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머크, 난치성 항암 치료에 관한 다양한 연구 결과 발표로 항암 치료 분야 혁신에 기여

과학 기술 선도 기업인 머크(Merck KGaA)는 올해 유럽 종양 학회 (ESMO 2017; 9월 8–12, 마드리드)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머크의 항암제 파이프라인 안의 5개 치료제를 중심으로 다수의 종양 유형 관련 연구 결과를 포괄하는 총 23 건의 초록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유럽 종양 학회(ESMO)에서 발표될 데이터에는 얼비툭스® (세툭시맙)의 표준 치료로서의 역할과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대장암 치료에 있어서 삶의 질 (QoL) 관련 데이터와, 대장암과 두경부 편평 상피 세포암(SCCHN) 관련 실제 치료 데이터(real-world data)가 포함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전이성 메르켈 세포암(MCC, Merkel cell carcinoma)과 요로상피세포암(UC, Urothelial carcinoma) 및 기타암 치료에 있어 아벨루맙(avelumab)의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ATR 억제제인 M6620(VX-970)의 전이성 3중 음성 유방암(mTNBC)에 대한 효과 관련 최초 스탠드어론 (Stand-alone) 데이터 등 머크의 항암제 파이프라인 안에서 활발하게 연구 중인 다양한 임상 결과들이 발표될 예정이다.


머크 바이오파마 사업부 글로벌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루치아노 로제티 부사장은, “머크의 항암제 프랜차이즈에서는 아벨루맙(avelumab)이 주요 국가에서 시판 허가를 획득하는 등 중요한 성과를 이뤄내며 의미 있는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이와 함께, 올해 유럽 종양 학회(ESMO 2017)에서도 머크의 항암 치료제인 얼비툭스부터 향후 표준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은 항암제 신약 파이프라인까지 다양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이번 유럽 종양 학회(ESMO)에서 발표될 머크의 연구 결과들은 항암 치료에 있어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실현시키고, 암 환자들이 필요로 하는 치료 상의 주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에 노력하는 머크의 헌신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말했다.


종양학 분야에서 머크가 추구하는 혁신적인 치료 접근법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을 바탕으로 아벨루맙(avelumab)은 올해 미국 식품의약품안전국(FDA)에서 두 가지 항암제 치료 분야에 있어서 빠른 시판 허가에 대한 승인을 획득한 바 있으며, 유럽의약청(EMA, European Medicines Agency)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ommittee for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 CHMP)에서도 성인 전이성 메르켈 세포암(MCC, Merkel cell carcinoma)을 앓는 성인 환자들을 위한 단독 치료 요법으로 아벨루맙(avelumab) 시판 승인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발표했다.


이번 유럽 종양 학회(ESMO 2017)에서는 희귀 침습성 피부암인 전이성 메르켈 세포암 (mMCC)의 치료에 대한 새로운 임상 결과와 기존에 치료를 받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UC) 환자의 12개월 임상 추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광범위의 JAVELIN 임상 개발 프로그램의 주요 진척 사항도 발표될 예정이며, 특히 난치암인 전이성 부신피질암(mACC) 에 대한 최신 임상 결과도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머크가 최근 인수한 버텍스의 DNA 손상 반응(DDR, DNA Damage Response) 포트폴리오를 자사 DNA 손상 반응(DDR) 플랫폼에 추가함으로서 머크는 DNA 손상 반응(DDR) 치료 분야의 핵심 업체 중 하나로서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머크의 광범위한 DNA 손상 반응(DDR) 포트폴리오에는 ATR, DNA-PK, ATM 등 주요 DNA 손상 반응 경로 효소의 억제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번 유럽 종양 학회에서는 3중 음성 유방암(mTNBC)의 ATR 억제제인 M6620에 대한 최초의 임상 데이터가 발표될 것이다. M6620은 현재 다양한 종양 유형에 걸쳐 1상 임상 시험이 진행중이다.


기타 파이프라인 관련 발표에는 잠재적 혁신 신약인 p70S6K/Atk 이중 억제물질에 관한 자료와 진행성 간세포암종(HCC) 환자를 위한 선택적 C-MET억제제(C-Met kinase inhibitor)인 테포티닙(tepotinib)등이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