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심평원

세대별 다빈도 질환 살펴보니...취학 전 중이염 .장염, 50대 고혈압‧당뇨, 70대 이상 치매 주의해야

안질환,초등학생의 19.5%인 54만 763명 진료
백내장,50대부터 환자수 급격히 증가, 50대의 2.8%인 24만 3,780명 외래 찾아
65세 이상부터 임플란트 시술 건강보험 적용..지난해 65~69세 시술인원 34만 8,637명

취학 전  어린이는  중이염 및 장염을, 50대는 고혈압‧당뇨가 다빈도 질환 2위에 올라 관관심을 가져야 하며  70대 이상은  치매를  주의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어린이와 부모세대의 다빈도 질병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어린이는 취학 전 아동(만 3~5세)과 초등학생(만 6~11세)으로, 부모세대는 50대, 60대, 70대 이상으로 구분하여 각 세대별 특히 주의해야 할 질병‧부상 등에 대한 세부 분석 결과를 포함했다.

2020년 한 해 우리나라 국민들은 1인당 5.17개의 주요 질병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했고, 70대 이상이 7.28개로 가장 많았으며, 60대 6.13개, 9세 이하 5.21개 순이었다.
    
 어린이 중 취학 전 아동(3~5세)은 4.96개 질병으로 의료기관을 찾았으며, 초등학생(6~11세)은 4.60개 질병으로 의료기관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3세 이상 11세 이하 어린이는 2020년에 호흡기 질환, 치아 질환, 피부질환 등으로 의료기관을 많이 찾았다.어린이의 다빈도 질병 중 ‘호흡기 질환’(1, 4, 5, 7, 13위)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만큼, 어린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의 호흡기 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호흡기 질환 이외에는, 성장기에 따른 치과 및 안과 질환이 많았고, 피부 질환, 장염, 골절 및 손상 등으로도 진료를 많이 받았다취학 전 아동의 외래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중이염(H65, H66)’과 같은 염증성 및 감염성 질병으로 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기, 알레르기 등으로 인해 인두와 귀를 연결하는 관이 막혀 세균이 증식해 발병하는 ‘중이염(H65, H66)’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취학 전 아동(3~5세)은 해당 연령대 인구의 19.4%인 23만 6,773명이었다.

‘중이염’은 호흡기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 겨울철(11~2월)에 많이 발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염’(A04, A06~A09)으로 진료를 받은 취학 전 아동은 해당 연령대 인구의 22.1%인 26만 9,453명이었다. ‘장염’은 3세(26.7%인 9만 7,130명)에서 가장 많이 발병했다가 이후에는 환자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장염’은 1월 중 가장 많이 발병했다가 4월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므로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취학 전 자녀를 둔 부모는 아이의 ‘장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올바른 손씻기, 위생적인 조리 및 음식 보관 환경 정리 등 장염 예방수칙을 숙지하는 것이 좋다.



알레르기성 비염 등 ‘알레르기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취학 전 아동은 해당 연령대 인구의 67.8%인 82만 7,291명이었으며, 특히 3세 아동은 88.6%로 10명 중 9명이 알레르기 질환으로 진료를 받았다.
     
알레르기 유발 물질과 관련되어 발병하는 ‘알레르기 질환’은 꽃가루와 황사 등이 심한 5월에 주의해야 하며, 이후 가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므로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초등학생들은 성장해가면서 시력 관련 질환(굴절 및 조절의 장애, H52)으로 의료기관 진료를 많이 받았다. ‘굴절 및 조절의 장애(H52)’로 진료 받은 초등학생은 해당 연령대 인구의 19.5%인 54만 763명이었다.

특히 9세 진료 비율이 24.3%로 가장 높았으며, 7~11세 어린이는 평균 4명 중 1명꼴로 시력 관련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초등학교 입학부터 시력 관리가 필요하다.

야외 활동이 활발해지는 초등학생들은 ‘발목 및 발부위에서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S93), 손목 및 손부위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S63)’으로도 의료기관 진료를 많이 받았다. 

초등학생들은 해당 질병으로 해당 연령대 인구의 10.2%인 28만 3,895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남학생이 15만 6,902명, 여학생이 12만 6,993명으로 남학생이 여학생의 1.2배였다.

월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5∼7월 중 의료기관을 많이 방문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는 이 기간 동안 특히 야외활동 시 아이들이 다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020년 50대 이상에서 의료기관을 많이 찾은 질병은 외래는 치과 질환, 고혈압, 피부 질환, 당뇨병 등이었으며, 입원은 백내장, 척추 장애, 골절, 치매 등이었다.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고혈압(I10~I15)’과 ‘당뇨병(E10~E14)’은 50대 환자수가 40대에 비해 각각 2.2배 였다.
 ‘고혈압’ 진료를 받은 50대 환자수는 해당 연령대 인구의 20.6%인 178만 2,220명이었고, ‘당뇨병’ 환자수는 9.9%인 85만 4,128명이었다.

50대 남성이 여성에 비해 ‘고혈압’은 1.3배, ‘당뇨병’은 1.7배 였다. ‘백내장(H25~H26, H28, Q120)’은 50대 환자수가 40대의 4.5배인 것으로 확인되어 50대부터 ‘백내장’에 대한 주의 및 관리가 필요하다.

 ‘백내장’으로 진료 받은 50대 환자수는 해당 연령대 인구의 2.8%인 24만 3,780명이었고, 여성 환자수는 14만 8,674명으로 남성 환자수 9만 5,106명의 1.6배였다.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K08)’ 환자수는 60대가 해당 연령대 인구의 7.7%인 51만 8,588명으로 50대 환자수 12만 2,102명의 4.2배였다.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로 진료를 받은 60대 중, 78.15%가 사고, 추출 또는 국한성 치주병에 의한 치아상실(K081) 질병으로 진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시술(UB111~UB139)은 현재 65세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으며, 2020년 한 해 동안 65∼69세 임플란트 환자수는 34만 8,637명이었다.골다공증(M80~M82) 진료를 받은 60대 환자수는 해당 연령대 인구의5.7%인 38만 6,239명으로, 50대 환자수의 2배였다.

골다공증 진료를 받은 60대 중 여성은 37만 1,520명, 남성은 1만 4,719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25.2배였다.
치매(F00, F01, F02, F03) 70대 이상 환자수는 해당 연령대 인구의 9.3%인 53만 232명으로 60대 환자수 3만 4,625명의 15.3배였다.

지난 10년간 70대 이상 치매 환자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11.3%로 크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치매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치매 유형별로 살펴보면, 70세 이상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52만 7,85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70세 미만에서는 기타 치매 환자가 11만 5,084명으로 가장 많았다.혈관성 치매는 남성 비율이 38.2%로 다른 치매(알츠하이머치매 28.2%, 기타 치매 31.3%)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사평가원 이소영 급여정보분석실장은 “심사평가원이 가정의 달을 맞아 분석한 ‘어린이와 부모님 연령대별 주의·대비해야 할 질병’을 참고하여 소중한 가족의 건강을 미리 챙길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