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MSD(대표 케빈 피터스)는 3월 28일부터 31일까지 4일간 의료진 대상으로 진료현장에 도움이 되는 최신 의학정보부터 최근 디지털 헬스케어 트렌드까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2022 MSD 버추얼 위크(MSD Virtual Week)’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온라인으로 개최된 이번 행사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DHP) 최윤섭 대표, 서울아산병원 통합내과 김준환 교수,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김헌성 교수가 연자로 참석하여 각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강연을 펼쳤다.
서울아산병원 김준환 교수는 ▲‘변화의 시대, 환자 중심 진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들’을 주제로 디지털 헬스케어를 이용한 진료 방법과 실제 사례를 소개했다. 김준환 교수는 “치료 패러다임이 근거 중심 의학, 예방, 환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실용화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환자 중심의 맞춤형 진료가 가능한 시대가 도래한 만큼 의료진도 디지털 헬스케어를 정착시키기 위한 쟁점들을 함께 논의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이재갑 교수는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병원 방문이 어렵거나, 백신에 대한 불신으로 예방 접종을 기피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진료 현장에서 환자들이 코로나19 백신 뿐만 아니라 시기 적절하게 필수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권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김헌성 교수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허와 실, 그리고 당뇨병 관리’를 주제로 디지털 헬스케어와 접목하여 변화하고 있는 당뇨병 치료와 관리에 대해 소개하고, 실용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김헌성 교수는 “당뇨병과 같이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만성질환은 디지털 헬스케어를 적용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분야”라며, “디지털 헬스케어가 실용화 되기 위해서는 안전성, 유효성 외에도 환자의 순응도, 경제성,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기존 치료법을 보완해주는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