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머크 세로노 얼비툭스, 두경부암 환자에 대해 HPV 종양상태와 무관하다고 ESMO서 발표

독일 머크의 전문의약사업부인 머크 세로노사업부는 오늘 오스트리아 빈의 ESMO 2012 Congress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2012년 9월 28일 – 10월 2일)에서 재발성 그리고/또는 전이성 두경부 편평세포암(R/M SCCHN)에 대한 얼비툭스® (세툭시맙)의 무작위 배정 임상 3상 EXTREME 임상시험의 새로운 자료를 발표하면서 공개하였다.

회고적 분석 결과, 재발성 그리고/또는 전이성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cisplatin/carboplatin + 5-FU화학요법과 얼비툭스® 병용 치료는 단독 화학요법과 비교시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종양의 양성음성여부와 무관한 것 같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본 분석은 전반적인 생존, 무진행 생존, 전반적인 반응율을 포함하였다. 

“본 분석은 HPV 상태와 무관하게 재발성 그리고/또는 전이성 두경부암 환자가 백금을 기본으로 한 지주(backbone) 화학요법에 얼비툭스®의 추가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여 매우 흥미롭다.”라고 초록 분석의 주저자이자 그리스 아테네 대학의 의학부, 아만다 시리 박사는 말했으며, “HPV 감염은 두경부암의 전세계적인 발병율 증가와 관련되어 있어, 이러한 고무적인 결과는 특히 중요하고, 향후 조사 및 validation 이 타당하다.”라고 덧붙였다.

EXTREME 임상시험은 30년만에 처음으로 재발성 그리고/또는 전이성 두경부암 (R/M SCCHN) 치료시 첫 생존 이득을 증명하였고, 화학요법에 얼비툭스®의 추가는 이러한 생존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환자의 전반적인 생존을 연장시켰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새로운 HPV자료는 두경부암 환자의 결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로서의 얼비툭스®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HPV-양성 상태가 최근 몇 년 사이에 구인두 두경부편평세포암의 발병율의 원인이 된다고 여겨져 왔으며, 만일 조기에 검출되면, 모든 유형의 두경부암 환자의 장래성은 일반적으로 밝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환자의 상당수가 질환의 마지막 단계에 진단된다. 

유럽두경부학회(European Head and Neck Society, EHNS)의 회장인 르페브르 교수는 “불행하게도, 두경부암은 지연된 발현, 진단 및 진료협력으로 인해 마지막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치료된다.” 라고 말했으며,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을 대처하고, 두경부암의 증상 및 증후의 인식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환자의 치료 결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른 부서, 특히 환자를 포함한 주치의 그리고 치과 의사와 같은 협진팀과 함께 일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