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10월 16일(수) 심사평가원 서울사무소에서 전국 호스피스완화의료전문기관 대상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질 향상 심포지엄'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및 중앙호스피스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15.7월부터 건강보험이 적용 된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기관 간 서비스 차이를 줄이는 등 역량을 강화하여, 국민들이 질 높은 생애 말기 돌봄을 받을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했다. 전국 호스피스완화의료전문기관 및 심사평가원, 중앙호스피스센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등 관계자 170여명이 참석했다.
-입원형 호스피스 전문기관
내용은 ▲호스피스전문기관의 질, 현황Ⅰ, Ⅱ ▲질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 필요성 등 주제발표와 ▲완화의료 필수약물 목록의 의무화 제안 ▲초기평가 및 돌봄계획 수립의 역량 강화 ▲퇴원 후 연계의 강화 ▲외국의 호스피스 질 관리 및 질 향상 현황 ▲호스피스 건강보험 발전방안 등 토의로 구성됐다.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기관
제1부에서는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최윤선 이사가 좌장을 맡아 ‘호스피스 전문기관의 질 향상’이라는 주제로 진행됐.심사평가원 완화요양수가부 임상희 부장은 호스피스 제도에 대하여 소개하고 건강보험 청구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발표했다.
중앙호스피스센터 남은정 호스피스전문간호사는 연도별 생애말기 삶의 질 조사(GDI) 결과를 발표했다. ‘18년 54.5점으로 ‘15년 대비 2점 상승했고, 사별가족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부분과 방향을 제시했다.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윤수진 기획위원은 기관 평가 개선 방향과 수가 청구에 대한 제도 보완 필요성에 대해 발표했다.
-자문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기관
제2부에서는 ‘호스피스 건강보험 발전방안’에 대하여 다양한 주제로 토론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서세영 기획간사는 완화의료 필수약물인 마약성진통제, 수액 사용의 의무화가 필요하며, 특히 환자의 증상 개선으로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면 국내에 도입되지 않은 신체적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약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사회사업연구회 김원철 회장은 ‘19. 5월 ‘커뮤니티케어와 관련된 인식조사’ 연구 결과 퇴원 후 연계 강화를 위해 가정호스피스 활성화, 표준화된 퇴원 계획 상담, 권역호스피스 연계기능 활성화 등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곽정임 보험간사는 미국, 일본, 대만의 호스피스 질 관리 현황을 설명하고 제도적 질 관리의 규범적 표준설정과 질 평가 체계설계, 완화의료 표준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 등 평가 기준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심사평가원 지점분 의료수가실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방향성에 대해 전문가들이 다양한 의견들을 공유하고, 개선점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앞으로 건강보험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전인적 의료 서비스가 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