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광렬 차병원∙차바이오그룹 글로벌 종합연구소장이 8일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환태평양생식의학회(PSRM)와 10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싱가포르국립대학(NUS)-CHA 심포지엄에서 "난소노화와 K-셀'을 주제로 특강해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이 자리에서 차 연구소장은 차병원∙차바이오그룹 연구진이 배아줄기세포·태반·제대혈 등에서 만든 MPC(중간엽 줄기세포)를 활용한 난소 회복 연구를 수행 결과 자연 노화 생쥐에서 배란 주기 회복, 에스트로겐 분비 증가, 난포 세포사멸 감소 등 의미 있는 결과를 확보한 사례를 설명하며 세포치료제 연구 현황을 설명했다.
차 연구소장은 “한국이 특허와 기술을 가지고 있는 K-셀은 미국과 일본이 특허와 기술을 가지고 있는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역분화줄기세포 iPCS보다 안정적이며, 효능면에서도 뛰어나다" 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 특허를 가진 배아줄기세포는 생명윤리적으로 도전받고 있으며, 현재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는 다 자란 세포를 원시세포인 배아줄기세포 상태로 되돌려 불안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 "차병원이 만든 K셀은 난자에서 바로 배아줄기세포를 얻는 셈이어서 안전성과 유전자 안정성이 높은 게 장점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차병원은 한국의 체세포복제줄기세포에 대한 200여개 이상의, 전세계 10번째로 많은 특허를 가지고 있다" 며 "이것을 글로벌 임상 기준에 부합하는 세포로 분화한 뱅크가 있어 다양한 공동연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성체줄기세포 중에서도 가장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궁외임신 등으로 기증받은 태아유래조직 세포에 대해서도 설명해 관심을 끌었다.
차광렬 연구소장은 “차병원에서 이런 연구가 가능했던 것은 바로 난자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시작했기 때문”이라며, “생식의학에서 시작된 연구가 인류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세포치료제까지 넘어가고 있다"며 “생식의학연구도 그런 관점에서 많은 부분들이 조정되고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또 “차병원∙차바이오그룹은 7개국 96개의 센터에 세포치료제 연구와 임상을 할 수 있는 거점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 한국 등에 세포치료제 생산이 가능한 CDMO를 갖추고 산학연병공 모든 에코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므로 공동 협력을 통한 치료제 개발에도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싱가포르 국립대 정엽생(Chong Yap Seng) 의과대학장은 “차광렬 연구소장의 세포치료 연구에 대한 발표는 상당히 고무적이며 흥미로웠다” 며 “줄기세포는 생식의학을 변혁할 수 있는 큰 도약이라 생각한다” 며 “향후 서로의 과학적 임상적 강점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고 밝혔다.
이번 아시아태평양생식의학회(PSRM)을 주최한 말레이시아 무리자 모하마드 자인(Murizah MOHD Zain) 회장은 "차광렬 글로벌 연구소장은 아시아 태평양 난임 생식의학계의 개척자" 라며 "1998년 차광렬 연구소장을 중심으로 호주, 일본 등의 학자들이 모여 만든 이 학회를 통해 변방에 머물던 아시아 생식의학이 세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