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신체 활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저강도‧중강도‧고강도의 신체 활동이 모두 영향이 있으나 특히 중강도의 신체 활동이 사망률을 가장 크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김용욱 교수(시진 좌)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재활의학과 윤서연 교수(우)는 공동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 환자에서 신체 활동과 사망률 감소의 상관관계를 규명했다. 이번 ‘파킨슨병 환자에서 신체 활동과 사망률의 연관성(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including amount and maintenance, with all-cause mortality in Parkinson’s disease)’ 연구는 미국의사협회 공식 학술지의 자매지인 ‘JAMA Neurology(IF 18.302)’에 게재됐다. 김용욱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검진 대상자 중 파킨슨병을 처음으로 진단받은 환자 1만 699명을 장기간 추적 관찰해 신체 활동의 강도와 총량, 파킨슨병 발생 이후까지 신체 활동의 유지 정도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그 결과 신체 활동이 저하된 환자군
전남대학교병원 신경과 최강호 교수가 최근 열린 아시아-태평양 국제뇌졸중학회에서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지난 9일부터 3일간 온라인을 통해 개최된 학회에서 최강호 교수는 ‘미세뇌출혈을 동반한 색전성 뇌경색 환자에서 항응고치료의 효과(Efficacy and Safety of Anticoagulation in Cardioembolic Stroke with Cerebral Microbleed)’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수상의 기쁨을 누렸다. 논문 내용은 뇌출혈의 위험성이 높은 미세뇌출혈을 가지고 있는 색전성 뇌경색 환자에서 항응고제 치료는 항혈소판제 치료보다 뇌출혈 위험성의 증가 없이 뇌경색 재발의 위험성을 유의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번 수상을 통해 전남대병원의 우수성을 국제학회에서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됐으며, 국제 의료계에서도 국내 의료수준에 더욱 높은 관심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올바이오파마의 글로벌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HL161(물질명 바토클리맙) 중증근무력증에 대한 동의를 얻어 내년 상반기에 HL161 중증근무력증 임상 3상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30일(현지시각) 밝혔다. 이번 임상은 바토클리맙의 피하주사 680mg과 340mg을 주 1회씩 12주간 투약하는 유도기(induction period)와 대체 투약용법(저용량의 치료효과 유지용법 및 고용량의 응급치료 용법)의 후속치료로 구성되어 있다. 주평가변수(primary endpoint)는 중증근무력증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양성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도(MG-ADL)’로 설정된다. 바토클리맙은 중증근무력증에서 지난 미국 임상 2상과 중국 임상 2상을 통해 이 지표에서 위약 대비 통계적 차이를 입증한 바 있다. 이뮤노반트의 빌 마샤스(Bill Macias) 최고 의학 책임자(Chief Medical Officer)는 “바토클리맙의 유도용법 및 유지용법은 anti-FcRn 치료제 중에서 차별화 요소이고, 이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통해 이 제품 특유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피트 살즈만(Pete Salzmann
대웅제약이 중국 식약당국에 ‘나보타'의 출시허가를 신청하며 중국 진출 초읽기에 들어갔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자제 제조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임상 데이터를 제출하고 생물의약품허가신청(BLA)을 했다고 31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지난 7월 NMPA 가이드라인에 따라 중국 현지에서 나보타의 임상 3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바 있다. 중등증에서 중증 사이의 미간주름을 가진 환자 473명을 대상으로 동일 용량의 나보타 혹은 대조약(보톡스, Botox)을 한 차례 투여하고 16주에 걸쳐 효과를 비교한 결과, 주평가변수로 설정한 ‘투여 후 4주째에 미간주름 개선 정도’에서 나보타 투여군은 92.2%, 대조군은 86.8%의 개선도를 보였다. 박성수 대웅제약 부사장은 “아직 보툴리눔 톡신 경험률이 1%대에 불과해 폭발적인 잠재력을 가진 중국 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출해 미래 수익을 확보하겠다”며 “국내 제약산업의 선두주자로서 대웅제약이 가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마케팅에 더해서, 선진국을 비롯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 얻은 사업 경험으로 차별화된 사업전략을 펼쳐 발매 후 3년 내 중국 시장 보툴리눔 톡신 매출 1위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2월 31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46,646명, 2차접종자 45,494명, 3차접종자 517,087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219,648명, 2차접종자수는 42,533,516명, 3차접종자수는 17,673,599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2월 3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056명, 사망자는 10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5,563명(치명률 0.88%)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758명, 해외유입 사례는 11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875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630,838명 (해외유입 17,340명)이다. 12월 3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유입 479명(+186), 국내감염 415명(+83)이 확인되어 총 894명(+269)이라고 밝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평원’)은 31일(금) 심평원 홈페이지를 통해 2022년도 선별집중심사 항목을 공개한다. 심평원은 요양기관의 적정진료를 유도하고 국민의료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2007년부터 선별집중심사를 실시해왔다. 2022년도 선별집중심사 항목은 총 18항목으로 △심사상 관리 7항목, △진료비 관리 8항목, △환자안전 관리 등 3항목으로,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적용된다. 2021년 선별집중심사 항목 중 16개를 유지하며, ’D-dimer 검사‘와 ’콜린알포세레이트 제제‘를 신규 항목으로 선정했다. 대상항목은 청구양상 변화가 크거나 급여기준 적용에 대한 심사상 관리가 필요한 항목, 오남용 가능성 등으로 환자 안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항목이며, 시민참여위원회 및 중앙심사조정위원회(의약단체 참여)를 통해 의견수렴을 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용범 교수가 대한산부인과 로봇수술학회(SKRGS, Society of Korean Robot Gynecologic Surgery)의 회장으로 취임한다. 임기는 2022년 1월 1일부터 2년간이며, 사무총장은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서동훈 교수가 맡는다. 김용범 교수는 부인종양, 부인암 분야에서 SCI급 논문 120여 편을 발표해온 저명한 의학자로, 대한의학회지(JKMS) 편집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및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용범 교수는 “산부인과 영역에서 로봇 수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최적의 적응증이나 비용효과적 장단점에 따라 꼭 필요한 환자에만 시행될 수 있도록 임상 적용 가이드라인을 확립해나갈 것”이라며, “또한, 대한산부인과 로봇수술학회가 세계적 학회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다양한 국제학회와의 교류를 확대하고 자체 저널(GRS)의 발전에도 힘쓸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김덕우, 유희진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생체내 종양형성능(in vivo tumorigenic potential)을 가진 혈관육종(cutaneous angiosarcoma) 세포주(cell line)를 확립했다. 혈관육종은 드문 연부조직 육종으로서 국소 재발과 전이가 흔하여 예후가 불량한 암종이지만 생물학적인 특성이 잘 알려져 있지 않고, 표준 치료법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발병률이 낮아 이에 대한 대규모 임상연구나 실험실적인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세포주는 계대배양이 가능하며 비교적 균질한 유전형이나 표현형 특성을 가지므로 질병의 특성을 연구하고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 세계적으로 혈관육종 세포주는 세 가지(ISO-HAS, AS-M, HAMOM) 정도 알려져 있으나 생체내(in vivo) 환경에서의 종양형성능(tumorigenesis)이 없거나 미약하여 연구자들이 이 세포주들을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KU-CAS3’와 ‘KU-CAS5’ 두 가지 혈관육종 세포주가 새롭게 확립되었고, 세포주의 혈관내피특성과 종양형성능을 확인하였다. 혈관육종의 특성이나 효과적인 치료법을 연구하는데 큰 기여를 할
지방흡입은 분명 허벅지·복부·팔뚝 등에 과도하게 축적된 지방을 지워주는 똑똑한 체형교정술이다. 하지만 이는 영원히 살이 찌지 않게 해주는 마법은 아니다. 회복을 빠르게 하고, 날씬해진 몸을 유지하려면 후관리는 필수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전은복 영양사는 이때 중요한 요소가 바로 ‘식단’이라고 강조한다. 무리하게 열량을 줄일 필요는 없지만, ‘고단백 저탄수화물’ 기본을 지켜야 한다. 단백질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기초대사량을 높여 체내 근육성장은 물론 회복에도 도움을 준다. ■ 다이어트 식단王, 닭고기…포만감 좋고 조리법 다양해 전문가들이 지방흡입후 식단으로 닭고기를 꼽은 것은 이유가 있다. 닭고기는 단순히 근육을 늘릴 뿐 아니라 피로회복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좋은 부위는 ‘닭가슴살’. 일본 연구 결과, 닭가슴살에는 피로회복 효능이 밝혀진 ‘이미다졸디펩티드’ 성분이 풍부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는 무엇보다 산화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항노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단백질 권장량은 성인 남성은 하루 55~65g, 여성은 45~55g이다. 전 영양사는 “닭고기는 다른 육고기와 비교했을 때, 지방 함량, 콜레스테롤 함량이 적고 칼로리도 낮아서 다이어
연말연시와 코로나19로 의료진과 취약계층 등 이웃들이 따뜻한 온정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회장 이필수)가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원각사노인무료급식소 방문을 시작으로 발벗고 나섰다. 먼저 원각사노인무료급식소에는 한국사과연합회가 기증한 세척사과와 의협에서 마련한 장갑 및 마스크 등을 전달했다. 원각사노인무료급식소는 1993년부터 탑골공원 인근의 생활형편이 어려운 어르신, 노숙자 등 일평균 400여명을 대상으로 365일 무료점심을 제공해 온 곳으로, 의협과는 2015년 메르스 때부터 인연을 맺어왔다. 아울러 의협은 내년 1월 4일까지 서울성로원, 이삭의집, 다니엘복지원, 꿈나무마을 초록꿈터, 꿈나무마을 파란꿈터, 은평천사원, 서울특별시서울의료원, 미소들병원, 시립서북병원과 같은 코로나19 전담의료기관, 아동보육시설, 노인무료급식소 등에 후원물품을 전달하는 등 전문가 단체로서의 책무를 다해나갈 예정이다. 이필수 회장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지금도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많은 의료진들과 어려운 이웃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되었으면 한다. 앞으로도 의협은 코로나19 진료와 방역에 전념하고 있는 의료진들과 주변의 관심이 필요한 이웃들을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