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임신 준비중인데...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해도 되나요?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4,859명을 대상으로 불현성 갑상선 기능 이상 실태를 분석한 결과 성인 여성의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 비율은 4.4%로 나왔다.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이란 혈중 갑상선호르몬(T3, Free T4)은 정상이나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이 정상범위보다 상승되어 있는 상태로, 대개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아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불리기도 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자가면역 갑상선염이다.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인구의 3~8%에서 나타나는데 여성에서 흔하고 나이가 증가할수록 그 유병률이 높아지며 60세 이상의 여성에서는 15~20%에서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다. 증상이 없기에 종합검진을 받으며 우연히 발견되거나, 임신을 준비하기 위해 찾은 산부인과에서 진단되어 내분비내과 외래에 방문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오은숙 내분비내과전문의는  “임신을 고려하지 않는 일반인의 경우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치료는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상승 정도와 갑상선자가항체(항TPO항체, 항Tg항체)여부에 따라 결정된다.”며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치가 10mIU/L이상일 때 갑상선호르몬(씬지로이드나 씬지록신)보충을 시작하게 되고, 갑상선자극호르몬이 4.5-10mIU/L 범위라도 임신을 준비하는 경우나 피로, 변비, 갑상선비대 등의 증상이 있거나, 갑상선자가항체 양성인 경우에는 치료한다. 치료를 시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2~3개월 뒤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치를 재확인한다.”고 설명했다. 

오은숙 전문의는“임신을 고려중이라면 갑상선기능은 더 섬세하고 엄격하게 조절되어야 한다.”며 “임신 중 갑상선기능이 중요시 되는 이유는 갑상선호르몬이 태아의 뇌신경발달에 중요한 호르몬이기 때문인데 태아의 갑상선기능이 성숙되는 시기는 임신 18~20주로 그 전까지는 모체로부터 공급받는 갑상선호르몬에 의존하는 상태이다. 임신 중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유산이나 조기분만의 임신 중 합병증 증가와 연관되어 있고, 태아의 신경인지발달 이상의 빈도를 높인다는 연구도 있기에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를 측정하고 정상범위로 유지하기를 권고한다”고 말했다.

특히, 임신 중에는 갑상선호르몬 요구량이 증가하고 자가항체의 존재가 유산, 조기분만, 산후갑상선기능이상 등과도 연관이 있으므로 임신기간 동안 정기적인 갑상선자극 호르몬 수치 확인이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