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비급여 항목 및 진료비용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비급여 관리 정책 협의체’를 구성하여, 12월 22일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비급여 관리 정책 협의체’는 의료계 및 환자단체․소비자단체 등 이해관계자와 관련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구성 운영되며, 효과적 비급여 진료비용 관리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 비급여 관리 정책 협의체 구성
구 분 | 소 속 | 직 위 | 성 명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정책관 | 국장 | 강도태 |
보건의료정책과 | 과장 | 정윤순 | |
보험정책과 | 과장 | 이창준 | |
공급자단체 | 대한의사협회 | 보험이사 | 서인석 |
대한병원협회 | 법제이사 | 김필수 | |
대한치과의사협회 | 부회장 | 마경화 | |
대한한의사협회 | 보험이사 | 전은영 | |
소비자단체 | 한국환자단체연합회 | 회장 | 안기종 |
한국소비자연맹 | 회장 | 강정화 | |
전문가 | 고려대학교 예방의학과 | 교수 | 윤석준 |
가천의생명융합연구원 | 연구부원장 | 박하정 | |
유관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 센터장 | 서남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실장 | 김형호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실장 | 신현웅 |
제1차 회의는 앞으로의 협의체 운영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현행 비급여 관리와 관련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광범위하게 논의했다.
‘국민의료비 경감’을 위한 비급여 항목, 비용 등에 대한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비급여 항목의 단계적 표준화 및 비급여 진료비용 등의 조사·분석·공개 확대 등을 균형 있게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비급여 항목에 대한 실태파악 및 표준화 방안,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확대를 위한 합리적 실행방안 등을 협의하고,현행 국민건강보험 체계 내에서 비급여 관리를 위한 건강보험의 적절한 역할분담 및 이를 통한 보장성 확대 방향을 논의했다.
보건복지부는 국민의 의료비 부담 경감 및 알권리 강화를 위해 동 협의체를 정기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며, 이해관계자 간 상시적 의견수렴을 통해 비급여 관리를 위한 자문역할을 수행토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