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

보건의료 통계, 오락 가락 신뢰성 의문 제기

김성주 의원 “법령, 제도 정비 및 기관간 정보교류 및 협의 절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기관, 의료인력에 관한 통계가 각각 달라 국민과 의료기관의 혼란은 물론이고 국가의 보건의료 정책 시행에 있어 정확성과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성주 의원(전북 전주시 덕진)이 보건복지부와 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0년 의료기관 현황이 복지부와 심평원 간 통계가 서로 달라 1,057개소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복지부 & 심평원 의료기관 현황 대비표(2010.12월말 기준)>
                                                                                                        (단위 : 개소)

구분

종합병원

병원

의원

조산원

약국

복지부(A)

77,155

312

2,497

53,398

37

20,911

심평원(B)

78,212

318

2,541

54,211

46

21,096

차이(A-B)

△1,057

△6

△44

△813

△9

△185

      주) 1.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발행 최근년도(2010년도) 기준임.
           2. 병원에는 치과병원, 한방병원은 병원에, 치과의원, 한방의원은 의원에 포함됨


2010년 보건복지부의 <보건복지통계연보>에는 보건기관을 제외한 전국 의료기관 수가 77,155개로 파악된 반면, 같은 해 심평원의 <통계연보>에는 78,212개 의료기관으로 파악되었다. 보건의료 정책을 결정하고, 수행하는 복지부와 심평원 간에 핵심자료라고 할 수 있는 의료기관 숫자가 1천개 넘게 차이나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이렇게 복지부와 심평원 간에 같은 의료기관에 대한 현황 통계가 다른 이유는 두 기관의 통계 생성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복지부의 <보건복지통계연보>는 전국 시군구 257개소에서 생산하여 시․도로 보고하고, 시․도는 취합된 통계를 보건복지부로 보고하는 단계를 거친다. 각 단계별 기관의 통계 생산․보고과정에서 작성 기준의 차이 및 자료취합 과정에서의 착오 등이 발생할 가능성은 상존한다.

또한 심사평가원의 <통계연보>는 건강보험법에 따른 요양급여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 성형외과의원 등이 누락되는 경향이 있고, 일부 폐업기관이 의료법에 따라 시도에만 신고하고 심평원에는 신고하지 않아 복지부-심평원 양 기관 간의 통계는 항상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최근 복지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 중에 병원 근무 의사, 약사 현황이 실제와 달라 재신고하는 해프닝도 발생하기도 했다.

김성주 의원은 “통계는 국가정책의 가장 기본이면서도 핵심인데, 보건의료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복지부-심평원의 통계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중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더 큰 문제는 보건의료 주요통계 오류가 수년째, 그 이상으로 오래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기관에서도 통계오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며 복지부와 심평원의 무책임을 지적했다.

김성주 의원은 “의료법과 건강보험법에 따라 각각 의료기관이 개설․폐업 신고하는 방식이 다르고, 의료자원(인력, 장비 등)은 신고하는 방식도 다름에 따라 통계오류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언급하고, “국가 정책자료로 활용되는 통계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법제도 개선과 기관 간 정보 교류를 위한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