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백수오,열수추출물 '안전' 분말형태 '부작용'....독성시험결과 확인

식약처,2년에 걸친 위해도 평가결과 발표하고 분말형태 관련 제품 잠정 생산 판매 중단

백수오를 물로 추출한 형태로 복용하면 안전하고 분말 제품을 그대로 먹을 경우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지난 ‘15년 백수오를 원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에 이엽우피소가 혼입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백수오 제품에 대한 국민 불안이 고조된 가운데 식약처가 2년에 걸쳐 실시한  독성시험과 위해평가 결과를 최근 22일 발표하면서 드러났다.


이에따라 허가를 받은  분말형태의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들은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보건당국이 정한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복용할 것을 전문가들은 권장하고 있다. 식약처는 위해도 평가 결과에 따라 해당제품에 대해  잠정 제조·판매 중단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현재 한의원 등 한방의료기관에서는 대부분 복합처방에 의하여 열수추출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의료인의 판단에 따라 비추출물 형태의 백수오 함유 처방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백수오와 이엽우피소의 독성시험 및 위해평가를 실시한 결과, 백수오는 뜨거운 물로 추출한 형태인 ‘열수추출물’로만 사용하도록 사용을 제한하고 이엽우피소는 현행처럼 식품원료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백수오를 열수추출물 형태로 가공한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식품은 모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다만, 백수오 분말을 사용한 동물시험에서는 일부 체중감소 등이 관찰되었으므로, 백수오를 개인적으로 구입하여 섭취하는 경우에는 분말로 섭취하지 말고 열수추출물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성시험>

 백수오와 이엽우피소의 독성시험은 독성시험전문기관에서 열수추출물과 분말을 시험물질로 투여용량별, 실험동물의 성별을 구분하여 실시하고 외부 독성 전문가 그룹의 전문평가를 통해 시험수행 전반과 결과처리 등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기관 : 바이오톡스텍(GLP기관), 한약진흥재단.
  

-열수추출물 독성시험  결과

시험물질

이엽우피소

백수오

단회투여

독성시험

방법

- 시험동물: SD 랫드 (·수 군별 5마리)

- 시험방법: 단회 강제경구투여, 14일간 독성 관찰

- 투여용량: 800, 2000, 5000mg/kg

결과

- 사망 동물 및 이상증상 없음

반복투여

독성시험

방법

- 시험동물: SD 랫드 (·수 군별 10마리)

- 시험방법: 반복 강제경구투여, 90일간 전신 독성 관찰

- 투여용량: 500, 1000, 2000mg/kg

결과

(암컷)

- 이상증상 없음

 

(수컷)

- 2000mg/kg : 독성, 중성지방 증가

 

무독성량

· 암컷 2000mg/kg b.w./day 이상

· 수컷 1000mg/kg b.w./day

(암컷)

- 이상증상 없음

 

(수컷)

- 이상증상 없음

 

무독성량

· 암컷 2000mg/kg b.w./day 이상

· 수컷 2000mg/kg b.w./day 이상

 


독성시험은 투여방법에 따라 단회투여(800, 2,000, 5,000mg/kg)와  반복투여(열수추출물: 500, 1,000, 2,000mg/kg; 분말제품: 50, 150, 500, 1,000, 2,000mg/kg)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백수오는 열수추출물 형태에서는 이상증상이 없었으나, 분말형태에서는 암컷의 경우에 저용량(500mg/kg)부터 고용량(2,000mg/kg)까지 체중감소 등이 나타났고 수컷은 고용량(2,000mg/kg)에서 체중감소 등을 보였다. 
    

이엽우피소는 열수추출물 형태로 고용량(2,000mg/kg)을 투여한 경우 간독성(수컷)이 나타났고, 분말형태에서는 저용량(500mg/kg)부터 고용량(2,000mg/kg)까지 암컷은 부신·난소 등에 독성, 수컷에는 간 독성 등이 관찰되었다. 


<위해평가>

백수오를 열수추출물 형태로 만든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식품은 위해평가에서 모두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분말 동성시험 결과

시험물질

이엽우피소

백수오

단회투여

독성시험

방법

- 시험동물: SD 랫드 (·수 군별 5마리)

- 시험방법: 단회 강제경구투여, 14일간 독성 관찰

- 투여용량: 800, 2000, 5000mg/kg

결과

- 사망 동물 및 이상증상 없음

반복투여

독성시험

방법

- 시험동물: SD 랫드 (·수 군별 10마리)

- 시험방법: 반복 강제경구투여, 90일간 전신 독성 관찰

- 투여용량

(1) 500, 1000, 2000mg/kg

(2) 50, 150, 500mg/kg

- 투여용량

(1) 500, 1000, 2000mg/kg

(2) 50, 150, 500, 700mg/kg

결과

(암컷)

- 500mg/kg : 부신, 난소 독성

- 1000, 2000mg/kg : 부신, 난소, 신장, 흉선 독성

 

(수컷)

- 500mg/kg : 간 독성

- 1000, 2000mg/kg : , 부신, 신장 독성

 

무독성량

· 암컷 150mg/kg b.w./day

· 수컷 150mg/kg b.w./day

(암컷)

- 500~1000mg/kg : 체중 감소(13~18%), 사료섭취량 감소(12~ 32%)

 

 

(·수컷)

- 2000mg/kg : 체중 감소(~46%), 사료섭취량 감소(~78%), 심장독성, 이상행동, 사망

 

무독성량

· 암컷 150mg/kg b.w./day

· 수컷 700mg/kg b.w./day


또한 열수추출물로 만든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식품의 경우 백수오 중 이엽우피소가 미량 혼입되었더라도 위해 우려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백수오를 열수추출물이 아닌 형태로 가공한 백수오 제품(분말·환 등)에 표시되어 있는 섭취방법에 따라 매일 평생동안 최대량을 섭취한다고 가정할 경우 위해 우려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약처는 이번 안전성 평가를 바탕으로 백수오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식품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하고, 소비자가 자가소비하는 백수오 분말에 대한 섭취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우선 현재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백수오를 앞으로는 열수추출물만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18년 상반기까지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을 개정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고시 개정 전이라도 백수오 분말을 원료로 하는 가공식품(분말, 환 등)이 제조·유통․판매되지 않도록 관리할 계획이다.
 

또한 소비자가 직접 백수오를 구입해서 섭취할 때에는 개인별 정확한 섭취량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분말 형태로 직접 섭취하지 말고 열수추출물 형태로 섭취하도록 홍보 등을 강화할 예정이다.
  

-백수오 분말·환 등 일반식품 현황 (17개 제품 / 11개사)

연번

제품명

유형

유통기한

제조업소명

소 재 지

1

백수오 가루

기타가공품

17.08.25

17.09.15

18.01.21

18.05.22

18.07.06

19.02.08

건우

서울 동대문구 약령중앙로 47-1

2

백수오환

기타가공품

17.08.26

17.09.15

18.01.21

18.05.22

18.07.06

19.02.08

건우

서울 동대문구 약령중앙로 47-1

3

순백수오분말

기타가공품

18.07.14

그린뉴트라

충남 금산군 복수면 백암길 19

4

순백수오환

기타가공품

18.07.14

그린뉴트라

충남 금산군 복수면 백암길 19

5

신농백수오환

기타가공품

18.01.03

신농바이오

부산시 부산진구 서전로 57번길 38

6

온기환

기타가공품

18.02.13

용식품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약령서 15

7

화경판하수오 흑발력

기타가공품

17.11.20

지리산하수오영농조합법인

경남 산청군 금서면 친환경로 2605번길 63

8

화경판 백수오분말

기타가공품

18.03.02

18.07.02

지리산하수오영농조합법인

경남 산청군 금서면 친환경로 2605번길 63

9

화경판 백수오환

기타가공품

18.01.28

지리산하수오영농조합법인

경남 산청군 금서면 친환경로 2605번길 63

10

참들애 백수오환

기타가공품

18.03.20

지리산하수오영농조합법인

경남 산청군 금서면 친환경로 2605번길 63

11

검정콩흑발환 클래스1

기타가공품

17.09.10

천호식품()

양산공장

경남 양산시 그린 공단 127

12

지리산 백수오환

기타가공품

17.11.15

18.03.23

청운당농산

경남 함양군 병곡면 다볕길 94

13

지리산 백수오가루

기타가공품

17.11.16

18.03.20

청운당농산

경남 함양군 병곡면 다볕길 94

14

아로니백수오

기타가공품

18.12.24

푸드라이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우천제2농공단지로 65-20

15

자연초 백수오환

기타가공품

17.12.30

한밭식품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약령중앙로 11

16

하수오 고추장

장류

18.02.14

나로도덕하수오농장

순천시 낙안면 민속마을길 1627

17

백수오비타-C

캔디류

18.07.03

알비내츄럴식품

전북 부안군 부안읍 신흥길 35


 현재 백수오 분말, 환 등 제품(17개 제품)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지 않지만,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온라인 등 유통·판매 여부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백수오 분말 함유 한약 제제에 대해서도 잠정 유통·판매 중단 조치를 취하고, 향후 허가를 규제하는 등 지속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분말 함유 한약(생약)제제는 2개 처방(거창만령단, 연년익수단) 11품목이 허가되어있으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지는 않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