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학대’로 인한 보호대상아동 5년간 1,442명에서 1,660명으로 15% 증가

학대피해아동 사례 건수 10년간 무려 5.87배(31,202명) 늘어
백종헌 의원 “학대피해아동 건수 매년 급증하고 있어 국가에서 피해아동보호 대책 마련 시급”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실(부산 금정구)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지난 5년간(2017~현재) 보호대상아동의 발생원인’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 간 19,647명의 보호대상아동이 발생하였고, 그 원인으로는 학대(7,768명), 부모의 이혼(3,115명), 미혼 부모 및 혼외자(2,763명) 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학대로 인한 보호대상아동이 증가하는 추세라는 것이다.

 

학대로 인한 보호대상아동의 수가 2017년 1,442명(35%)에 비해 2021년 1,660명(48.3%)으로 무려 218명(15%)이나 증가했다. 학대로 인한 보호대상아동이 차지하는 비율(%)을 년도별로 비교했을 때, 매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5년 전과 비교하여 부모의 이혼과 미혼 부모, 혼외자로 인해 발생한 보호대상아동의 수는 감소하는 반면에 학대로 인해 발생한 보호대상아동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표1] 지난 5년간(2017~현재) 보호대상아동의 발생원인(단위: 명, (%))

연도

합계

발생원인

유기

미혼

부모· 혼외자

미아

비행· 가출

학대

부모 빈곤· 실직

부모 사망

부모 질병

부모

교정시설

입소

부모 이혼

2021

3,437

117

366

-

293

1,660

170

275

101

99

356

(3.4)

(10.6)

(0.0)

(8.5)

(48.3)

(4.9)

(8.0)

(2.9)

(2.9)

(10.4)

2020

4,120

172

463

11

468

1,767

181

279

74

166

539

(4.2)

(11.2)

(0.3)

(11.4)

(42.9)

(4.4)

(6.8)

(1.8)

(4.0)

(13.1)

2019

4,047

237

464

8

473

1,484

265

297

83

 

736

(5.9)

(11.5)

(0.2)

(11.7)

(36.7)

(6.5)

(7.3)

(2.1)

 

(18.2)

2018

3,918

320

623

18

231

1,415

198

284

92

 

737

(8.2)

(15.9)

(0.5)

(5.9)

(36.1)

(5.1)

(7.2)

(2.3)

 

(18.8)

2017

4,125

261

847

12

227

1,442

223

279

87

 

747

(6.3)

(20.5)

(0.3)

(5.5)

(35.0)

(5.4)

(6.8)

(2.1)

 

(18.1)

출처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아동학대 주요통계⌟에 따르면, 아동학대로 판단된 건수는 2012년 6,403건에서 2021년 37,605건으로 10년간 5.87배(31,202명)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표2] 연도별 아동학대사례 건수(단위:건)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6,403

6,796

10,027

11,715

18,700

22,367

24,604

30,045

30,905

37,605

신체학대

461

753

1,453

1,884

2,715

3,285

3,436

4,179

3,807

5,780

정서학대

936

1,101

1,582

2,046

3,588

4,728

5,862

7,622

8,732

12,351

성학대

278

242

308

428

493

692

910

883

695

655

방임

1,713

1,778

1,870

2,010

2,924

2,787

2,604

2,885

2,737

2,793

중복학대

3,015

2,922

4,814

5,347

8,980

10,875

11,792

14,476

14,934

16,026

 출처 : 보건복지부「아동학대 주요통계」

 

또한, 보호조치 유형별로는, 2021년 기준 양육시설로 996명, 공동생활가정으로 546명이 입소 되었고, 가정위탁은 1,028명으로 집계됐다.


끊이지 않는 아동 학대 사건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면서 국가에서는 제도를 개선하고 아동 보호 체계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학대 피해 아동이 줄어들기는커녕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표3] 지난 5년간(2017~현재) 보호대상아동 조치내용(단위: 명, (%))

연도

합계

시설입소

가정보호

소계

양육

시설

일시

보호

시설

자립

지원

시설

보호 치료 시설

공동

생활

가정

기타

소계

입양

가정

위탁

입양

위탁

2021

3,437

2,183

996

243

33

282

546

83

1,254

75

1,028

151

(63.5)

(29.0)

(7.1)

(1.0)

(8.2)

(15.9)

(2.4)

(36.5)

(2.2)

(29.9)

(4.4)

2020

4,120

2,727

1,133

343

20

451

712

68

1,393

88

1,068

237

(66.2)

(27.5)

(8.3)

(0.5)

(10.9)

(17.3)

(1.7)

(33.8)

(2.1)

(25.9)

(5.8)

2019

4,047

2,739

1,707

401

-

-

625

6

1,308

104

1,008

196

(67.7)

(42.2)

(9.9)

(0.0)

(0.0)

(15.4)

(0.1)

(32.3)

(2.6)

(24.9)

(4.8)

2018

3,918

2,449

1,300

494

-

-

648

7

1,469

174

938

357

(62.5)

(33.2)

(12.6)

(0.0)

(0.0)

(16.5)

(0.2)

(37.5)

(4.4)

(23.9)

(9.1)

2017

4,125

2,421

1,467

310

- 

- 

625

19

1,704

285

996

423

(58.7)

(35.6)

(7.5)

(0.0)

(0.0)

(15.2)

(0.5)

(41.3)

(6.9)

(24.1)

(10.3)

출처 : 보건복지부

 

백종헌 의원은 “학대로 인한 상처는 아이들에게 평생 지울 수 없는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으므로 정부에서는 적극적인 보호와 지원을 제공해주어야 한다.”고 강조하였고,


“보호대상아동이 보호시설로 입소하면서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미비한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보안의 시작은 나, 신뢰의 완성은 우리' ...삼성바이오로직스, 정보보호 사내 슬로건 공개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가 21일(목) 전사 차원의 정보보호 의지를 담은 신규 사내 슬로건 '보안의 시작은 나, 신뢰의 완성은 우리'를 공개하며, 보안문화 고도화에 본격 나섰다. 이번 슬로건은 임직원 모두가 회사의 핵심 기술과 정보를 지키는 주체임을 인식하고, 각자의 역할에서 정보보호를 실천하도록 독려하는 메시지를 담았다. 특히 개인의 작은 부주의가 회사 전체의 정보보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환기시키고, 보안을 단발성 캠페인이 아닌 지속 가능한 조직문화로 정착시키자는 취지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이처럼 보안의식을 내재화하고 전사적인 보안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이유는 회사가 보유한 기술이 국가 차원의 보호가 필요한 핵심 전략 기술이기 때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서 2021년 '1만 리터 이상의 동물세포 배양·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산업기술보호법에 따른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으로 지정됐다. 이어 2023년에는 국가첨단전략산업법상 국가첨단전략기술 보유 기업으로도 지정되며, 대한민국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주권을 담당하는 핵심 기업으로 공인받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임직원 독려와 더불어 기술적·물리적·관리적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