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보건복지부

부적격 제대혈 전수조사 결과.... 차병원,녹십자제대혈은행 등 4곳 고발․1곳 과태료 부과

보건복지부,연구용 제대혈 관리체계 강화키로

연구용 제대혈 관리체계가 강화된다.이는 일부 일부 제대혈은행들의 일탈 행휘가 일어나 사회적 물의를 빚은데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법 위반시 제대혈 관련 처벌 조항도 정비된다.

제대혈은행이 제대혈정보센터의 승인을 받지 않고 무단으로 연구기관에 제대혈을 공급하거나, 허위로 신고하고 공급한 행위에 대한 처벌조항을 신설하고, 형사처벌, 허가취소 이외에도 영업정지, 시정명령 등의 행정처분을 신설하여 적정한 제재가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제대혈 연구기관이 제대혈을 무단으로 사용한 행위에 대해서도 처벌하고, 향후 연구참여를 제한하는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


-제대혈이란?

○ (정의) 제대(臍帶, 배꼽띠)혈은 임신 중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탯줄에 있는 혈액

○ (적격) 제대혈은 다양한 조혈모세포와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으며,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등을 치료하기 위한 이식목적으로 보관, 사용됨 (적격 제대혈)

○ (부적격) 세포수가 부족한(8억개 미만) 제대혈은 이식에 적합하지 않아 폐기가 원칙이나, 예외적으로 정도관리나 연구용 사용을 허용함 (부적격 제대혈)

○ (연구활용) 부적격 제대혈을 이용하여 중간엽 줄기세포 등을 증식·배양하여 난치병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17.2.21.부터 6.30.까지 제대혈 은행 및 연구기관(총 40곳)을 대상으로 연구용으로 제공된 부적격 제대혈의 사용 실태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차병원에서 제대혈 부정사용이 적발된 이후, 다른 제대혈은행 및 연구기관의 사용실태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한 것이다.


 -제대혈은행 현황

연번

은행명

종류*

허가연도

1

가톨릭조혈모세포은행 제대혈은행

(가톨릭대학교)

기증

2011

2

서울특별시 제대혈은행

(서울특별시)

기증

2011

3

부산경남지역 제대혈은행

(동아대병원)

기증

2012

4

차병원 제대혈은행

(차의과대학병원)

기증

2011

5

대구파티마병원 제대혈은행

(대구파티마병원)

기증/가족

2011

6

녹십자 제대혈은행

(녹십자랩셀)

기증/가족

2011

7

메디포스트 제대혈은행

(메디포스트)

기증/가족

2011

8

A-cord 제대혈은행

(알엔엘바이오)

기증/가족

2012

9

보령아이맘셀뱅크 제대혈은행

(보령바이오파마)

기증/가족

2011

10

베이비셀 제대혈은행

(세원셀론텍)

가족

2011

11

아이코드 제대혈은행

(차바이오텍)

가족

2011

12

Twelvebaby 제대혈은행

(파미셀)

가족

2011

13

드림코드 제대혈은행

(녹십자셀)

가족

2011

14

헬프셀뱅크 제대혈은행

(휴림바이오셀)

가족

2011

15

엘씨바이오 제대혈은행

(라이프코드)

가족

2011

16

굿젠제대혈은행

(굿젠)

가족

2011

17

한국탯줄은행

(휴코드)

가족

2014


대상은 연구용 부적격 제대혈을 공급·사용하는 기증 제대혈은행 9곳, 제대혈 연구기관 31곳이었으며,이들 연구기관이 수행한 제대혈 연구과제는 모두 105건이며, 연구용으로 공급된 부적격 제대혈은 14,085유닛이었다.

  

90년대부터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집한 총 제대혈은 120,874유닛이며, 이중 적격 제대혈이 52,258유닛, 부적격 제대혈이 68,616유닛(한사람의 탯줄속 혈액으로부터 수집된 제대혈 1팩의 단위)이다.

    

차병원 사례와 같이 부적격 제대혈을 연구목적 외에 부정하게 사용한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일부 관리상 미비점이 드러났다.


- (제대혈은행) 공급신고의무 위반(77유닛, 0.11%), 제대혈정보 임의제공(4유닛, 0.006%), 승인 없이 보관(14,157유닛, 20.6%) 

 

 - (제대혈 연구기관) 타 연구자에게 제대혈 양도(1건), 연구 종료 후 미폐기(18건), 세포분리 보관기록미비(13건)



이번 조사결과에 따라 제대혈 공급신고의무(제대혈법제27조제3항)를 위반한 4개 은행(서울특별시, 차병원, 부산경남지역, 녹십자제대혈은행)은 고발조치하고,비밀누설금지의무(제38조제3항)를 위반한 1개 은행(차병원제대혈은행)은 과태료 처분을 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차병원 사례와 이번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대혈관리 개선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적격 제대혈도 적격의 경우과 같이 「제대혈정보센터」에 등록하도록 하여 관리를 강화하고 현재 제대혈 연구기관에 무상으로 제공되는 연구용 부적격 제대혈에 대해 일정한 비용을 받도록 하여, 제대혈이 가치 있게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부적격 제대혈을 이용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제대혈은행이 연구용으로 일정한 수량의 부적격 제대혈을 보관할 수 있는 근거를 신설하고 특정 제대혈은행과 연구기관 사이에서만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대혈공급을 제대혈정보센터를 중심으로 공동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