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부산백병원, 알츠하이머 신약 ‘레켐비’ 처방 본격화

김상진교수,"20년 만에 진행 속도 지연해 주는 신약이 등장, 증상 경미한 환자들 중등도 및 중증으로 진행하는 것 늦출 수 있게 돼"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원장 이연재)이 경증 알츠하이머병 신약 레켐비를 도입하며 본격 치료에 나선다.

 

부산백병원 신경과 김상진정은주정진호 교수는 2025년 1월부터 경도인지장애 및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들을 대상으로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처방을 시작한다.

 

레켐비는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2023년 7월 미국 FDA승인을 받았으며올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고 이달부터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됐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 중 하나인 아밀로이드 베타는 발병 약 20년 전부터 뇌 속에 쌓이기 시작한다뇌에 아밀로이드 베타가 쌓이면 뇌세포 손상이 일어나고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해 기억력 저하와 인지기능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고 점차 악화된다.

 

레켐비는 독성이 강한 아밀로이드 베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뇌의 손상을 늦추고알츠하이머병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역할을 한다실제 임상 연구 결과레켐비로 18개월간 치료받은 환자에게서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이 약 78% 감소하였으며증상의 진행이 약 27% 지연된 결과를 보였다.

 

다만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된 알츠하이머병 환자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은 확인되지 않았다치료방법은 정맥 주사 형태로 2주마다 약 1시간에 걸쳐 투여한다또한 치료 중 정기적인 MRI 검사를 통해 뇌부종뇌 미세출혈 등의 이상반응을 확인해야 한다.

 

신경과 김상진 교수는 레켐비 처방 전에는 인지기능 검사(신경심리검사), 뇌 MRI 검사아밀로이드 PET 검사혈액 검사, APOE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알츠하이머병 여부와 적합성을 판단한 후 사용을 결정하게 된다.”라며 지금까지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들은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지는 못하고 치매 증상의 일부를 완화하는데 사용되었다약 20년 만에 진행 속도를 지연해 주는 신약이 등장하면서증상이 경미한 환자들이 중등도 및 중증으로 진행하는 것을 늦출 수 있게 되었다이는 치매 환자들의 진단치료간병에 들어가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그린제약,의약품 제조업자 등의 준수사항 위반 으로...다수 품목 행정 조치 받아 그린제약(충북 음성 소재)이 의약품 제조업자 등 준수사항 위반으로 다수의 품목이 1개월 제조업무정지 및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과징금 처분.14,100,000원이 부과된 제품은 '그린관장약(농글2025'으로 그린제약의 효자 품목으로 알려지고 있다.제조업무정지 1개월(2025. 4. 28. ~ 2025. 5. 27.) 대상품목:은 그린나잘스프 레이모이쳐액(옥시메타졸린염산염), 그린오피에이액(오토프탈알데하이드), 그린클로르헥 시딘크림(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포비돈브러쉬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세 정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스틱스왑(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요오드액, 그린헥시디 놀액, 그린헥시디놀액2%, 그린헥시가글액0.12%(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 딘브러쉬액(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딘세정액4%(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액), 그린헥시딘스틱스왑액, 그린헥시딘액 5%(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아나프리스프 레이, 아크원팁스왑액(살리실산) 등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그린제약은 "약사법 제38조 제1항 및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제48조제9 호가목[별표1]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등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홈페이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