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회

초진으로 잘못 청구된 재진 진찰료,3년간 총 200만 건에 78억 원

김성주의원,초-재진 기준 명확히 정비해 불필요한 진료비 부담 막아야

복잡하고 모호한 기준으로 인해 의료기관의 잘못된 청구와 환자들의 불필요한 진료비 부담을 야기하고 있는 현행 초재진 기준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성주 의원은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해당질병의 치료종결여부, 의료기관과 진료과목의 동일여부, 내원간격 등 여러 기준으로 초재진을 구분하고 있어 일선 의료기관은 적용에 애로를 겪고 있으며, 환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재진임에도 초진으로 접수되어 진료비를 더 부담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여러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성주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의료기관 종별 초-재진 심사실적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재진임에도 초진으로 병·의원이 청구하여 심사조정 된 진료비는 총 200만 건(2,007,225), 78억 원(7,817,293,804)이었다.

 

<최근 3년간 의료기관 종별 초-재진 심사실적>

구분

2012

2013

2014년 상반기

조정 건수

조정금액()

조정 건수

조정금액()

조정 건수

조정금액()

상급종합병원

913

3,387,850

631

2,512,720

304

1,222,850

종합병원

 

 

1,721

6,103,270

682

2,696,310

병원

10,792

25,079,330

3,374

7,093,440

766

3,024,540

요양병원

654

2,163,980

465

1,431,180

232

792,700

의원

708,714

2,673,622,007

676,627

2,611,518,927

346,923

1,404,523,810

치과병원

2,273

9,448,150

2,064

8,828,300

1,010

4,401,090

치과의원

89,636

368,433,050

95,551

404,118,640

49,170

218,764,850

보건의료원

172

599,640

194

734,200

 

 

한방병원

455

1,814,880

539

1,971,760

236

891,940

한의원

5,896

23,603,450

4,857

19,165,240

2,374

9,345,700

819,505

3,108,152,337

786,023

3,063,477,677

401,697

1,645,663,790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출 자료, 김성주의원실 재구성

 

그리고, 20122013년 건보공단에 과잉청구 된 초진 진료비의 환수금액은 2년간 약 12억 원(1,193,240,000)이었다.

 

<의료기관 종별 초-재진 진찰료 차액 환수현황>

2014. 08. 31. 기준 (단위 : 천원)

연도

종별

질병

환수금액

기간

2012

병원

만성질환

140,414

90

일반상병

22,387

의원

만성질환

106,877

일반상병

512,412

2013

병원

만성질환

39,392

일반상병

87,821

의원

만성질환

36,931

일반상병

247,006

합계

1,193,240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 자료

 

한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금년 상반기 기준 초진진찰료 조정 상위 의료기관 현황을 보면, 모 협회 산하 모 치과의원은 43%나 초진으로 과잉청구 되어 조정되었고, 모 한방병원의 경우 강남점 36%가 과잉청구 되었고, 수원지점도 19%나 과잉청구 됐다.

 

<초진진찰료대상 조정률 상위 10개 의료기관 현황>

순위

요양기관

지역

건수

청구금액()

조정금액()

조정액률(%)

1

○○○○○○협회

○○○○치과의원

대구

중구

815

6,859,400

2,964,740

43.2%

2

○○리 한방병원

서울

강남구

3,725

49,212,070

17,836,550

36.2%

3

㈜○○○○○○○○

청주사업장부속의원

충북

청주시

흥덕구

491

6,749,600

2,014,470

29.8%

4

○○도제2청사부속의원

경기

의정부

181

2,443,160

696,290

28.5%

5

○○청사부속의원

세종

세종시

1,582

20,866,580

5,640,090

27.0%

6

치과의원

대전

중구

2,622

35,151,410

9,078,860

25.8%

7

○○○○○○협회

○○○○치과의원

대구

북구

800

7,254,520

1,754,100

24.2%

8

의료법인○○의료재단

○○요양병원용강점

경북

경주시

129

1,850,100

440,282

23.8%

9

치과의원

경북

구미시

4,937

63,848,260

13,468,200

21.1%

10

○○리 한방병원

경기

수원시

팔달구

2,616

33,172,170

6,311,000

19.0%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출 자료, 김성주의원실 재구성

 

    

이러한 초재진 기준의 개선 요구는 처음 제기된 것은 아니다. 2007년 건강보험공단이 초재진 진찰료 오류 53만 건에 대한 의료기관 환수조치 이후, 의료계를 중심으로 초재진 진찰료를 통합하는 방안 등이 공론화 되었으나, 각 진료과별 입장 차이와 초재진 통합에 따른 건보재정 증가 문제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지금까지 의료단체, 시민단체 등과의 공식적인 협의 등은 진행되지 못했다.

 

김성주 의원은 애매하고 어려운 초재진 기준으로 인해 의료기관이 잘못된 청구를 지속할 경우 자칫 이를 악용한 것으로 의심받을 수 있어, 환자와 의료기관 간 신뢰가 저해될 우려도 있다, “복지부는 초재진 기준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입장, 현행 기준보다 더 세분화하고 명확히 하자는 입장 등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 만큼, 전문가 및 의료계, 시민단체 등 관계단체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하여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우유, 발효유 등 유가공품 중... 거짓보고·원재료 일부 미표시 등으로 적발 된 6곳은 어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여름철 유가공품 안전관리를 위해 우유, 발효유, 아이스크림 등을 제조하는 유가공업체와 우유류 판매업체(우유 대리점 등의 형태로 직접 마실 수 있는 유가공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영업) 등 총 846곳을 대상으로 7월 7일부터 25일까지 17개 지자체와 집중 점검한 결과, 「축산물 위생관리법」 등을 위반한 6곳을 적발하여 관할 지자체에 행정처분 등 조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에는 영유아가 섭취하는 분유 생산업체와 부적합 이력이 있는 업체도 포함했으며, 점검과 함께 유통 중인 유가공품을 수거하여 살모넬라 오염 여부와 잔류물질 및 영양성분 함량 검사를 실시했다. 위반 사항은 품목제조 거짓보고와 원재료 일부 미표시 1곳, 원료 출납서류 일부 허위 작성 등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 2곳, 자가품질검사 미실시 1곳, 건강진단 미실시 1곳, 소재지 변경 미신고 1곳이다. 위반 업체에 대해서는 관할 지자체가 행정처분 후 6개월 이내에 다시 점검해 개선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유, 아이스크림 등 유가공품 642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대장균군이 초과 검출된 8개 제품(농후발효유 5건, 발효유 1건, 가공치즈 1건, 가공버터 1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 자녀 위한 ‘피닉스 슈퍼캠프’ 실시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김민영)는 임직원 자녀 대상 피닉스 슈퍼캠프를 실시했다고 18일 밝혔다. 피닉스 슈퍼캠프는 동아제약, 동아에스티, 동아쏘시오홀딩스 등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을 위한 생애설계지원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생애설계지원프로그램은 ▲건강 ▲가족 ▲여가 ▲재무 ▲은퇴 등 생애 기초 5대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그룹 구성원 각자의 삶의 단계에 맞춘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가족 친화 대표 프로그램인 피닉스 슈퍼캠프는 임직원 자녀의 자신감과 학습 동기를 북돋우고, 부모와 자녀의 유대감 형성을 위해 마련했다. 피닉스 슈퍼캠프는 동아쏘시오그룹 상주 인재개발원에서 진행했다. 임직원 초등학생 자녀는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2박 3일간, 중학생 자녀는 13일부터 16일까지 3박 4일간 교육을 받았다. 동아쏘시오그룹은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이끄는 피닉스 슈퍼캠프’를 슬로건으로 ▲인성 ▲학습법 ▲삶의 기술 세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했다. 인성 영역에서는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책임을 지는 자세, 배움을 위한 태도 형성을 목표로 하며, 학습법 영역에서는 재미를 느끼며 스스로 공부하는 능동적인 학습법을 지도했다.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헬리코박터균 제거했더니,"골다공증 예방"...당뇨·고지혈증 등 전신 질환에도 영향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김예진 전문의, 최용훈 교수, 내분비대사내과 공성혜 교수)은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을 시 골다공증 발병률이 크게 감소하며, 특히 50세 이상 여성에서 예방 효과가 뚜렷하다고 밝혔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는 위에 서식하며 만성 위염, 위궤양, 위암 등을 유발하는 유해균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이다. 구강을 통해 주로 전파되며, 전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이 보균 상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유병률은 2017년 기준 16세 이상에서 44%에 이른다. 과거 헬리코박터균은 소화기계에 국한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됐으나, 최근에는 △전신 염증 △산화 스트레스 △호르몬 조절 교란 등을 유발해 전신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따라 제균 치료에 대한 인식도 크게 바뀌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김나영 교수 연구팀이 헬리코박터 감염과 당뇨병·고지혈증 등 다양한 대사 질환의 연관성을 규명했으며, 제균 치료가 관상동맥질환의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연구팀은 더 나아가 골다공증과 헬리코박터균 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했다. 골다공증은 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