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무더운 여름철 ‘당뇨발’ 주의 필요

작은 상처로 다리 절단까지, 생활관리 매우 중요

당뇨를 앓고 있다면 합병증이 여간 신경 쓰이는 게 아니다. 대표 합병증인 당뇨발은 작은 상처로 시작해 최악의 상황에는 발을 절단할 수 있어 당뇨환자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이다.


때문에 평소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요즘처럼 무더운 여름에는 노출이 많아 외부자극을 받기 쉽고,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세균번식이 활발해질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당뇨 환자의 60% 이상 발 합병증 경험
당뇨 합병증은 높은 혈당이 혈액순환장애와 몸 곳곳의 신경세포 손상을 일으키면서 발생한다. ‘당뇨발’은 말초혈관질환, 신경병증, 궤양 등 당뇨병으로 인해 발에 생기는 모든 문제를 말하며, 대표적 당뇨 합병증이다.


실제 당뇨환자 중 60~70% 정도는 평생 한번 이상은 발 합병증을 경험한다. 당뇨발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족부궤양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7년 한 해 동안만 14,364명이 당뇨병성 족부궤양으로 병원을 찾았다.


작은 상처로 시작해 다리 절단할 수도
당뇨발은 혈액순환 장애와 신경손상이 주요 증상으로, 방치할 경우 심한 궤양으로 발전해 다리를 절단할 수도 있다. 당뇨환자는 신경손상으로 통증, 온도 변화에 둔감해져 상처가 나도 모른 채 방치하기 쉽다.


또한 말초혈관질환이 있으면 상처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여 영양이나 산소 공급이 줄어들게 되어 발의 상처나 궤양 등 감염증이 잘 낫지 않게 된다. 때문에 작은 상처로 시작했더라도 쉽게 궤양으로 진행되고, 심해지면 결국은 절단 수술까지 갈 수 있다.


고온다습한 여름 환경, 당뇨발 건강 주의보
당뇨발 환자는 평소에도 관리가 중요하지만, 요즘처럼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더운 날씨 탓에 샌들, 슬리퍼 착용이 늘어 외부 자극에 노출되는 경우가 늘고, 고온 다습한 여름 환경으로 세균 번식이 활발해지면서 작은 상처도 염증으로 발전이 쉽기 때문이다. 족부궤양의 경우 작은 문제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 초기관리가 잘되면 심각한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외부자극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더워도 양말과 막힌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고, 실내에서도 슬리퍼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땀이 많이 날수 있으므로 자주 씻고 씻은 후에는 발가락 사이사이까지 충분히 말려야 한다. 안정태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무엇보다도 발을 손처럼 자주 들여다보고 상처가 생겼는지, 색깔은 어떤지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절단수술 시 혈관상태 등 궤양 원인 먼저 해결
당뇨병 환자는 발에 작은 상처가 생겼더라도 일단 병원을 찾아야한다. 발에 궤양이 생겼을 경우 가장 중요한 치료는 죽은 조직을 제거하고, 궤양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 것이다.


만약 궤양이 심해져 절단이 필요하다면 궤양의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안정태 교수는 “혈관이 막혔다면 혈관을 뚫어놓고 정리해야 한다.”면서 “혈관이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술을 진행하면 혈관이 막혀서 피가 흐르지 않는 상황에서 자르고 꿰매 놓으면 치료가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생각지도 못했던 치명적인 결과가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자르고 꿰맨 부위는 혈액 공급이 많이 필요해, 정상적인 신체에서는 말초 혈행이 더욱 풍부해지면서 상처 치유을 더욱 촉진하지만, 혈관 상태가 좋지 않다면 상처 치유 환경이 좋아지기 어려우므로, 결국 상처가 더 안 좋아지고, 더 썩어 들어가는 경우가 아주 많다.


초기부터 혈관·신경·감염 등 종합적인 관리 필요
당뇨발 치료의 가장 큰 목표는 가능하면 절단 수술을 피하는 것이다. 절단 수술을 하게 되면 보통 의족을 착용하게 되는데, 필연적으로 삶의 질이 많이 떨어진다.


 설사 발가락이 없더라도 발 뒤꿈치가 남아있어 두 다리로 딛고 설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상당히 큰 차이이므로, 당뇨발의 치료는 처음부터 전체적인 통찰을 해서 접근해야 한다. 절단 수술은 그리 단순하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서양에서는 예전부터 조기에 절단하고 의족을 빨리 착용하여 이전의 생활로 빨리 복귀하는 것이 미덕이었다. 하지만 동양 문화권에서는 신체발부는 수지부모라는 기저 의식이 있어 절단에 대해 무척 부담스러운 마음을 가져왔다. 무릎 주변의 절단술은 생각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무릎 주변의 절단은 이후 활동량의 저하, 말초 순환계의 변화가 필연적으로 나타나므로, 환자의 생존율이 일부 암에 비견될 정도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혈액 순환 상태, 혈당 조절, 신경통 등의 합병증 관리, 감염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