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0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회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비정규직 비율 67%

복지부 내 타기관 비정규직 비율 10.8%보다 약 6배 높아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비례대표)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4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비정규직 비율이 약 6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보건복지인력에 대한 교육 확대 추세 속에서 내실있는 교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규직 비중을 상향, 연구 및 교육 표준 개발, 온오프라인 병행 교육 실시 등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14년 9월 기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현원은 총 160명이고, 이 중 정규직은 53명에 불과하다. 나머지 107명은 정원외 직원으로 무기계약직 50명과 기간제직원 5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표1].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비정규직 비중은 약 67%로, 이는 보건복지부 내 타기관 비정규직 비율 약 10.8%의 약 6배를 넘는 수준이다. 보수 등 근로조건이 정규직과 동일한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에 포함시켜 분석한 경우에도,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비정규직 비율은 약 35.6%로 복지부 내 타기관 비정규직 비율보다 3배 이상 높다[표2].

이처럼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이유는, 사회복무요원교육, 보건산업교육, 아동자립지원사업, 보건교육사자격관리사업 등 경상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사업은 해당 사업 보조금으로 인건비를 지급해야 하므로 해당 사업의 상황에 따라 고용형태가 결정되며, 1년 미만의 단기 수탁사업을 위해 채용하는 연구원은 사업기간에 따라 비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국가보건복지정책 확대에 따라 보건복지분야 교육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2015년도 교육수요를 보건복지분야 전체종사자의 7% 수준인 약 16만 8000명으로 계획하고 있다[표3][표4].

문정림 의원은 “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2015년도 교육수요는 정규직 1인이 약 2,800명의 교육인원을 상대해야 하는 수준으로, 현 상황에서는 비정규직으로 이를 보완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그러나 비정규직이 수행하는 사업의 경우, 경상보조금의 지급 중단 등으로 해당 사업이 폐지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이에 따라 비정규직의 신분보장 및 처우가 불안정함은 물론, 보건복지인력개발원이 계획한 사업이 외부요인에 큰 영향을 받는 구조가 되므로, 정규직 비중을 늘리고, 경상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사업을 줄여, 교육사업의 질과 영속성을 담보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서 문정림 의원은 “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정규정원 추가확보 노력과 함께, 온오프라인 병행 교육(BL교육) 실시, 연구 및 교육표준개발 및 보급 사업 비중 확대 등을 통해 인력증원과 함께 현 상황에서 교육의 질이 저하되지 않을 방안도 같이 검토하라”고 제언했다.

[표1]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현원 (2014년 9월 기준)

정원내 직원

정원외 직원

합계

보건산업직

사회복무직

사업 및 보조계약직

2014.9.

53명

21명

34명

52명

160명

무기

기간

무기

기간

무기

기간

4명

17명

32명

2명

14명

38명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표2] 복지부 내 타 기관과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비정규직 비율 비교

구 분

총원

정규직

무기계약직

기간제근로자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보건복지부 산하기관 총계 및 전체평균

26,106

89.2

470

1.6

2,704

9.2

한국보건복지인력

개발원

160

53

33.1

50

31.3

57

35.6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표3] 최근 5년간 보건복지분야 교육수요 추이

(단위: 명, 백만원)

’10년(A)

’11년

’12년

’13년

’14년(B)

증가율

(B-A)

교육과정수

(횟수)

257

(967회)

295

(1,068회)

370

(1,235회)

449

(1,402회)

480

(1,661회)

87%

(72%)

교육생수(a)

49,962

61,467

65,205

89,521

120,933

142%

정원(b)

49

53

57

59

60

22%

인당교육인원

(a/b)

1,019

1,159

1,143

1,517

2,015

98%

예산

(출연금)

20,487

(7,747)

20,093

(6,414)

20,986

(6,414)

26,915

(7,013)

42,502

(8,248)

107%

(6%)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표4] 최근 5년간 전체 종사자 수 대비 총 교육생 수

’10

‘11

’12

’13

’14(실적)

’15(목표)

▪총교육생수(A)

49,962

61,467

65,205

89,521

120,933

167,134

▪전체종사자수 (B)

1,745,840

1,971,871

2,092,478

2,206,705

2,306,881

2,387,622

▪확대 실적(A/B*100)

2.9

3.1

3.1

4.1

5.2

7.0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금연보조제 구매 시,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의약품·의약외품 표시 확인 후 구입해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5월 31일 ‘세계 금연의 날’을 계기로 금연을 계획하고 있는 흡연자들을 위해 금연보조제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주의사항을 안내한다고 밝혔다. 금연보조제는 금연을 보조할 수 있는 금연보조 의약외품(흡연욕구저하제품, 흡연습관개선제품)과 의약품 등으로 분류되며 각 제품의 종류별 특성, 올바른 사용법 및 주의사항 등은 다음과 같다 금연보조 의약외품은 니코틴이 함유되지 않은 것(연초[잎담배] 함유 제품 제외)으로, 담배의 흡연욕구를 저하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흡연욕구저하제’와 담배와 유사한 형태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연 습관 개선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흡연습관개선보조제’로 구분된다. 금연보조 의약품은 체내 니코틴 농도가 낮아지면서 나타나는 흡연욕구와 갈망, 불안·초조, 우울 등 니코틴 금단증상을 완화하여 금연에 도움을 준다. 담배를 대신해 니코틴을 공급하여 흡연 욕구와 금단증상을 줄일 수 있는 일반의약품(주성분: 니코틴)과 니코틴 의존성을 완화해 흡연량을 감소시키는 전문의약품(주성분: 바레니클린, 부프로피온)으로 구분된다. 의약외품 금연보조제는 흡연욕구를 참기 힘들거나 흡연습관 개선이 필요할 때 불을 붙이지 않고 담배 피우듯이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김훈엽 교수, 경구로봇갑상선수술 2천례 돌파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갑상선센터 김훈엽 교수가 최근 세계최초로 경구로봇갑상선수술(TORT: TransOral Robotic Thyroidectomy) 2,000례를 돌파하고 기념식을 가졌다. 김훈엽 교수의 2,000례는 세계 최초로 달성된 경구로봇갑상선수술 개인기록이다. 김 교수는 현재까지 경구로봇갑상선수술을 포함하여 약 3천례의 로봇수술을 집도해온 로봇수술의 세계적 명의다. 경구로봇갑상선수술은 입안을 통해 수술용 로봇팔이 갑상선으로 접근하여 절제하는 수술법으로서, 김 교수가 이 수술법의 창시자다. 김 교수는 2016년 세계 최초로 경구로봇갑상선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이후 지속적인 연구와 임상 적용을 통해 수술의 안정성과 효과를 입증해왔다. 외부에 흉터를 남기지 않고 수술 후 통증과 회복 기간을 최소화하는 가장 발전된 수술법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개발 당시부터 세계 의료계에 큰 주목을 받아왔다. 경구로봇갑상선수술은 로봇외과학이나 갑상선수술외과학 등 세계적인 유수의 여러 외과학 교과서에 등재돼 있다. 이 수술법의 우수성이 알려지면서 일본, 중국, 싱가포르, 태국 등 아시아 국가뿐 아니라 미국 존스홉킨스병원, 클리블랜드클리닉, 이탈리아 인수브리아 대학 등 의료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