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회

초진으로 잘못 청구된 재진 진찰료,3년간 총 200만 건에 78억 원

김성주의원,초-재진 기준 명확히 정비해 불필요한 진료비 부담 막아야

복잡하고 모호한 기준으로 인해 의료기관의 잘못된 청구와 환자들의 불필요한 진료비 부담을 야기하고 있는 현행 초재진 기준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성주 의원은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해당질병의 치료종결여부, 의료기관과 진료과목의 동일여부, 내원간격 등 여러 기준으로 초재진을 구분하고 있어 일선 의료기관은 적용에 애로를 겪고 있으며, 환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재진임에도 초진으로 접수되어 진료비를 더 부담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여러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성주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의료기관 종별 초-재진 심사실적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재진임에도 초진으로 병·의원이 청구하여 심사조정 된 진료비는 총 200만 건(2,007,225), 78억 원(7,817,293,804)이었다.

 

<최근 3년간 의료기관 종별 초-재진 심사실적>

구분

2012

2013

2014년 상반기

조정 건수

조정금액()

조정 건수

조정금액()

조정 건수

조정금액()

상급종합병원

913

3,387,850

631

2,512,720

304

1,222,850

종합병원

 

 

1,721

6,103,270

682

2,696,310

병원

10,792

25,079,330

3,374

7,093,440

766

3,024,540

요양병원

654

2,163,980

465

1,431,180

232

792,700

의원

708,714

2,673,622,007

676,627

2,611,518,927

346,923

1,404,523,810

치과병원

2,273

9,448,150

2,064

8,828,300

1,010

4,401,090

치과의원

89,636

368,433,050

95,551

404,118,640

49,170

218,764,850

보건의료원

172

599,640

194

734,200

 

 

한방병원

455

1,814,880

539

1,971,760

236

891,940

한의원

5,896

23,603,450

4,857

19,165,240

2,374

9,345,700

819,505

3,108,152,337

786,023

3,063,477,677

401,697

1,645,663,790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출 자료, 김성주의원실 재구성

 

그리고, 20122013년 건보공단에 과잉청구 된 초진 진료비의 환수금액은 2년간 약 12억 원(1,193,240,000)이었다.

 

<의료기관 종별 초-재진 진찰료 차액 환수현황>

2014. 08. 31. 기준 (단위 : 천원)

연도

종별

질병

환수금액

기간

2012

병원

만성질환

140,414

90

일반상병

22,387

의원

만성질환

106,877

일반상병

512,412

2013

병원

만성질환

39,392

일반상병

87,821

의원

만성질환

36,931

일반상병

247,006

합계

1,193,240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 자료

 

한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금년 상반기 기준 초진진찰료 조정 상위 의료기관 현황을 보면, 모 협회 산하 모 치과의원은 43%나 초진으로 과잉청구 되어 조정되었고, 모 한방병원의 경우 강남점 36%가 과잉청구 되었고, 수원지점도 19%나 과잉청구 됐다.

 

<초진진찰료대상 조정률 상위 10개 의료기관 현황>

순위

요양기관

지역

건수

청구금액()

조정금액()

조정액률(%)

1

○○○○○○협회

○○○○치과의원

대구

중구

815

6,859,400

2,964,740

43.2%

2

○○리 한방병원

서울

강남구

3,725

49,212,070

17,836,550

36.2%

3

㈜○○○○○○○○

청주사업장부속의원

충북

청주시

흥덕구

491

6,749,600

2,014,470

29.8%

4

○○도제2청사부속의원

경기

의정부

181

2,443,160

696,290

28.5%

5

○○청사부속의원

세종

세종시

1,582

20,866,580

5,640,090

27.0%

6

치과의원

대전

중구

2,622

35,151,410

9,078,860

25.8%

7

○○○○○○협회

○○○○치과의원

대구

북구

800

7,254,520

1,754,100

24.2%

8

의료법인○○의료재단

○○요양병원용강점

경북

경주시

129

1,850,100

440,282

23.8%

9

치과의원

경북

구미시

4,937

63,848,260

13,468,200

21.1%

10

○○리 한방병원

경기

수원시

팔달구

2,616

33,172,170

6,311,000

19.0%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출 자료, 김성주의원실 재구성

 

    

이러한 초재진 기준의 개선 요구는 처음 제기된 것은 아니다. 2007년 건강보험공단이 초재진 진찰료 오류 53만 건에 대한 의료기관 환수조치 이후, 의료계를 중심으로 초재진 진찰료를 통합하는 방안 등이 공론화 되었으나, 각 진료과별 입장 차이와 초재진 통합에 따른 건보재정 증가 문제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지금까지 의료단체, 시민단체 등과의 공식적인 협의 등은 진행되지 못했다.

 

김성주 의원은 애매하고 어려운 초재진 기준으로 인해 의료기관이 잘못된 청구를 지속할 경우 자칫 이를 악용한 것으로 의심받을 수 있어, 환자와 의료기관 간 신뢰가 저해될 우려도 있다, “복지부는 초재진 기준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입장, 현행 기준보다 더 세분화하고 명확히 하자는 입장 등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 만큼, 전문가 및 의료계, 시민단체 등 관계단체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하여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 WHO 밀폐인증 획득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이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밀폐인증을 획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한국의 폴리오 필수시설(LG화학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에 대한 WHO의 밀폐인증 획득은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국가 생물안전 관리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폴리오바이러스 취급은 물론 향후 발생 가능한 위해성이 높은 신종 감염병 백신 개발·생산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전성과 위해관리 역량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세계폴리오박멸계획(GPEI)을 1988년부터 수립하고, 폴리오(소아마비) 박멸을 위해 국가별 광범위한 백신접종을 요구하고 있으며, 폴리오필수시설은 세계보건기구로부터 2026년까지 밀폐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WHO 밀폐인증은 폴리오바이러스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밀폐시설 기준과 위해관리 체계를 평가하는 절차로, WHO 지침인 ‘글로벌행동계획 제4판, GAPIV’을 기반으로 이뤄지며, 생물위해 관리체계, 교육‧훈련, 보안, 물리적 밀폐, 비상대응계획 등 생물안전·생물보안 전 영역에 걸쳐 구성된 총 14가지 세부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폴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 개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센터장 이언숙)는 10월 20일 ‘언제 호스피스에 가면 좋을까요?’를 주제로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존엄한 죽음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시기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교직원 6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임종 직전 △암 진단 직후 △항암치료가 더는 가능하지 않을 때 △통증 조절이 어렵고 의식이 흐려질 때 등 네 가지 상황 중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에서는 호스피스 이용에는 ‘정답’이 없지만, 가능한 한 이른 시점에서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는 항암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을 때 호스피스 입원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언숙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은 “예전보다 많은 분들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심을 가지지만, 여전히 막연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환자와 가족, 교직원 모두가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함께 고민하고, 존엄한 삶의 마무리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