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메디팜헬스뉴스 단독 기사, 해외의약계에서도 호평

클릭건수 늘어나는 메디팜헬스뉴스의 기사, 일본의약계전문지 팜스테이지에서 게재

 메디팜헬스뉴스에 실린 기사가 일본의 권위 있는 월간 제약전문 잡지 ‘팜스테이지’ 10월호에 실림으로써 국내외 제약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오는 9월 16일 발행 예정인 팜스테이지 10월호에는 메디팜헬스뉴스가 2012년 7월 27일 내보낸 ‘7년 후 국내 제약산업의 위치는?...세계 7대강국 가능할까’라는 제하의 기사가 실려 있다.

 필자는 일본 AC메디칼주식회사에서 근무하는 카미타니 기요시(紙谷淸)씨로서 카미타니씨는 8월 30일 본사에 이 기사를 팜스테이지에 게재하고 싶으니 허락해달라는 요청서를 보내왔다.

 이에 따라 본사는 카미다니씨의 기사게재 요청서를 승인해주었으며, 가미타니씨는 기사게재를 쾌히 허락해준 본사에 대해 고맙다는 답신을 보내왔다.

 카미타니씨의 기고문은 최근 3년간의 한국임상시험환경의 대변화, 한국정부 2020년 세계 7위의 제약국가로 로드맵 작성, 한국제약산업의 비전과 로드맵 컨퍼런스 개최, 한국의약품산업의 장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모두 4페이지로 된 이 기고문은 2페이지에 걸쳐 메디팜헬스뉴스에 실린 기사를 인용하고 있다.

참고문헌은 메디팜헬스뉴스 외에도 한국식약처의 홈페이지, 일본의 일간약업에 나온 글 등 모두 10개의 미디어, 잡지, 저서, 기관의 글을 인용하고 있다.

 카미타니씨는 이미 ‘2013년 한국보건당국의 재편성과 심사. 사찰체제의 재구축’, ‘2012년 최신판 한국임상시험에 관한 법령집-약사법, 약사법시행령, 약사시행규칙, K-GCP'등 한국에 관한 전문 의약관련서적을 집필, 발행함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의약업에 관해 상당한 식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서울국립병원과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의료기관감사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카미타니씨는 메디팜헬스에 보낸 서신에서 한국의 제약산업과 의료기산업의 발전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팜스테이지는 일본 기술정보협회가 발행하고 있는 의약계잡지다. 일본을 포함, 아시아의 최근 제약업계와 후생당국에 관한 기사가 게재되고 있어 국제공동임상시험에 관심 있는 사람 등의 정보수집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메디팜헬스뉴스는 일본의 권위 있는 의약계 잡지에 일본의 전문가가 쓰는 기고문에 인용할 정도로 국내독자는 물론 해외의약계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의약업계 최정상의 신문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이니스트에스티-대원제약,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 개최...한국제약바이오협회 주관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23일 이니스트에스티, 대원제약과 함께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오픈하우스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창립 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생산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오전 10시 충북 오송에 위치한 이니스트에스티 원료의약품 공장에서, 오후 1시에는 충북 진천에 위치한 대원제약 공장에서 각각 진행됐다. 협회는 참석자들에게 ‘제21대 대선 제약바이오 10대 정책 제안’과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을 위한 K-Pharma의 극복과제(KPBMA Brief)’를 소개하고 산업계의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오송 이니스트에스티 공장은 항생제 생산 시설로는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원료의약품 cGMP 생산시설이다. 현장에는 한쌍수 이니스트에스티 사장이 직접 나와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를 맞이했다. 참석자들은 원료공급 안정화와 원료산업 활성화, 불순물 관리와 관련해 많은 질문을 던지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한 참석자는 “원료 자급화를 비롯한 의약품 공급망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국내 생산인프라에 대한 관심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