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세엘진 코리아, 함태진 신임 대표이사 선임

글로벌 제약시장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이해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이끌 것으로 기대

세엘진(Celgene) 코리아는 9월 1일자로 함태진 신임 대표이사(사진∙45)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함태진 대표이사는 지난 2015년 세엘진에 합류해 최근까지 세엘진 아시아 지역본부 전략마케팅 부문 총괄 및 세엘진 대만 지사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함태진 대표이사는 향후 세엘진 한국 및 대만 지사의 대표이사를 겸임할 예정이다.


세엘진에 합류하기 전 함태진 대표이사는 일라이 릴리(Eli Lilly and Company) 미국 본사 영업마케팅 글로벌 브랜드 리더를 시작으로 한국릴리 대외협력업무 총괄 부사장, 일라이 릴리 말레이시아싱가포르 지사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며 글로벌 제약시장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이해를 쌓아왔다.


함태진 대표이사는 부산대학교 약학대학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경영대학원(와튼스쿨,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헬스케어 매니지먼트 석사(MBA)를 취득했다.


함태진 대표이사는 “한국은, 세엘진 코리아 비즈니스의 가파른 성장세, 우수한 연구자와 연구 인프라, 세계적 수준의 R&D 환경 등이 인정되어 세엘진 내에서도 매우 중요한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이처럼 큰 의미를 가지는 세엘진 코리아의 대표이사를 맡게 되어 기쁘고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바이오 제약기업 중 하나인 세엘진은 혈액암, 고형암, 면역성/감염성 질환 등 여전히 의학적 수요가 높은 다양한 질환 영역에서 확고한 포트폴리오와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다”며 “세엘진의 혁신적인 치료제들을 바탕으로 국내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세엘진 코리아는 환자 중심적 사고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에 전념하는 세계적인 바이오 제약기업 세엘진(Celgene Corporation)의 자회사로 지난 2008년 설립됐다. 현재 다발골수종 치료제 ‘레블리미드’, ‘포말리스트’, ‘탈리도마이드’ 와 골수이형성증후군 및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비다자’ 및 전이성 췌장암 치료제 ‘아브락산’을 공급하고 있으며, 세엘진 본사의 다양한 최신 의약품을 한국 환자들에게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