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선진통일당 문정림 의원(정책위의장 겸 원내대변인)은 5일,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본부 국정감사에서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통합적 대응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부의 기본방침인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이 지난 6년간 제대로 보완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문정림 의원실에서 질병관리본부를 통해 확인 한 결과, 2006년 8월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이 처음 마련된 이후 5년 후인 2011년 10월에서야 미완성본이라 할 수 있는 간략한 수정본만이 발간되었다.
문정림 의원은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은 백신, 항바이러스제 등 예방·치료약제의 비축 등 의료적 조치와 함께 격리, 검역, 홍보 등 대유행 기간 중 교육·경제·사회 전 분야에서의 핵심 계획임”을 강조하면서, “2006년 질병관리본부는 국제교류 등을 통한 최신 정보 반영 등 지속적 수정·보완을 1차 계획서 발간 후 약속하였으나 6년이 지나고, 신종플루 대유행을 2009년에 겪은 이후 보완이 없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문정림 의원은 “감염병 대응·대비를 위한 국가적 절차를 위해서는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이라는 포괄적인 기본 틀을 항시 보완해 완비해 놓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문 의원은 “2009년 신종플루를 경험하면서 진단법의 문제, 백신의 우선공급 순위, 항바이러스제 사용 지침, 단체예방 접종 문제, 전파 확산을 막기 위한 휴교 지침 등 의료적, 사회적 대응 및 지침에 대해 논란이 있었던 바, 이에 대한 실제 경험을 토대로 한 국가적 대비·대응계획이 이미 보완되었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계획 마련을 촉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