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해외소식

세인트조지 국제의대(SGU), 미국 그린 리버 칼리지와 새로운 파트너십 발표

세인트조지 국제의대(SGU)가 지난달 미국 워싱턴 주에 위치한 그린 리버 칼리지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세인트조지 국제의대는 자격을 갖춘 그린 리버 칼리지 학생들에게 4년 혹은 5년 과정의 의학 박사 학위 프로그램에 입학할 수 있는 패스트트랙 자격을 부여하며 입학 기회를 제공한다.

세인트조지 국제의대 학장인 마리오스 루카스 박사는 "우리는 그린 리버 칼리지와 맺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학생들에게 의학 분야에서의 커리어를 위한 두 가지 과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며, "그린 리버 칼리지의 우수한 학생들이 양질의 의학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 기쁘다"라고 전했다.

해당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통해 5년 MD 패스웨이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첫 1년 동안은 예과 수업을 받게 된다. 이후 세인트조지 국제의대의 그레나다 캠퍼스 혹은 영국의 노섬브리아 대학교에서 기초의학 수업을 1년 동안 들은 뒤, 그레나다 캠퍼스에서 1년 간 기초의학 학업을 진행한다. 그 후 마지막 2년동안 미국 및 영국의 병원에서 임상실습 로테이션을 진행하는 구성이다.

4년의 MD 프로그램은 예과 수업을 제외하고 과정을 밟을 수 있다. 처음 2년의 과정을 세인트조지 국제의대의 그레나다 캠퍼스에서 완료하거나, 1년간 영국의 노섬브리아 대학교에서 수업을 마친 뒤, 그레나다에서 1년간 공부할 수 있다. 이후 2년의 임상실습 로테이션은 미국과 영국에 위치한 세인트조지 국제의대의 협력 병원에서 진행하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