(임기: 2018.05.21~2020.05.17)되었다.


 

학술대회가 개최되기 전날인 5월 17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류마티스학 교과서 2판 출판기념회를 개최하였으며, 춘계학술대회 석상에서 많은 학회원들의 호응으로 구매 주문이 끊이지 않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