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0.3℃
  • 맑음강릉 12.0℃
  • 맑음서울 11.2℃
  • 맑음대전 10.7℃
  • 맑음대구 13.6℃
  • 맑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0℃
  • 맑음부산 14.9℃
  • 맑음고창 10.6℃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7.5℃
  • 맑음보은 8.5℃
  • 맑음금산 9.5℃
  • 맑음강진군 12.3℃
  • 맑음경주시 13.1℃
  • 맑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원광대병원 암센터, 2022년‘폐암’다학제진료 100례 달성

원광대학교병원(병원장 서일영) 암센터 폐암 다학제 진료팀이  2022년에 “폐암”  다학제 진료 100례를 달성했다. 

단일 고형암으로 1년 동안 폐암 다학제 100례는 큰 의미를 시사한다. 폐암이 의심되거나 폐암 진단만 되어도 서울 빅5 병원으로 전원을 가는 현실에서 지역 대학병원에서 폐암 다학제 진료를 통해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 폐암 치료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폐암 다학제팀은 2017년도부터 시작하여 현재 7년째 진료하고 있고 폐암의 진단과 치료에 관여하는 다학제로 구성되어 있다. 호흡기내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병리과, 방사선종양학과, 흉부외과로 구성되어 있고 때로 종양내과, 대장항문외과, 소화기내과와도 같이 다학제 진료를 한다. 

폐암 의심으로 내원해 환자가 여러 과를 돌아다니며 진료와 치료를 받다 보면 시간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진단과 치료하는 과의 의견도 일치되지 않은 점에서 신뢰가 가지 않을수도 있는데, 본원 폐암 다학제 진료는 진단과 치료의 과정이 매우 신속하고 여러 과 교수들이 한 자리에 모여 토론, 결정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치료 지침에 의한 폐암의 진단, 치료, 예후에 대해 환자가 신뢰도가 높고, 결정된 치료는 바로 진행되기에 환자 만족도도 매우 높다. 

폐암 다학제 진료가 이뤄지면서 조기 폐암에 대한 폐암 수술이 증가하였고 또한 고난도의 수술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3기 표준치료인 항암방사선 동시 치료가 증가해 치료성적이 향상되었다. 서울과 수도권으로 전원 갔던 환자도 다학제 치료는 같다고 하며 다시 내원, 치료를 받는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호흡기내과 양세훈 교수는 “폐암 다학제팀은 빨리 발전하는 진단기술, 수술기술, 방사선 치료 방법, 새로운 약제에 최신지식을 빨리 배우고 발전시켜서 내원하는 폐암 환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진료를 통해 더욱 신뢰받을 수 있는 폐암 다학제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궁극적으로 건강한 사회를 선도하는 원광대병원이 선구자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휴메딕스, 3분기 매출액 409억원∙영업이익 90억원 기록 휴온스그룹 ㈜휴메딕스(대표 강민종)는 3분기 개별 재무제표 기준 매출 409억원, 영업이익 90억원, 당기순이익 22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 -3%, 231%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휴메딕스는 엘라비에 리투오의 활발한 학술 마케팅 효과와 화장품 사업의 유통채널 다각화를 통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다만, 국내 에스테틱 기업 간 경쟁 심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보툴리눔 톡신 ‘리즈톡스’의 성장이 둔화했다.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영업마케팅 광고선전비와 지급수수료 등 판매관리비 증가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금융자산 평가이익에 따른 효과가 반영되며 증가했다. 휴메딕스는 오는 4분기 실적에 대해 에스테틱 신제품 ‘리들부스터’, ‘올리핏주’ 등의 학술 마케팅 강화와 ‘엘라비에 리투오’ 신규 거래처 확대, 국내 영업조직 개편을 통한 시장 경쟁력 확보, 전문의약품 품목 다변화를 통한 위탁생산(CMO) 추가 수주 등을 기반으로 매출 성장을 이끌겠다는 목표다. 한편, 휴메딕스는 지난 10일 이사회를 통해 3분기 배당을 실시하기로 했으며, 주당 배당금은 570원 현금배당이며 배당기준일을 오는 11월 25일로 설정했다. 금번 배당은 휴메딕스 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스텐트 시술 후 출혈 고위험 환자...서울대병원,최적의 이중 항혈소판제 투여 기간 규명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에는 스텐트 혈전증과 시술부위 재발을 막기 위해서 시술 직후부터 일정기간 강력한 이중(二重) 항혈소판제를 투여한다. 그러나 혈전을 예방하기 위해서 처방하는 항혈소판제는 부작용으로 출혈을 동반할 수 있어, 스텐트 시술을 받았지만 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들은 이중 항혈소판제를 얼마나 투여해야 할지 정하기가 어려웠다. 이런 환자들을 위한 최적의 투여 기간이 대규모 임상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특히 기존에 적절하다고 여겨졌던 1개월보다 ‘3개월 유지 요법’이 심혈관사건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는 결과가 나타나, 출혈 고위험군을 위한 새로운 치료 기준을 제시해 국제학술지 ‘란셋(The Lancet, IF;88.5)’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 교수와 순환기내과 박경우·강지훈 교수(사진 좌부터)팀은 스텐트 삽입술 환자 4897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임상연구(HOST-BR)에서 이 같은 사실을 입증했다고 13일 발표했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병이다. 표준 치료법은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해 좁아진 부위를 넓히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이다. 이 시술 후에는 일생동안 한 가지의 항혈소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