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맑음동두천 8.5℃
  • 맑음강릉 14.4℃
  • 맑음서울 10.6℃
  • 맑음대전 11.7℃
  • 맑음대구 11.6℃
  • 맑음울산 13.3℃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12.1℃
  • 맑음고창 13.0℃
  • 맑음제주 15.7℃
  • 구름조금강화 10.9℃
  • 맑음보은 9.9℃
  • 맑음금산 8.4℃
  • 맑음강진군 12.4℃
  • 맑음경주시 12.6℃
  • 맑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제18회 아시아생명윤리학회 학술대회 개최

아시아생명윤리학회(회장: 전방욱)와 한국생명윤리학회(회장: 구영모)는 10월 25일(수)부터 3일간 신촌연세대학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 유일한 홀에서 「제18회 아시아생명윤리학회 학술대회(ABC18)」를 공동 개최한다.


올해로 열여덟 번째인 「아시아생명윤리학회 학술대회(Asian Bioethics Conference, 이하 ABC)」은 생명윤리분야 연구 성과와 생명윤리 교육의 전문성 강화, 생명윤리와 관련한 향후 도전과제 해결방안을 논의하는 국제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 아시아 전역(동남아시아 및 서남아시아를 포함)의 30여 개 국에 12명의 지역별 부회장과 10명의 지역대표를 포함하여 5백 여명이 회원으로 있으며 회원국을 순회하며 연례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2년 이미 한 차례 제4회 아시아생명윤리학회 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는데, 이번 학술대회는 강릉원주대학교 전방욱 교수의 아시아생명윤리학회 회장 취임과 한국생명윤리학회 창립 20주년을 앞두고 유치하게 되었다.


 “Future of Bioethics and Health Care”를 주제로 삼는 「ABC18」에는 아시아 지역 20여 개국 100여명의 학자, 학생, 전문가들이 참석하며,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원을 주축으로 가톨릭대학교, 동아대학교, 인제대학교, 한국의료법학회, 미래인문사회의학회 등이 협력기관으로 참여한다.


전방욱 아시아생명윤리학회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이번 행사가 아시아지역의 생명윤리 분야의 발전과 경험을 공유하고 미래의 생명윤리 비전과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국제적 협력의 장(場)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10월 25일 진행하는 개막식에는 박상은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장과 손명세 연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원 원장의 축사가 있을 예정이다.


10월 25일 Plenary Symposium을 시작으로 25일부터 27일까지 3일 걸쳐 진행될 학술대회에서는 'Future Medicine & Clinical Ethics‘ 등 11개의 Plenary Symposium 열리며 10월 27일에는 전방욱 아시아생명윤리학회 회장의 특별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현재까지 약 30여명의 초청 강연을 포함해 약 20개 국가에서 총50 여편의 논문 초록이 접수되었고 발표될 예정이다.


「ABC18」 학술대회는 영어(통역 없음)로 진행되며, 현장등록이 가능하다. 학술대회 홈페이지 http://abc2017seoul.org/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유한재단, 제28회 ‘유재라봉사상’ 여약사부문 시상식 개최 유한재단(이사장 원희목)이 지난 20일 오후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제28회 유재라봉사상 여약사부문 시상식을 개최했다. 한국여약사회(회장 이숙연)의 제34회 정기총회와 함께 개최된 이번 행사는 유한재단 원희목 이사장, 유한양행 조욱제 대표 등 관계자 및 내외빈이 참석했다. 유한재단 원희목 이사장은 “1990년에 설립해 창립 35주년을 맞은 한국여약사회는 국민의 보건 향상과 사회 안녕을 목표로 출범했다”며, “따뜻한 약손을 실천하는 어머니의 마음으로 국내외에서 사랑과 봉사, 헌신을 바탕으로 소명을 충실히 수행해 온 점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유재라봉사상 여약사부문 수상자 두정효 약사는 약사이자 사회복지사로서 20년 이상 약물 오남용 예방과 중독자 재활을 위해 헌신해 오셨다”며, “청소년 건강지킴이 또래리더 양성, 성교육 및 환경교육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청소년의 건강한 회복을 묵묵히 실천해 오신 발걸음은 화려하지 않으나 깊고 단단하다. 누군가의 삶을 다시 일으키는 일은 가장 인간적인 일이며, 이는 바로 ‘조용한 사랑과 실천’을 남기고자 했던 유재라 여사의 정신과 맞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두정효 약사는 수상 소감을 통해 “대학 시절 농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