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0.8℃
  • 맑음서울 -1.9℃
  • 구름조금대전 -1.2℃
  • 맑음대구 1.5℃
  • 맑음울산 2.0℃
  • 흐림광주 4.4℃
  • 맑음부산 3.8℃
  • 흐림고창 2.9℃
  • 제주 10.6℃
  • 맑음강화 -1.2℃
  • 맑음보은 -2.6℃
  • 맑음금산 -1.0℃
  • 흐림강진군 5.7℃
  • 맑음경주시 1.3℃
  • 맑음거제 4.7℃
기상청 제공

폐렴,코로나 팬데믹때 감소세하더니 이후 더 빠르게 증가..면역력 낮아진 만성 질환자, 노년층 조심해야

2024년 폐렴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약 298만명으로 2023년 111만명보다 약 2.7배 늘었다.
폐렴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는 감소세를 보이다가 이후에는 더 빠르게 환자수가 증가했고, 2024년에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확산되어 질병관리청이 유행주의보를 발령하기도 했다.

폐렴은 폐포나 세기관지 등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를 말한다.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미생물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데 영유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에서 발병하는 질환이고, 요즘처럼 일교차가 크고 기온이 낮은 환절기나 겨울에 많이 발생한다. 특히 폐렴은 고령층에서 더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데 고령화로 노년층의 폐렴 유병률과 이로 인한 사망률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당제생병원 호흡기 알레르기 내과 이경주 주임과장은 “일반적인 폐렴의 증상은 발열, 기침, 객담, 호흡곤란이 있고 원인 균주에 따라 흉통 및 객혈이 생기지만 면역력이 저하되는 고령의 환자에서는 이러한 증상과 증후가 감춰지는 경우가 많고, 전신 쇠약감, 식욕감퇴, 의식 저하나 기저 질환의 악화로 나타나게 된다. 다른 증상에 비해 빈호흡이 발생하기도 하고 30~40%의 환자는 발열이 없기도 하며, 이러한 특징적인 증상이 없기 때문에 고령 환자의 폐렴이 늦게 진단되어 상태가 급속하게 나빠지고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켜 위험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또, 호흡기알레르기 내과 이경주 주임 과장은 “폐렴 치료의 핵심은 조기에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5~14일간 항생제를 투여하고 환자의 상태와 원인 미생물에 따라 치료 기간이 조절될 수 있다”며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이 중요한데 65세 이상 성인, 만성 질환자, 면역 저하자에게는 인플루엔자 백신과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폐렴은 임상적인 증상과 X-선 검사를 통하여 진단하게 된다. 폐렴으로 진단된 후의 진료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 중의 하나는 입원 여부의 결정이다. 환자의 중증도나 사망 위험도에 따라 적절하게 외래 치료 혹은 입원 치료를 결정하여야 하는데 노년층에서는 여러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가 많아 임상적인 안정상태에 도달하는 기간이 길어지므로 젊은 사람에 비해서 긴 회복기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 동반 질환이 있는 노년층에서 입원치료 후 퇴원 시점을 결정할 때에는 조기 재활 치료를 포함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지를 평가해야 한다.

폐렴은 면역력이 낮아진 만성 질환자와 노년층에게는 특히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치료도 중요하지만 예방이 중요하고, 평소 음식물을 골고루 섭취하고, 손 씻기, 금주 및 금연, 충분한 수분섭취, 적절한 운동과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며 발열, 기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정부와 국민, 의료계, 제약업계 모여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재조명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원장 손수정)은 ‘약의 날’을 맞아 국민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의약품 사용 환경을 만들기 위한 ‘2025년 포스터‧카툰 공모전 시상식’과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전문가 세미나’를 11월 18일에 서울 JW 메리어트 동대문(서울시 종로구 소재)에서 개최한다. -공모전 시상식 수상작 < 포스터‧카툰 공모전 > 의약품 안전사용 포스터‧카툰 공모전*은 지난 8월 18일부터 9월 23일까지 국민이 안전한 의약품 사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할 수 있도록 ‘포스터’와 ‘카툰’ 두 분야로 개최되었다. ▲안전한 의약품 환경을 선도하는 전문기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부작용 피해구제, 국민의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줍니다 ▲올바른 약 복용을 위한 기준을 만들어 갑니다 등 총 5개 주제 진행 이번 공모전에는 총 80점의 작품이 응모했으며, 대국민 표절 검증 및 심사를 거쳐 대상 1점, 최우수상 2점, 우수상 4점 등 총 7점의 수상작이 선정되었다. 대상은 포스터 부문에서 ‘국민 건강이 길을 잃지 않도록(박진영)’이 수상했으며, 나침반을 모티브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국민의 올바른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